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3/15 03:24:09
Name 트럭
Subject [일반] 파벨만스. 스필버그가 울 수밖에 없었던 이유 (수정됨)
3. 22. 개봉 예정인 파벨만스를 미리 보고 왔습니다. 

몇 년간 본 영화 중에 가장 만족스러워서 기억도 되새길 겸 끄적여봅니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는데 엔딩이 아쉬울 정도였습니다.

영화는 알려졌다시피 스필버그의 자전적 이야기입니다. 영화는 어린 주인공이 처음으로 부모님과 영화관에 가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그리고 아버지 직장을 따라 몇 번의 이사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스필버그는 영화를 찍으며 많이 울었다고 하는데요. 부모님 역할을 한 두 배우(폴 다노, 미셸 윌리엄스)의 첫 촬영 때부터 눈물을 흘렸다고 합니다.

mania-done-20230307114853-rtndonwo.jpg

mania-done-20230307162032-syzawklu.jpg

누구라도 저 상황에는 울컥할 수밖에 없을 거 같네요. 두 사진만 봐도 알 수 있듯 파벨만스는 가족영화입니다. 스필버그 영화와 가족은 뗄 수 없는 관계인데 이번엔 다름 아닌 자신의 가족 이야기입니다.

당연히 이게 다는 아닙니다. 스필버그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또 하나, 영화가 있으니까요. 영화와 가족의 절륜하고 따뜻한 앙상블이 이 영화의 묘미입니다. 영화와 갈등이 만나는 지점이 여럿 등장하는데 이야기꾼답게 재미나게 잘 풀어냈어요.

영화의 주요 에피소드 중 소년 스필버그의 감독판 영화를 한 사람만을 위해 상영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건 세상에서 온전히 스필버그만이 알고 있었던 비밀이었다고 하네요. 여동생도 영화 시나리오를 읽고서야 가족의 비밀을 알았다고 합니다.

24124.jpg
여동생들도 모두 등장합니다.

영화 관람 후 리뷰를 찾아보니 극찬과 혹평이 공존하더군요. 이동진 님이 극찬을 했는데 ‘흠... 그 정돈가?’ 하는 반응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분명 호불호가 갈리는 영화는 맞습니다만 혹평하는 쪽에서도 최악! 보다는 흠... 그 정돈가? 정도의 평이 대부분이지 않을까 싶네요.
Screenshot-2023-03-15-at-01-42-08.jpg
이 정도면 엄청난 극찬이죠? 제가 느낀 점을 명료하게 설명하신 걸 보니 그냥 이것만 퍼왔어도 됐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드는군요. 이동진 님의 생각은 이번주 토요일 상영되는 언택트 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역대 최장 시간 해설이라는 걸 보면 이 영화가 꽤 마음에 들었나 봐요. 

제 생각에 호불호가 갈리는 지점은 비교적 평탄한 삶을 살아온 할아버지의 옛이야기라는 데 있지 않나 싶어요. 누군가에겐 최고일 수 있지만 누군가에겐 시시하고 고리타분한 이야기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영화 전반에 흐르는 정서가 요즘 시대가 막 열광하는 정서는 아닌 거 같네요.

그렇다고 지루한 예술 영화는 절대 아니에요. 전반적으로 유머러스하고 온기가 넘칩니다. 소재가 다소 진부할 순 있어도 그걸 풀어내는 거장의 솜씨는 진부하지 않습니다.

영화의 키워드를 꼽자면 가족, 자전적, 성장 그리고 영화입니다. 아카데미에선 무관이었지만 누군가에겐 충분히 최고가 될 수 있을 만한 작품입니다. 영화를 좋아하거나 스필버그에게 호감이 있는 분들이라면 더욱 만족스러운 작품이 될 거 같습니다. 무려 스필버그의 비공식 첫 작품을 공개한 영화니까요. 

덧)카메오 두 분이 등장하는데 이 부분 아주 킬링파트입니다. 빵 터질 거예요.
덧)‘우리도 사랑일까’의 두 주연이 출연하는데 스필버그는 이 영화를 인상 깊게 보지 않았을까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3/15 06:48
수정 아이콘
리뷰 감사합니다.
별로 볼 생각이 없었는데,
봐야겠네요.
23/03/15 21:20
수정 아이콘
좋게 봐주셔셔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239 [일반] 2023 WBC 후기 [48] 민머리요정14600 23/03/22 14600 58
98234 [일반] Z세대의 위기와 해결책: 조너선 하이트 교수의 주장에 공감하는 이유 [31] 딸기거품13234 23/03/22 13234 7
98231 [일반] <이니셰린의 밴시> - 본질 없는 사건이 커지듯.(노스포) [24] aDayInTheLife9038 23/03/21 9038 2
98230 [일반] 오늘 있었던 해군 2함대 소속 4척의 기동훈련 [16] 아롱이다롱이11670 23/03/21 11670 0
98229 [일반] [할인] 리디페이퍼 4 + 전자책 450권 = 242,000원 [60] 아케르나르13536 23/03/21 13536 1
98228 [일반] 기가바이트 4070 12GB,4060 8GB 확인 [29] SAS Tony Parker 11718 23/03/21 11718 0
98222 [일반] 2022년 개봉 한국영화 흥행성적표 [76] theo12257 23/03/21 12257 6
98220 [일반] [이제 저 혼자 남았네요] [54] 문재인대통령14138 23/03/21 14138 9
98219 [일반] 잔소리, 논문, 꼰대 [30] Fig.19024 23/03/21 9024 19
98218 [일반] "음주 사망사고 내면 피해자 자녀 양육비 책임"…'벤틀리법' 발의 [117] dbq12319365 23/03/20 19365 37
98215 [일반] 쿠엔틴 타란티노의 마지막 영화(?)에 관한 몇가지 정보 [20] 후치네드발12511 23/03/20 12511 24
98214 [일반] [경제] UBS, CS 32억 달러에 인수 [40] 김유라16497 23/03/20 16497 4
98212 [일반] 왜 사람들은 자기 나이를 실제보다 적다고 인식할까 [25] matthew14276 23/03/19 14276 3
98211 [일반] <보스턴 교살자> - 평이한 각색. 오로지 실화의 힘. [2] aDayInTheLife8098 23/03/19 8098 1
98210 [일반] 필드하키 대표팀 분석관의 하루. [25] Yureka10092 23/03/19 10092 27
98209 [일반] 위안부, 위안부, 위안부 [63] 상록일기14533 23/03/19 14533 42
98208 [일반] 심심해서 쓰는 무협 뻘글 10 [8] 具臣7837 23/03/19 7837 1
98207 [일반] 뉴욕타임스 3.17.일자 기사 번역(실리콘밸리 은행과 스타트업의 관계) [4] 오후2시16032 23/03/19 16032 2
98206 [일반] 지갑을 분실하고 되찾은 이야기(3편) [7] Croove60648 23/03/19 60648 4
98205 [일반] [팝송] 퀸 나인티 투 새 앨범 "The People's Champ" [2] 김치찌개7382 23/03/19 7382 0
98203 [일반] 지갑을 분실하고 되찾은 이야기(2편) [22] Croove26506 23/03/18 26506 7
98202 [일반] 식물 키우기 [7] 꽃차8975 23/03/18 8975 11
98200 [일반] 북한의 최근 경제 : 예견된 파멸적 식량난과 전기난 [103] 민트초코우유17995 23/03/18 17995 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