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4/14 11:12:31
Name 쿠라
Subject [일반] 어제 저녁으로 치킨을 시켰어요(뻘글)
저희 가족은 치킨을 반찬으로 먹습니다. 후라이드든 양념이든간에요.
어제 저녁반찬으로 치킨을 먹자고 해서 BHC맛초킹을 배달시켰어요.
아이는 다리를 좋아하고 부부는 날개를 좋아해서 2천원을 추가해서 콤보로요.

제가 퇴근이 좀 늦어서 먼저 먹으라고 하고 열심히 갔습니다만, 치킨무만 남아있었어요.
이런 상황을 예상하지는 못했어요.
평소에 치킨 한마리를 시키면 언제나 남았거든요,
콤보가 살작 양이 작은느낌은 있지만 그래도 남았었는데 어제는 다 먹어버렸네요.
아내는 미안해서 안절부절하는데 아이는 그냥 해맑네요.

그런데 웃겼던건 화나지 않고 '우리애가 또 이렇게 컷구나'하는 뿌듯함? 이런감정이 들었어요.
전달 까지는 3인 1닭하던 우리가족 이제 2인 1닭이구나.  벌써 이렇게 자랐구나.
좀있으면 우리아이 1인 1닭하는 시기가 오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가만히 손을 잡으
23/04/14 11:16
수정 아이콘
그렇죠. 애가 잘 먹으면 보기만 해도 좋죠.
그리고 저는 또 시켜먹으면 되니까요. 이건 내거다.
23/04/14 11:17
수정 아이콘
저도 딸기 한 박스 사오면 아이가 거의 절반을 먹어요. 그래서 저는 1,2개 맛만 봅니다.
내가 먹는 거 보다 아이가 먹는게 더 좋아요.
완전연소
23/04/14 11:19
수정 아이콘
저희 아들은 중3인데, 고기 먹고 싶다고하면 긴장됩니다. 흐흐
23/04/14 16:42
수정 아이콘
크크크 긴장 크크크
melody1020
23/04/14 11:26
수정 아이콘
아이 입에 음식 들어가는 거 보고 있으면 너무 행복하죠 크크크크
그리움 그 뒤
23/04/14 11:40
수정 아이콘
그 음식을 내가 만들어서 줬는데 맛있다고 잘 먹네?
그래서 계속 만들어줬더니 이제는 집에 있을 때 엄마를 찾지 않고 나를 찾으며 밥달라고 한다?
심지어는 와이프도 나한테 자꾸 뭐 만들어줄거냐고 쳐다만 보고 있어?
꽤 귀찮긴 하지만 그래도 기분은 좋습니다.
melody1020
23/04/14 12:12
수정 아이콘
엌크크크 저 같은 분이 또 계셨군요!
애들 입에 들어갈 음식 만드는 것 만큼 씐나는 일이 없더라구요 프흐흐
뜨거운눈물
23/04/14 12:23
수정 아이콘
아이 입에 들어가는건 아깝지 않죠
23/04/14 11:26
수정 아이콘
부모님의 마음... 겪어보지 못한 미지의 세계라 헤아릴 수가 없네요...
정채연
23/04/14 11:29
수정 아이콘
안 먹어도 배가 부르다는 말이 뭔지 알게되죠.
윤로남불
23/04/14 11:42
수정 아이콘
저는 딸기 사오면 입에도 못댑니다
애가 다 먹어요
Asterios
23/04/14 11:45
수정 아이콘
저는 반대로 얼마 전에 [부모님과 저, 동생이 치킨 한 마리를 시켜서 나눠 먹었는데 조각이 남았던] 적이 있었습니다. 다들 나이를 먹으니 배가 줄어드나보다 싶어서 조금 슬펐네요.
선플러
23/04/14 11:49
수정 아이콘
기분 좋으셨겠어요!!
기분 좋은 글에 저도 오늘 하루 기분이 좋습니다. :)
하우두유두
23/04/14 11:53
수정 아이콘
이해합니다 저희도 매번 느끼네요. 부부가 치킨 한마리 시키면 서너조각남았는데 이제 한마리시키면 애들이 절반이상 먹고 저흰부족해서 라면하나 물올려야해서요 크크
유목민
23/04/14 11:54
수정 아이콘
안먹어도 배부르다는 말을 실감하죠...

보통 치킨보다 좀 작은 닭을 통째로 튀겨서 파는 집이 있었습니다..
퇴근길에 미리 전화해두면 딱 맞게 찾아갈 수 있게 튀겨줍니다..

애들이 초등학교 다닐 쯤에는 애 셋에게 한마리씩 안겨야 할 때가 있었습니다..
1주일에 한 번쯤이었는데..
퇴근하며 처음 듣는 말이 "아빠다"가 아니라
"치킨이다" 였네요..


이젠 다섯식구 다 모일 일이 없네요..
치킨은 10마리쯤 사갈 수 있는데..
방구차야
23/04/14 12:18
수정 아이콘
사족보행 치킨개발이 절실합니다
23/04/14 12:33
수정 아이콘
크 뿌듯하시겠네요
저도 오늘 맛초킹이나 시켜먹어야겠습니다 크크
DavidVilla
23/04/14 12:51
수정 아이콘
'4인 1닭'도 못 하는 집에 있다가 결혼하고 나니 둘이서 '2인 1닭'을 하고 있더라고요.
애들이랑 다 같이 먹을 시기가 오면 도대체 몇 마리를 시켜야 할지..
꿈꾸는사나이
23/04/14 13:05
수정 아이콘
저도 애기가 많이 먹으면 그만큼 좋은 게 없어요 ㅠㅠ
지니팅커벨여행
23/04/14 13:52
수정 아이콘
애들 어렸을 때 4인 가족이 치킨 한 마리 시켜 먹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2마리를 시켜야 되더라고요.
그래서 호식이 두마리 치킨을 자주 먹었습니다.
라면도 예전에는 사람 수보다 하나 적게 끓이곤 했는데 지금은 하나를 더 끓이냐 두개를 더 끓이냐, 밥은 남아 있느냐 가지고 논란이고요.
외식 하면 식비가 꽤 나오긴 하는데 주변에 물어보니 다들 뭘 잘 안 먹는다고 해서 돈이 좀 들어도 괜히 뿌듯하고 그럽니다.
머스테인
23/04/14 14:47
수정 아이콘
참 신기한게 아이가 잘먹으면 내가 못먹어도 억울하지가 않아요. 앞으로는 넉넉하게 시켜야겠다는 생각만 들고, 행복해 보여서 덩달아 기분이 좋아집니다.
별빛다넬
23/04/14 18:52
수정 아이콘
이제 피자 한판시키면 손도 못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813 [정치] 재료비 내렸는데 라면 값 그대로?…영업이익 잔치 벌였다 [89] 톤업선크림16683 23/05/19 16683 0
98812 [정치] 후쿠시마 시찰단, 오염수 체취 불가, 민간참여 불가 [174] 어강됴리15956 23/05/19 15956 0
98811 [일반] GPT4와의 대화 : 칸트의 <판단력비판>에 대한 니체의 생각 [17] 번개맞은씨앗10142 23/05/18 10142 6
98810 [일반] (노스포)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12] Rorschach9828 23/05/18 9828 0
98809 [일반] 나의 주식투자답사기, 손실로 점철된 짧은 기록 [56] 숨결13821 23/05/18 13821 16
98808 [일반] 의대정원을 두배로 늘리면 어떻게 될것인가. [354] lexial22398 23/05/18 22398 11
98807 [일반] 발광유발자들 [15] 후추통11987 23/05/18 11987 8
98806 [정치] 尹 "오월 정신 계승한다면 자유민주 위협 세력과 맞서 싸워야" [86] 덴드로븀16491 23/05/18 16491 0
98804 [정치] 소아응급실 당직 교수 분이 사표+기자와 엄마의 억까(추가) [282] 카미트리아21512 23/05/18 21512 0
98803 [정치] 트뤼도 총리 국회연설 중 5.18 언급 부분 [1] 어강됴리10424 23/05/18 10424 0
98802 [정치] 5·18 추모식과 전야제 찾은 전우원 "언젠가는 가족들과 같이 왔으면" [46] Davi4ever10989 23/05/18 10989 0
98801 [일반] 최근 본 만화 이야기 + 메달리스트가 애니화됩니다. [22] Cand10007 23/05/17 10007 1
98800 [일반] GPT4와의 대화 — 니체 초인사상 (40,000자 토크) [22] 번개맞은씨앗11683 23/05/17 11683 10
98799 [정치] 튀르키예 야당지지자들의 분노의 국개론 [37] 기찻길12403 23/05/17 12403 0
98798 [일반] 여러분은 세상이 얼마나 노력으로 결정된다고 생각하십니까? [348] 모찌피치모찌피치17415 23/05/17 17415 0
98797 [일반] 초등자녀를 둔 부모가 자기자식 수학과외하면서 느낀점 몇가지 [82] 오타니15905 23/05/17 15905 92
98796 [일반] 코로나19 신규 확진 2만6147명…전주 대비 2600여명 늘어 [51] 톤업선크림14526 23/05/17 14526 1
98795 [정치] 중국 평론가 "윤대통령에 화난 중국 공산당, 손준호 체포는 계산된 인질외교" [31] 강가딘13621 23/05/17 13621 0
98794 [일반] 부부 둘이서는 아이 하나도 키우기 너무 힘들다. feat. 소아과 오픈런 [109] Hammuzzi15387 23/05/17 15387 26
98792 [일반] 우회전 일시 정지 도입 뒤 사망자 오히려 2배 증가 [68] VictoryFood13130 23/05/17 13130 2
98791 [일반] 어제 잠깐 핫했던 질게글 현황보고입니다. "중고나라 특이한 거래방식" [22] 젤렌스키9371 23/05/17 9371 2
98790 [일반] [역사] 그 많던 아딸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 떡볶이의 역사 [47] Fig.153493 23/05/17 53493 43
98789 [일반] 감기 조심하세요~(감기투병일지) [12] 두부두부7343 23/05/17 7343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