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3/06 09:46:50
Name 43년신혼시작
File #1 이것도_로봇_청소기.jpg (634.9 KB), Download : 254
Subject [일반] 의외로 만족스러운 로봇? 청소기


얼마 전 자주 보던 유튜브 채널에서 다이소에서 5천원짜리 로봇청소기가 나왔다라는 영상을 올렸는데 
보통은 제품의 허접함을 비판하는 채널인데 가격이 가격인지라 이 정도면 하고 만족하는 영상이였습니다.

해당 영상을 보면서 아내와 이야기를 해보니 요즘 주부 카페에서 핫템 중 하나라면서 없어서 못 구하는 제품 중 하나라고 하더군요.
그런가보다 하고 재미삼아 동네 다이소에 들러봤는데 역시 없더군요.
그리고 이번 주말에 운동 삼아 산책하던 도중 생각나서 근처 다이소에 들렀더니 하나 있었습니다.
아내에게 여기 하나 있는데 사갈까? 하고 물어봤더니 한번 사보자고 해서 집어갔습니다.
제품 5천원, 추가부직포 천원, 들고갈 백 5백원 해서 6,500원 들었네요. 

일단 개봉해서 찍찍이를 붙이고, 건전지 3개를 넣은 뒤 부직포를 붙이면 끝입니다.
안에 AI 나 센서 같은건 없고, 모터와 바퀴 만으로 움직이는 공학적 설계인데 이게 은근히 구석구석 잘 움직여 줍니다.
30% 정도 확률로 낙하 회피도 되는 느낌 입니다.(이동 방향에 따라 회피가 되기도 하고, 안 되기도 합니다.)
거기다 높이가 낮아서(5cm 정도) 침대나 쇼파 밑에 청소기가 들어가기 힘든 곳에도 잘 들어가 주는데 첫날 안방 침대 밑에 던져 놓았을 때는 부직포를 5장 정도 사용할 정도로 먼지를 잘 가져옵니다.
따로 흡입하는 기능이 있는게 아니고 그냥 바퀴가 구르는 모터만 돌아가기 때문에 소음도 그리 크지 않아서 그냥 방에 던져 놓고, 30분~1시간 동안 다른 일 하다가 생각날 때 방에 들어가서 종료하고 부직포만 치워주면 되서 편의성도 꽤 괜찮습니다.

몇십만원씩 하는 물걸레에 먼지함 비우고 하는 로봇청소기에 비할건 아니지만 5천원이라는 미친 가격이 이 모든걸 그럴만 하지, 하고 넘어가게 하네요. 크크크

5천원으로 시작하는 로봇청소기 생활 어떠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3/06 09:51
수정 아이콘
저거 지나다가 한 번 봤는데 생각보다 제대로 된 물건이었군요. 근데 배터리를 계속 쓰고 버리고 해야 할 텐데 괜찮을까요? 그래도 모터 돌아가는 거라 아주 오래 가지는 않을거 같은데.
43년신혼시작
23/03/06 10:53
수정 아이콘
모터만 돌리는데 그것도 강하게 돌리는게 아니라서 베터리를 많이 사용할거 같지는 않았습니다.
하루에 한두시간만 사용한다면 꽤 오래 사용할 수 있을거 같아요.
리클라이너
23/03/06 10:17
수정 아이콘
5천원 이라니...?
덴드로븀
23/03/06 12:27
수정 아이콘
[로봇] 이 들어가서 뭔가 거창해보이는거지 사실 그냥 모터+바퀴+센서 가 끝이긴 할겁니다? 크크
안수 파티
23/03/06 10:34
수정 아이콘
진공없이 부직포가 먼지를 닦아내기만 하는 건가요? 그래도 5천원이면 괜찮아 보이는군요.
43년신혼시작
23/03/06 10:54
수정 아이콘
그냥 부직포로 슬슬 지나가는 정도입니다.
가벼운 먼지와 머리카락 쓸어주는 정도에요.
그리고 조금 덩치있는 침대 밑에 들어가 있던 머리끈을 드리볼 해서 꺼내와 줬습니다. 크크
이쥴레이
23/03/06 10:38
수정 아이콘
건전지 말고 충전형이면 좋을텐데 그건 배터리때문에 단가가 올라갈려나.. 작업방에 써보고 싶네요
23/03/06 10:42
수정 아이콘
시작은 켜면 돈다고 치고, 끝은 배터리 오버되어 종료되는걸까요?
43년신혼시작
23/03/06 10:56
수정 아이콘
위에 스위치 눌러서 끄면 됩니다.
만약 침대 밑에 들어갔을때 베터리가 오버되면..
교자만두
23/03/06 10:49
수정 아이콘
침대깊은곳에서 건전지가 다 된다면?
덴드로븀
23/03/06 12:27
수정 아이콘
이참에 침대를 새걸로 바꾼다!
옥동이
23/03/06 18:22
수정 아이콘
바꿔도 5천원!
포도사과
23/03/06 12:10
수정 아이콘
제품 조립비용은 나오나 싶네요;;
덴드로븀
23/03/06 12:26
수정 아이콘
뜯어보진 않았지만 저 청소기 부품이라고 해봐야
모터 + 기어 + 충격감지센서 + 플라스틱 몸체/바퀴 정도일테니 충분히 가능한 가격일것 같긴 합니다 흐흐
43년신혼시작
23/03/06 13: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참고로 충격감지 센서 조차 없습니다. 크크크
그냥 충돌하면 저항에 의해서 메인 바퀴가 회전하고 그로 인해서 방향이 바뀌는 공학적 원리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Lcs3U5uqqY
테크몽이라 좀 그렇기는 한데 분해해서 내부구조와 원리를 보여주는 영상이 이거밖에 없어서...
조미운
23/03/06 12:45
수정 아이콘
암만 기능이 별로 없어도 너무 싸네요. 플라스틱 사출, 조립, 물류, 도소매 수수료 생각하면 규모가 웬만큼 되어도 생산비가 5000원 넘을거 같은데.. 산업사회의 위엄을 느끼고 갑니다.
23/03/06 13:20
수정 아이콘
혹시 좀 더 제대로 된 걸 찾으시는 분들에게 조언드리자면 샤오미 1S가 중고 10만원선에서 거래되니 그걸로 입문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탈리스만
23/03/06 14:00
수정 아이콘
이거 사고 빠지면 점점 업글하게 되는 건가요? 크크
43년신혼시작
23/03/06 14:30
수정 아이콘
점점 업글하실거 같으면 귀곰 채널에서 로봇청소기 가이드 영상 보시고 한방에 지르시는걸로 크크크
23/03/06 15:40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현재 끝판왕은 S7 Max Ultra + 직배수키트 개조라고 생각합니다.
23/03/06 17:04
수정 아이콘
가격 생각하면 50중후반에 샤오미 b101cn or b116라고 생각합니다 후후
-안군-
23/03/06 13:52
수정 아이콘
뭐랄까.. 옛날 애들용 자동차 장난감 같은 느낌이네요. 탁자 위에 놔둬도 안떨어지는...
탈리스만
23/03/06 13:59
수정 아이콘
이거 검색해보니 인기 많아서 재밌네요. 안보인다고 단종됐냐고 묻기도 하고 크크
23/03/06 14:21
수정 아이콘
이거 집에 구조 가구 때문에 결국에는 일정영역에서만 빙글빙글 돌고 막 깔끔하게 청소 된다는 느낌이 없는데
가격이 모든 걸 커버하는 진짜 말도 안되는 가격...

청소에 진심이신 분들이나 로봇청소기 사용하셨던 분들은
실망합니다 다만 청소기 돌리기 귀챠니즘이 극에 달하신분들은(저처럼?) 사용해보세요 (바닥에 먼지가 이리많았나!!!)
43년신혼시작
23/03/06 14:28
수정 아이콘
저희도 살짝 장난 느낌으로 이거 너무 싼데 뭐 되겠어? 하고 사봤는데 써보고 먼지가 이리 많았나!!! 하는 중입니다. 크크크크크크
퀀텀리프
23/03/07 06:13
수정 아이콘
5천원이 가능한 가격인가 ? 와..
답이머얌
23/03/07 10:53
수정 아이콘
이건 완전히 아이디어 제품, 테크 제품이 아니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275 [일반] AMD A620 메인보드 BIOS 포착...PCIe 5.0 미지원 [10] SAS Tony Parker 11486 23/03/26 11486 0
98274 [일반] 미셸 푸코의 고고학으로 본 비트겐슈타인 [14] 나는모른다14011 23/03/26 14011 3
98273 [정치] 명제들로 살펴보는 윤석열 대통령은 물가상승에 책임이 있을까? [153] kien.19173 23/03/26 19173 0
98272 [일반] [성경이야기]찌질한 레위인 이야기 [5] BK_Zju13398 23/03/26 13398 6
98271 [일반] (스압, 데이터주의) 2023.03 봄맞이 휴대폰 기변 컨설팅 후기 [18] 천둥12216 23/03/26 12216 46
98270 [일반] [팝송] 핑크 새 앨범 "TRUSTFALL" [1] 김치찌개7656 23/03/26 7656 1
98269 [일반] [출산율] 남자 없이 여자 혼자 출산할 수 있게 해야 할 때 [235] VictoryFood20937 23/03/25 20937 7
98268 [일반] 봄이 와서 꽃을 보고 왔습니다. [8] 及時雨8651 23/03/25 8651 11
98267 [정치] "한일합방은 우리가 힘이 없어서" 여당 의원은 어쩌다 이런 말을? [125] 베놈20654 23/03/25 20654 0
98265 [정치] 어제는 서해수호의 날 이었습니다. [146] 아이스베어16400 23/03/25 16400 0
98264 [일반] 책가도와 지식에 대한 동서양의 관점 [43] jerrys10740 23/03/25 10740 8
98263 [일반] 코어/검은 사제들/스틸 엘리스 감상(스포) ​ [1] 그때가언제라도8267 23/03/25 8267 0
98262 [일반] 고향사랑기부제가 다시 올해부터 정상적으로 시행되게 됩니다. [15] 빠독이11839 23/03/25 11839 6
98261 [일반] 디아블로4 베타 퀘이사존 벤치마크 결과 [51] Nacht16511 23/03/24 16511 1
98260 [일반] 뉴욕타임스 3.18. 일자 기사 번역(사람들이 오판한 이유. 그리고 은행의 규제 필요성) [8] 오후2시15996 23/03/24 15996 6
98259 [정치] 정말 개판으로 돌아가고 있는 창녕군수 선거 [69] 버들소리19654 23/03/24 19654 0
98258 [일반] 범죄자 이야기 [27] 쩜삼이14106 23/03/24 14106 25
98257 [일반] 하이닉스 P31 2테라 또 풀렸습니다 [ 종료] [56] SAS Tony Parker 14710 23/03/24 14710 0
98256 [일반] 저희 나라가 아니라 우.리.나.라 인데요 [311] 무냐고28530 23/03/24 28530 6
98255 [일반] 테라·루나 사기로 도망다니던 권도형이 체포되었습니다. [101] 검사18353 23/03/24 18353 5
98253 [일반] <파벨만스> - 노장 감독의 따뜻한 자기고백. [17] aDayInTheLife8978 23/03/23 8978 3
98252 [일반] 이번에 리디 페이퍼4 신청하신 분들 확인해 보세요 [22] Zelazny13507 23/03/23 13507 6
98251 [일반] [역사] 막걸리가 '숙취 심한 술'이 된 이유 / 막걸리의 역사 [40] Fig.194143 23/03/23 94143 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