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6/30 13:00:04
Name 두괴즐
Link #1 https://brunch.co.kr/@cisiwing/12
Subject [일반] 문학소녀를 만난 꿈 없던 소년은 (첫사랑 이야기) (수정됨)
문학소녀를 만난 꿈 없던 소년은
-첫사랑의 프로파간다



  다른 애들이 한창 대입 준비의 정점을 향해 갈 때, 나는 연애를 시작했다. 2001년의 겨울이었다.



좋은 대학을 가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십팔 년 동안 들어왔던 것이다. 좋은 대학은 몇 개 없고, 인간은 너무 많다. 그런데 왜 가야 한다고 했더라?



십 대 시절의 사랑은 도를 넘기 마련이다. 심지어 첫사랑이었다. 비밀 연애가 될 수 없는 동네 연애는 곧 부모에게 발각되었고, 투옥과 탈옥이 반복되었다. 꿈이 없던 내게 여자친구의 꿈은 프로파간다가 된다. 그녀는 문학소녀였다.



투옥이 되었을 때는 문학을 읽었고, 탈옥을 했을 때는 영화를 봤다. 시와 소설은 졸렸지만, 영화는 두근댔다. 컴퓨터 게임과 만화책, 바보가 되는 축구와 중2병 환자에게 허락된 유일한 마약인 록 음악에 빠져있던 내게 새로운 영토가 열렸다. 세계는 넓고 볼 건 많다.



좋은 대학을 가야 한다는 것은 알았지만, 거기서 뭘 공부해야 하는지는 몰랐던 부모님은 나의 입시에 개입하지 못했다. 그저 “내가 왜 이렇게 고생을 하냐? 다, 너 잘 되라는 거 아니냐? 나는 공부하고 싶어도 못 했는데, 너는 왜 이러냐?”라는 타박을 해왔고, 그건 정당했다. 남들보다 일찍 시작해서 남들보다 늦게까지 일하시던 부모님은 대학 구경도 못하셨던 분들이었다. 그러나 나의 전전두엽은 충분히 성숙되지 못했고, 나는 이해했음에도 통제하지 못했다. 우리의 오랜 조상이 그러했듯 십 대 후반은 원래 짝짓기를 해야 하는 시기이기도 한 것이다. 그래서



한국어문학과에 진학했다. 나는 꿈이 없었고, 문학은 졸렸지만, 여자친구는 문학소녀였다. 그러니까



첫사랑은 왜 아름다운가? 첫사랑은 왜 시들지 않는가? 첫사랑은 왜 병 속에 들어간 신 같은가?



첫사랑이 아름답고, 시들지 않고, 병의 신이기 위해 끝나야 한다.



누구나 가기 싫지만 누구든 뺄 수 없는 곳이 군대다. 나는 아무나였기에 속절없이 가야 했다. 그렇게 국군이 되어 탄약창으로 갔고, 나의 님은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물 건너갔다. 군인에게 까마득한 세월은 님에게도 마찬가지의 세월이다. 그러지 말라고 했지만, 나의 곁에서 식민지의 백성 같이 살았던 그이는 독립이 필요했다. 물 건너간 님은 빼곡한 엽서를 보냈지만, 나는 할 말을 잃었다.



설마 했던 그이도 말을 잃어갔고, 그만큼 엽서는 무안해졌다. 빈 엽서의 여백에는 채울 수 없는 공백이 차기 시작했고, 그 시절이 나의 계급을 키웠다. 전투력을 거의 잃은 병장이 되었을 때, 물 건너 세계시민이 된 첫사랑의 마지막 엽서가 왔다. 초대장이었다.  



세계시민으로의 초청이었지만, 나는 조선의 고지식한 상놈이었다.



학교에 돌아와서 보니, 아-

나는 국문학도였다.

국문학도라고? 어쩌다가…

낙동강은 흐르고 나는 오리알이었다. 정말이지, 정말로.



그리고 계절은 돌고 돌아



십오 년의 강물이 흘렀다. 오리알이던 예비군은 오리가 되어 민방위 대원이 되었다. 그 오리는 새로 낙동강으로 흘러들어온 오리알들 앞에 쭈뼛대며 서 있다. 그러고는 떠든다. 아주 뭐, 잘난 척을 한다. 정말이지, 정말로 인생은 알 수가 없고, 도통 모르는 것이다. 문학소녀를 만난 꿈 없던 소년은 선물 받은 문학을 졸린 눈을 비비며 읽었다. 읽어도 별 감흥은 없었고, 이해도 잘 되지 않았지만, 그건 숙제였고, 그녀는 과외선생이었다. 그랬는데, 그랬던 바보축구는 이제 문학을 가르치는 오리가 되었다.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됐다.



조선의 고지식한 상놈은 세계문학론을 가르친다. 글로벌시대인 것이다. 그러니 올해 내게 세계문학론을 배운 오리알들은 곧 나는 오리가 될 것이다. 물 건너간 세계시민의 일원이 되어, 어디든, 그렇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스티
23/06/30 13:35
수정 아이콘
그야말로 첫사랑이라는 글이네요.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두괴즐
23/07/01 13:2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3/06/30 15:37
수정 아이콘
이과생들이 쓰는 보고서같은 글들만 읽다가 이글을 읽으니 정말 신세계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두괴즐
23/07/01 13:2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반항하는인간
23/06/30 23:35
수정 아이콘
두!
괴!
즐!
두괴즐
23/07/01 13:31
수정 아이콘
두? 괴? 즐?
larrabee
23/07/01 06:55
수정 아이콘
이문세의 옛사랑이 생각나는 글이네요
두괴즐
23/07/01 13:30
수정 아이콘
이제는 그 시절의 감정이 다 휘발되어 아득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옛사랑>은 참, 명곡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246 [일반] 공부에서 중요한 것은 끈기일까, 유전일까? [182] 마스터충달11735 23/07/20 11735 6
99245 [일반] 초등학교 선생님은 힘든 것 같다... 아니 힘들다 [98] 아타락시아113225 23/07/20 13225 38
99243 [정치] 4대강 사업 때 만든 상주보·구미보 둔치 와르르…“폭우에 취약 구조 드러나” [37] 베라히12633 23/07/20 12633 0
99242 [일반] <바비> - 독특하고 이상한 바비랜드.(약스포) [11] aDayInTheLife8530 23/07/20 8530 4
99241 [일반] 결혼하는 신혼부부들은 연봉이 어떻게 될까? [37] rclay15136 23/07/19 15136 5
99240 [일반] 어제 신규교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359] 하카세26398 23/07/19 26398 37
99239 [일반]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커닝 파트 1 (강스포) [27] Blooming8464 23/07/19 8464 1
99238 [일반] 흔한 이혼 [53] 두괴즐16512 23/07/19 16512 20
99236 [일반] 엔비디아, 4060ti 16GB 출시 [39] SAS Tony Parker 11262 23/07/19 11262 1
99234 [일반] 예천 호명면서 수색하던 해병대 일병 급류 휩쓸려 실종 - 사망 확인 [83] 만찐두빵15699 23/07/19 15699 3
99233 [일반] 잠 못 드는 밤 비는 멈추고. [8] aDayInTheLife8634 23/07/19 8634 4
99232 [일반] 세상은 아직 따뜻합니다. [21] 돈백13376 23/07/18 13376 19
99231 [일반] AI 시대가 온다면 한국은 이민자, 외노자 유입이 이전보다 더 필요해집니다 [38] 보리야밥먹자11511 23/07/18 11511 1
99230 [정치] 한국 게임계에 방금 핵폭탄이 터졌습니다 [199] nmcpvwe27877 23/07/18 27877 0
99228 [일반] 아티스트의 영혼 (적폐가 되다/ 에세이) [11] 두괴즐8069 23/07/18 8069 1
99227 [일반] 공장 엔지니어 신입 가스라이팅 수법_형 동생, 너 나 특별한 존재와 피프티 피프티 [24] 깐부12076 23/07/18 12076 9
99226 [정치] 尹 "이권·부패카르텔 보조금 전부 폐지…수해복구에 투입" [191] 베라히19489 23/07/18 19489 0
99225 [일반] 종합상사를 무대로 새 일드가 나왔네요 [VIVANT] [12] 흰둥10082 23/07/18 10082 2
99224 [일반] 그게 뭔데 한국이 갈라파고스화 되어있다는 거야? [168] Valorant18920 23/07/18 18920 4
99223 [정치] 사무장병원 판단 기준 변경 [22] 맥스훼인13195 23/07/17 13195 0
99222 [일반] 광역시 단위 취약계층이동지원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2] SAS Tony Parker 10607 23/07/17 10607 8
99221 [일반] 20년만에 스타를 다시 해보다. [84] 채무부존재12913 23/07/17 12913 23
99220 [정치] 尹우크라행 "현장 피부로 느끼기 위해"호우엔 "서울 뛰어가도 상황 못바꿔" [334] 사브리자나32428 23/07/16 3242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