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2/05 12:21:46
Name Regentag
Link #1 https://news.hada.io/topic?id=7956
Subject [일반] 삼성 안드로이드의 앱 서명키가 유출되어 멀웨어에 사용 (수정됨)
삼성 안드로이드의 앱 서명키가 유출되어 멀웨어에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https://news.hada.io/topic?id=7956
====

• 개발자의 암호화 서명 키는 안드로이드 보안의 핵심요소
• 구글 안드로이드 보안팀에서 올린 글에 유출된 키들에 대한 설명이 있는데, 일부 키가 삼성/LG/Mediatek 소유의 키임
• 심지어 이 키들은 "플랫폼 인증서 키" 라서 거의 루트 접근에 가까움
  - 시스템에 "android" 앱을 인증하는데 사용 하는 키임
  - 이 "android" 앱은 권한이 높은 사용자 ID인 "android.uid.system" 으로 실행되어 사용자 데이터 액세스 권한 및 시스템 권한을 보유함
  - 이 인증서로 서명된 모든 앱은 안드로이드 OS에 대해서 같은 수준의 권한으로 실행이 가능

• 유출된 삼성의 키는 삼성페이, 빅스비, 전화 앱 등 약 101개에 이르는 페이지에 있는 수백개의 앱들에 사용되었음
• 심지어 삼성은 오늘까지도 해당 키를 교체 하지 않았음
• 얘기가 더 이상한 것은, APKMirror 설립자가 말하길 VirusTotal에서 해당 키로 서명한 멀웨어는 2016년 것이라는 것
====

앱 서명(코드 서명)은 어떤 실행파일에 인증서로 “서명”하여 이 프로그램이 올바른 개발자(기업)가 배포한 것임을 인증하고, 체크섬을 활용하여 변조가 없음을(무결성) 보장할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https://ko.m.wikipedia.org/wiki/코드_서명

즉 단말기에서는 삼성의 인증서로 서명된 앱은 삼성이 배포한 것이므로 믿어도 된다고 판단되는거죠.

국내에서 코드 서명 인증서의 유출사건은 간간히 있어왔고, 2016년 관련 대책이 논의된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보안SW 코드서명 인증서 유출 사고 경험담 : 시사점과 대응책은 무엇?] (이유지 | 2016년 4월 29일)
https://byline.network/2016/04/1-137/

한국전자인증은 유출방지 캠페인도 하고 있네요.
[한국전자인증,코드사인 인증서 유출방지 캠페인 실시](2019년 August 8일)
https://cert.crosscert.com/한국전자인증코드사인-인증서-유출방지-캠페인-실/

캠페인의 방향은 “EV 인증서를 도입하라”인 것 같지만요. (EV 인증서는 발급 비용이 비쌉니다.)

한편, 이 문제에 대하여 질의하자 삼성은 다음과 같은 답을 보내왔다고 합니다.
"삼성은 갤럭시 기기의 보안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2016년부터 해당 문제를 인지하고 보안패치를 진행하였으며, 현재까지 해당 취약점과 관련된 보안 사고는 알려진 바 없습니다. 항상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장치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것을 추천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케이드
22/12/05 12:44
수정 아이콘
정말 요즘 삼성 왜 이럴까요...
22/12/05 12:45
수정 아이콘
애초에 키 관리를 저렇게 하면 EV 인증서 할애비가 와도 못박을탠대 말이죠 크크
삼성정도 되는 회사가 키 관리를 저렇게 허술하게 하는게 이해 안되네요.
22/12/05 13:03
수정 아이콘
아침에 보긴 했는데 생각이 많습니다.

저정도면 적어도 기존 기기는 몰라도 어느시점 이후 기기의 키는 바꾸든 뭘 했어야 하지않나 싶은데
똥진국
22/12/05 13:21
수정 아이콘
어느 순간부터 아무 생각이 없는 삼성이 되버렸군요
삼성이 누군가에게 약점을 잡힌건지 뭔가 자포자기한듯한 운영을 하는 모습입니다
이재용을 두들겨 패고 싶습니다
22/12/05 13:53
수정 아이콘
요즘 삼성은 혁신이 사라진 느낌은 있네요
내부적으론 치열하게 연구 하겠지만
페스티
22/12/05 14:06
수정 아이콘
한심한 모습만 보여주는 것을 보면 불안합니다
단비아빠
22/12/05 15:11
수정 아이콘
유출된 키를 사용했다는 그 멀웨어가 뭔지 이름조차 못밝히는 시점에서 신빙성이 팍 떨어지는데요..?
구지 못밝힐 이유가 하나도 없는데..??
조메론
22/12/05 15:14
수정 아이콘
동감해요.
기사도 그냥 주장일 뿐이고, 이걸로 삼성 욕할 일인가 싶네요.
타카이
22/12/05 15:37
수정 아이콘
구글 보안팀인 프로젝트 제로팀 발표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스파이웨어 업체에서 위 취약점으로 개발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는데 앱이 특정되면 더 확산될 수 있으니 그부분은 가릴 수 있죠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1467

제로데이 취약점이니 위험한 게 맞습니다
단비아빠
22/12/05 15: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멀웨어 이름이 특정된다고 해서 멀웨어가 더 확산될 이유는 하나도 없습니다
타카이
22/12/05 15:54
수정 아이콘
저의 짧은 생각으로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 세상에서 범죄 툴 제작이 가능한 판매자가 알려지면
해당 제작자를 대상으로 한 의뢰가 늘 개연성이 있지 줄어들거라고는 생각되지 않네여
Regentag
22/12/05 15:56
수정 아이콘
“사인 키가 유출되었다”와 “유출된 키가 멀웨어에 사용되었다”는 2가지 주장이 나온 것인데, 일단 유출 자체는 사실인 것 같습니다. 삼성의 입장도 유출을 부정하진 않았고요.

다음 링크에서는 Google 엔지니어가 밝힌 멀웨어의 목록이 있긴 한데 어떤게 삼성의 유출된 키가 사용되었는지 명시하진 않았네요.
https://www.xda-developers.com/android-oem-key-leak-samsung-lg-mediatek/
도라지
22/12/05 17:54
수정 아이콘
그럼 인지한 즉시 업그레이드를 하라고 권고했어야 하는데, 이 건 관련해서는 권고사항을 못봤네요.
좀 특이한 대응이긴 하네요.
타츠야
22/12/05 17:12
수정 아이콘
삼성의 변명을 믿는다면 이미 배포된 모든 앱들의 서명키 변경을 하기 어려우니 해당 서명키로 signed 된거 외에 다른 보안 체크를 추가한 것으로 보이네요. 그리고 그 로직은 삼성이 커스터마이즈한 안드로이드 하위 레이어에서 동작하는 것 같고.(그래서 최신 SW로 업데이트를 유지하라고 코멘트)
처음엔 말이 안 된다 생각했지만 다른 한편으론 서명키라는게 100% 안전하게 보관된다는 보장은 아무도 할 수 없어서 (최근에 토요타도 GitHub에 몇 년동안 보안키를 보관...). 그리고 구글쪽에는 이미 노티가 되어서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도 추가 조치를 한 걸로 보이구요.
타츠야
22/12/05 19:46
수정 아이콘
댓글 추가합니다.
오늘 뉴스로 NHN에서 운영중인 페이코도 서명키가 뚫렸네요.
'천만 페이코' 서명키 유출 넉달이나 뚫린 것 몰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055720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121 [일반] 챗GPT는 시작이고 진짜 모든 게 바뀔 겁니다. 메타버스랑은 다릅니다 [93] 두부16888 23/03/10 16888 2
98120 [일반] 저도 보고왔습...더 퍼스트 슬램덩크 [3] 1등급 저지방 우유7642 23/03/10 7642 2
98118 [일반] 단돈 10만원으로 오랜 우정 마무리한 썰 [33] 톤업선크림12225 23/03/10 12225 15
98117 [일반] 튀르키예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 이벤트 결과 안내 [7] clover8982 23/03/10 8982 12
98116 [정치]  '영끌족' 청년 4900명 724억 '이자 탕감' / 9억 집도 최저 3.7% 안심전환대출 [112] 동훈20867 23/03/10 20867 0
98115 [일반] 소아청소년과가 없어질 상황이네요... [172] Restar16954 23/03/10 16954 20
98114 [일반] JMS 권위자 김도형 교수 "KBS 안에 JMS 신도들 있음" [51] 검사11054 23/03/10 11054 3
98113 [정치] 이재명의 전 비서실장이 사망했습니다.+성남지청 입장 추가 [358] 아이스베어24553 23/03/10 24553 0
98112 [정치] 학생들의 일상화 된 언어 - 정순신 아들 학교폭력 사건에 비추어 [95] Vacuum14787 23/03/09 14787 0
98111 [정치]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대한민국 위상에 맞게”…‘주 80.5시간 노동’ [258] SkyClouD24538 23/03/09 24538 0
98110 [일반] <흑백무제> 또 다른 형태의 인간찬가 / 스포주의!! [16] 마신_이천상12694 23/03/09 12694 1
98109 [일반] 최근에 읽어본 2000년 이전 만화들 [113] 손금불산입17625 23/03/09 17625 11
98108 [정치] [돌발영상] 69시간 일하고 한달살기 어떠세요? [156] Not0nHerb19771 23/03/09 19771 0
98107 [일반] 쓰기 전에 생각이란 걸 해봤나요? [91] 쓸때없이힘만듬14303 23/03/09 14303 16
98106 [정치] 태영호를 보며 드는 씁쓸한 생각 [195] 프리오이19842 23/03/08 19842 0
98105 [정치] 더 내놓으라는 일본 [261] 동훈23234 23/03/08 23234 0
98104 [일반] [뻘글]초딩시절 우리학교의 7대 전설 [17] valewalker9347 23/03/08 9347 4
98103 [일반] [일상뻘글] 컴퓨터에 400을 태우라한건 난데 왜 PGR을 칭찬함? [42] Hammuzzi11608 23/03/08 11608 33
98102 [정치] 천하람 [70] 烏鳳15826 23/03/08 15826 0
98101 [일반] 심심해서 쓰는 무협 뻘글 7 [12] 具臣6593 23/03/08 6593 3
98100 [정치] 3할타자 윤석열 vs 3할타자 이재명 치열하네요 [86] 아수날16780 23/03/08 16780 0
98099 [정치] [속보]국민의힘 대표에 김기현…득표율 52.93% [277] 윤석열20199 23/03/08 20199 0
98098 [일반] 전북 순창군 사고를 계기로 생각하는 고령운전자 사고문제 [100] Nacht16274 23/03/08 16274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