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1/04 10:42:56
Name 빼사스
Subject [일반] 인천공항 입국 중국인, 확진 후 도주 (수정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29937?sid=102

인천공항 입국 중국인이 확진 후 도주했습니다.

지난주의 중국 입국자의 31%가 코로나 양성이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867255?sid=102

英 "中 코로나19 확진자 격리 안 해…입국 후 검사는 정보수집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25457?sid=104

질병청 코로나관리 시스템 먹통...중국發 입국자 어딨는지 모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38353?sid=102

참고로 오늘 코로나 확진 및 사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로나 신규 확진자 7만8575명…위중증 623명, 사망 54명
https://www.bntnews.co.kr/article/view/bnt202301040006

상당히 코로나가 요즘 주변에서 많이 볼 정도로 늘어나고 있네요, 모두 건강 유의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울 굿맨
23/01/04 10:51
수정 아이콘
세 번째 뉴스는 영국이 손놨다는 내용인데요.

영국 정부는 중국발 입국자들이 입국 후 검사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더라도 별도의 격리 조치는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마크 하퍼 영국 교통부 장관은 3일(현지시간) L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입국 후 검사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보인 중국 여행객들을 격리 조치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 "아니다"라며 "우리는 감시 목적으로 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빼사스
23/01/04 11:15
수정 아이콘
아이쿠 수정했습니다.
23/01/04 10:57
수정 아이콘
진짜 끝까지 중국은 좋아할래야 할 수가 없어요..
장만월
23/01/04 11:00
수정 아이콘
한국인이 중국가서 코로나 확진 받고 공항에서 탈출, 도주한다고 생각하면 공안이 와서 인체의신비전으로 보내버리거나 현장에서 총살시킬것 같은데 우리나라는 대응이 어떻게 될지...
Janzisuka
23/01/04 11:00
수정 아이콘
아 쫌!!! 꺼져어어어어어어어
오우거
23/01/04 11:10
수정 아이콘
오지마
여왕의심복
23/01/04 11:21
수정 아이콘
댓글로 남겨둡니다~!

중국 등 새로운 변이에 대한 검역 강화
1. 중국 관련 검역조치 강화
- 이번주부터 중국 입국자를 대상으로 1. 입국후 24시간 이내 PCR 검사 의무화, 2. 입국 전 48시간 이내 PCR 음성확인서, 24시간 이내 신속항원검사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화, 3. 입국비자 발급 축소 등의 조치가 시행되었습니다.
- 또 홍콩과 마카오에서 입국하는 분들은 음성확인서를 지참하셔야합니다.
- 어제는 단기체류자 중 약 20%가 PCR 양성인 결과가 나오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또한 중국에서 엄청난 규모의 감염자가 발생하며 새로운 변이의 발생 가능성도 상존합니다.
2. 검역조치의 목적과 의미
- 그러나 이번 검역강화는 이전의 검역정책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지난 3년간의 경험을 통해 해외 유입 차단이 극히 어렵다는 점과 우리나라 방역정책 패러다임의 변화가 반영되었기 때문입니다.
-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가 해외에서 유행하던 시기에는 우리나라에서는 2주간 자가격리와 자가격리 전후 PCR 검사가 의무화되었었습니다. 그러나 결국 델타변이와 오미크론 변이의 국내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못했습니다.
- 지금 검역조치는 새로운 변이나 중국에서의 감염자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 아닙니다. 실현가능한 목표는 1. 새로운 변이에 대해서 최대한 빠른 정보를 획득하고 2. 새로운 변이가 등장한다면 그 유입속도를 조금이나마 늦추는데 있습니다.
- 그런 점에서 입국 후 PCR 검사 의무화는 새로운 변이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이 가능한 검체를 확보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나머지 조치도 유입속도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3. 현 조치의 한계와 필요한 정보
- 우리나라의 코로나 19 검역정책은 2022년 큰 폭으로 완화되었습니다. 사회경제적 피해가 누적되고 국제 교류가 중요한 우리나라에서 상황에서는 불가피한 선택입니다. 그 과정에서 검역 관련 인적 물적 자원 투입은 매우 축소되었습니다.
- 현재 중국입국자에 대한 검사와 격리만으로도 인천공항 검역소 분들과 지자체 방역인력은 매우 힘든 상황입니다. 그리고 지금 검역정책의 목표가 완전한 유입차단이 아니므로 전수 격리, 추적과 같은 강력한 정책을 실시하기도 어렵습니다.
- 그러나 지금 검역정책을 통해서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변이에 대한 정보(면역회피 정도, 중증화율의 변화 등)를 획득할 수 있다면 우리나라는 물론 전세계적으로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일상회복은 그대로 지속되어야 한다.
- 저는 중국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일상 회복을 위한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우리나라는 매우 높은 수준의 복합면역을 획득한 상황이고 의료대응 역량과 경험도 충분합니다. 이를 위해서 지난 3년간의 고통을 감내했고, 우리나라는 어느정도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 강력한 변이 출현 등 새로운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는 철저히해야 하나 아직 실현되지 않은 일이 또 다른 사회경제적 피해와 혼란을 가져오지 않기를 바랍니다.
jjohny=쿠마
23/01/04 11:33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3/01/04 11:38
수정 아이콘
'지금 검역조치는 새로운 변이나 중국에서의 감염자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 아님'이 핵심이네요. 이 문제에 대해 잘못 생각하고 있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빼사스
23/01/04 11:43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배워갑니다~!
그럴수도있어
23/01/04 11:4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공항에 계신 분들은 많이 힘드시겠네요.
기쁨평안
23/01/04 11:24
수정 아이콘
과학방역 잘하시길
깔롱이
23/01/04 11: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인종비하로 제재합니다(벌점 4점)
이경규
23/01/04 12:02
수정 아이콘
런닝맨을 너무 많이봤나
고오스
23/01/04 12:28
수정 아이콘
새 변이 바이러스가 퍼지고 있다는데 과힉방역으로 제대로 쫌 막아줬으면 좋겠네요
대머리혐오자
23/01/04 12:40
수정 아이콘
중환자실에서 젊은 애가 직접 삽관하고 있다가 죽는 것도 보고, 저도 죽다 살아나서 그런 가 진짜 뭐같네요.
wannaRiot
23/01/04 12:44
수정 아이콘
이거슨 과학
괴물군
23/01/04 12:46
수정 아이콘
이니 왜 도망가냐고 남의 나라왔으면 남의 나라 법좀 지키라고
메가트롤
23/01/04 12:51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23/01/04 12:55
수정 아이콘
저정도면 영구로 한국 못 들어오겠죠?
뜨거운눈물
23/01/04 12:55
수정 아이콘
여전히 신규 확진자가 5만을 넘고 사망자도 50명 넘는거 오랜만에 알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714 [정치] [단독] ‘날리면’ vs ‘바이든’ 법정으로…외교부, MBC에 소송 [309] 동굴곰28585 23/01/15 28585 0
97713 [일반] 분노/퍼스트맨/언더 더 스킨 감상 [1] 그때가언제라도8602 23/01/15 8602 1
97712 [일반] 2022년 영화 베스트 25 - 주관 100% [23] azrock18206 23/01/15 18206 5
97711 [일반] [팝송] 제가 생각하는 2022 최고의 앨범 Best 15 [10] 김치찌개10533 23/01/15 10533 12
97710 [일반] 이태원 분향소를 다녀왔습니다. [69] Not0nHerb16782 23/01/14 16782 37
97709 [일반] 2-1) ‘군용’의 마법 – 왜 무기는 비쌀까? part 1. [21] 오후2시14853 23/01/14 14853 12
97706 [일반] 고은 시인의 등단 65주년을 기념하며 [51] lexicon13615 23/01/14 13615 1
97705 [일반] 2030 남녀의 소득 대비 소비 수준의 차이 확인 [196] kien.24256 23/01/14 24256 5
97704 [일반] 아바타2 보고 [16] 수국10744 23/01/14 10744 3
97703 [일반] 변호사가 알려주는 변호사 이야기(좋은 변호사를 고르는 방법) [51] 완전연소15230 23/01/14 15230 44
97702 [일반] 한국인 명품소비 세계 1위... 부의 과시+외모 중시 풍조 [274] 보리야밥먹자21275 23/01/14 21275 2
97701 [일반] [주식 책소개] 홍진채- 거인의 어깨(예시 추가) [12] 헤세드838787 23/01/14 8787 4
97700 [정치] 미일 정상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재확인…한미일 협력 강화" [183] 크레토스19862 23/01/14 19862 0
97699 [일반] 원작존중 vs 2차 창작자에 표현의 자유 [41] 깐부13899 23/01/13 13899 2
97698 [일반] 술알못 BAR에 가서 위스키 즐긴 후기.JPG [13] insane13048 23/01/13 13048 4
97697 [일반] 뉴진스 디토 커버 댄스를 촬영해 봤습니다. [28] 메존일각13630 23/01/13 13630 26
97696 [정치] 윤석열 대통령, 나경원 사표수리 거부하고 전 직위에서 전격 해임 [194] 홍철27508 23/01/13 27508 0
97695 [일반] TouchEn nxKey 취약점 공개에 대한 개발사의 입장 [47] Regentag17241 23/01/13 17241 2
97694 [일반] 잊은 카드포인트 돌려받았는데...광고는 아니겠죠? [31] Janzisuka10529 23/01/13 10529 4
97693 [일반] 차를 계약했습니다. 후기 [132] 소이밀크러버13667 23/01/13 13667 50
97692 [일반] 제가 수행한 방위사업을 돌아보며 - (1) 방위사업에서 미국의 영향력 [32] 오후2시12576 23/01/13 12576 36
97691 [정치] 용산구청 당직자, 이태원 참사 당일 ‘대통령 비판’ 전단지 제거 작업 [50] 오늘16761 23/01/13 16761 0
97689 [일반] [역사] 2001년 가장 핫했던 먹거리 - 삼각김밥 [54] Fig.1129559 23/01/13 129559 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