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2/08 01:38:10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949370415
Subject [일반] <그래비티> - (스포)두고 온 것과 붙잡아야 하는 것, 결국 모든 것은 중력의 문제. (수정됨)
최근 <그래비티>의 IMAX 3D 포맷 재상영을 보고 오랜 고민 끝에 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오랜 고민을 한 이유는 첫 째로, 이 영화의 많은 것들이 시각적인 부분에 기대고 있다는 점, 그래서, 다시 봤을 때 그 충격을 다시금 경험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걱정했다는 점과 둘 째, 영화가 가지고 있는 서사 자체는 꽤 단순하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러니까, 다시금 영화를 본다는 것은 어느 정도 영화의 패를 읽고 시작하는 셈이니까요.

그럼 제 두 번째 관람의 감상을 전해드리겠습니다.
'쩐다.'

<그래비티>는 제가 생각했던 것 보다(물론 당시에도 매우 좋아하는 작품이었습니다.) 훨씬 좋은 영화, 좋은 이야기를 가진 영화라고 생각이 드네요. 먼저 시각적인 부분을 말씀드리자면, 스틸 컷이나 혹은 캡쳐로 담을 수 없는 그런 화면이 있습니다. 어떤 측면에서는 '시네마틱'한 경험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아무리 좋은 환경을 만든다고 해도, 극장에서만, 큰 화면에서만 느낄 수 있는 감정이요. 특히 이러한 장면은 그 모든 여백이 암흑으로 채워지고, 오직 스톤 박사의 모습만 점점 멀어지는 초반부 장면에서 느껴집니다. 사운드도 훌륭하구요.

<그래비티>의 서사는 제가 처음 봤을 때는 '재탄생'의 서사라고 생각했습니다. 아주 직접적으로 ISS에 도착했을 때에 드러나기도 하지만, 우주의 경험을 통해서 새로이 탄생한 인물의 이야기라구요. 하지만 다시 본 영화는 아무래도 연결과 이음에 대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더라구요. 물론 두 이야기가 아주 멀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태아의 모습으로 보이는 에어로크 안의 스톤 박사나, 도달하는 지점이 호수 안이라는 점, 개구리와 호수 바깥으로 나와 첫 걸음으로 마무리하는 장면은 재탄생의 서사라는 감상을 주기도 하구요. 동시에 많은 이야기는 연결과 관련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붙잡고, 찾아내고, 또 휘청이는 와중에도 버텨내기 위해 줄을 잇는 것이기도 합니다. 줄을 스스로 놓아버린 유일한 인물은 자기 희생을 위해 줄을 놓았고, 다시금, 희망을 주기 위해 환각의 형태로 등장하기도 하구요.

네, 결국 영화를 구성하는 건 시각적 효과와 이야기라는 점을 오랜만에 느껴보는 영화였습니다. 그러니까, 이 영화는 여전히 좋은 시각적 효과와 좋은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아이러니컬하게도 영화 내내 부재하던 '중력'이 영화의 제목인 이유는 결국 지구에 두고 온 것, 그리고 내가 붙잡아야할 것, 이 모든 것들이 삶의 동기이자 우리를 삶에 열중하게 하는 중력이기 때문은 아닐까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갈량
22/12/08 08:53
수정 아이콘
저도 다시 보았을때
모든걸 잃은줄 알았지만
사실은 모든것을 넘어 잇고자 하는 마음이 더 중요하다는 것
고립을 통해 깨닫고
원초적인 일어섬으로 나아가는 이야기로 느껴지더라구요.
aDayInTheLife
22/12/08 09:13
수정 아이콘
말 그대로 성장의 이야기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다드
22/12/08 09:17
수정 아이콘
뻔하지만 뻔함이 없었어요. 박수나 환호가 없어도 충분히 가슴벅찬 귀환. 돌비로 봤을때도 너무 좋았었는데 글 보니 아이맥스 3D로도 보고싶네요.
aDayInTheLife
22/12/08 09:24
수정 아이콘
그렇죠. 근데 아맥 3d 너무 비싸요…
인민 프로듀서
22/12/08 09:36
수정 아이콘
이 시대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인민 프로듀서
22/12/08 09:41
수정 아이콘
네버마인드 휴스턴, 내 생각에 가능한 결과는 두가지다. 하나는 무사히 착륙해서 끝내주는 썰을 풀어주는거고, 또 하나는 여기서 불타죽는것. 어느쪽이든, 밑져야 본전이지!

왜냐면 어느쪽이든... 개쩌는 여행이 될테니까.
aDayInTheLife
22/12/08 09:51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흐흐
22/12/08 11:00
수정 아이콘
개봉 당시에는 보지 못했고,
14년에 아카데미 수상 기념 재개봉시에 용아맥
18년에 재개봉에도 용아맥
21년에는 메가박스 돌비 뭐시기 관에서 또 관람했습니다.

이 영화의 모든 의미를 담고 있는 '그래비티' 라는 제목이 너무 좋습니다.

이 글 보고 재개봉 정보 찾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aDayInTheLife
22/12/08 11:36
수정 아이콘
매드맥스도 재개봉 중이에요!
아리아
22/12/08 11:31
수정 아이콘
저는 개인적으로 시각효과도 별로였고
이야기도 단순해서 와닿지는 않는 영화였네요ㅠㅠ
aDayInTheLife
22/12/08 11:37
수정 아이콘
그러실 수 있죠 흐흐 영화의 얼개는 단순한 이야기라고 해도 되니까요.
22/12/08 11:31
수정 아이콘
이 글 보고 내일 아이맥스 재개봉관 갑니다.
리마인드해주셔서 고맙습니다
aDayInTheLife
22/12/08 11:36
수정 아이콘
매드맥스도 재개봉 중입니다!
Lena Park
22/12/08 12:57
수정 아이콘
둘다 작은 화면으로봐서,,,ㅠㅠ 아이맥스로 둘다 보긴 스케줄도 그렇고 좀 빡센데...
그래비티 vs 매드맥스 하면 어떤게 좋을까요??
aDayInTheLife
22/12/08 15:50
수정 아이콘
매드맥스는 저도 아이맥스는 아니었는데.. 음.. 생각해보면 그래도 그래비티 쪽 손을 들어주고 싶긴 합니다.
인민 프로듀서
22/12/08 21:40
수정 아이콘
작은 화면으로 보셨으면, 그래비티 아직 안보신거라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12년째도피중
22/12/08 15:16
수정 아이콘
흑흑흑 지방러는 이럴 때 웁니다.
정말 보고 싶고요. 같이 보러 갔던 분이 너무 좋아하셔서 저까지 행복했던 기억 때문에라도 다시 큰...화면에서 보고 싶습니다. 하지만 서울이지. 크크크.
aDayInTheLife
22/12/08 15:50
수정 아이콘
저도 지방러.. 지만 아이맥스로 봤..
12년째도피중
22/12/08 16:41
수정 아이콘
지방러중 최강자인 부산분 아니십니까. 여긴 그냥 촌놈이라고 할께요. 지방도 등급차이가 있지 참. 흑흑.
aDayInTheLife
22/12/08 17:51
수정 아이콘
울산 삽니다.. 학교 땜시 잠깐 부산..
살려야한다
22/12/08 21:25
수정 아이콘
제일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고 영화관에서 가장 많이 본 영화입니다. 흐흐 이번에도 보러 갈 듯
aDayInTheLife
22/12/08 21:26
수정 아이콘
재밌게보세요! 흐흐 역시 뛰어난 작품이라고 생각이 들더라구요.
22/12/09 10: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리마인드 해주신 덕분에 다시 아이맥스로 봤습니다.
제 생각에 한 단어로 영화를 표현하라면 본문 말씀대로 [연결]의 영화네요.
역시 제 인생 영화 탑3 안에 듭니다 흐흐흐.

간만에 행복했네요. 고맙습니다.
aDayInTheLife
22/12/09 11:14
수정 아이콘
재밌게 보셨다니 좋네요 흐흐
피우피우
22/12/09 17:42
수정 아이콘
제가 보고 느꼈던 것과 감상이 비슷해서 많이 공감하며 읽었습니다. "이야기가 간결하다고 해서 깊이가 없는 게 아니다." 라는 이동진 평론가의 멘트가 참 인상깊었는데, 그래비티라는 영화를 가장 잘 표현하는 멘트라고 생각합니다.
aDayInTheLife
22/12/09 18:26
수정 아이콘
흐흐 그렇죠. 단순하지만 힘있고 깊이 있는 이야기가 이 영화가 오랫동안 기억되는 이유 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403 [일반] IVE의 Love Dive 를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봤습니다. [8] 포졸작곡가8651 22/12/13 8651 2
97401 [일반] 고교학점제를 위한 변명 [179] 토루17209 22/12/13 17209 27
97400 [일반] [성경이야기]삼손과 들릴라 [9] BK_Zju12693 22/12/12 12693 18
97399 [일반] 음바페를 위한 이야기 (버드와이저 스폰서 노출 논란) [20] 찬공기13124 22/12/12 13124 8
97398 [일반] 4분기 RX 7900 XTX, RX 7900 XT용 RDNA 3 '나비 31' GPU 20만개 출하 [16] SAS Tony Parker 10414 22/12/12 10414 1
97397 [정치] 이주호 장관 "고교내신 절대평가 전환 검토" [84] 우주전쟁16124 22/12/12 16124 0
97396 [일반] 2023년 수도권 전철 신설/연장 예정 노선 [32] 光海14290 22/12/12 14290 7
97395 [일반] 이민의 활성화에 대한 제언 [40] 닉넴바꾸기좋은날11296 22/12/12 11296 0
97394 [정치]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 일으킨 보증채무 2050억 전액 상환 [102] 기찻길20105 22/12/12 20105 0
97393 [정치] 이대남을 보면서 느끼는 잡다한 생각 [341] 듀오폴드26320 22/12/12 26320 0
97392 [일반] 일본 애니송계의 거장, "아니키" 미즈키 이치로 타계. [22] Myoi Mina 11162 22/12/12 11162 4
97391 [일반]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 짓누런 광기의 폭주. [34] aDayInTheLife10377 22/12/12 10377 1
97390 [일반] 매매혼도 꼭 나쁘진 않은거 같아요 [88] rclay17603 22/12/12 17603 12
97389 [일반] '젊은 의사들이 소아과를 기피하는 이유'를 보고 [325] atmosphere23586 22/12/12 23586 4
97388 [일반] [방산] 이거 폴란드 가는 물건 아닙니다. [50] 어강됴리15480 22/12/12 15480 2
97387 [일반] 하루하루가 참 무서운 밤인걸 [20] 원미동사람들13393 22/12/12 13393 24
97386 [일반]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내보았습니다~ [4] 포졸작곡가9608 22/12/12 9608 7
97384 [일반] [리뷰] 슬램덩크 극장판 짧은 리뷰 (약스포) [48] 아케이드14047 22/12/11 14047 5
97382 [일반] 2022년 노벨 수상식 개회사 (번역) [4] No.99 AaronJudge12036 22/12/11 12036 10
97381 [정치] 대구 도시계획과 대구의 부동산 [32] 김유라19721 22/12/11 19721 0
97380 [일반] <기예르모 델토로의 피노키오> - 현실과 융합하는 판타지.(최대한 노스포) [6] aDayInTheLife10385 22/12/11 10385 1
97379 [정치] 혐오는 민주주의의 아이러니한 도덕이다 (부록: 유전자결정론에 대한 생각) [31] 계층방정15260 22/12/10 15260 0
97378 [정치] 서울시가 전장연 시위 지하철역 무정차를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148] 만수르23161 22/12/10 2316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