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1/01 15:12:52
Name SAS Tony Parker
File #1 874aeac6e0c47c100a2aaa3aeef83c30.jpg (145.3 KB), Download : 99
File #2 d511965d502ea02e3ee99934c2cf6c18.png (614.3 KB), Download : 47
Link #1 https://videocardz.com/newz/geforce-rtx-4080-listed-at-1200-in-us-e1621-in-finland
Subject [일반] RTX 4080이 미국에서 1200달러, 핀란드에서 1621유로 등록




생략
뉴에그는 이제 PNY의 RTX 4080을 1200달러에 보여줌. 가장 빠르고 가장 나은 RTX 4080 모델은 아니나 적어도 미국의 MSRP에 4080이 있을 것임을 확인시켜줌

유럽에서 RTX 4080은 이미 영국에서 엔비디아 MSRP보다 약 180파운드 더 높은 1450파운드에 달하는 가격으로 보인적이 있음 Eurozone에서는 출시 시 비슷한 가격을 볼 수 있으며 가장 저렴한 모델은 MSRP보다 110유로 더  비쌈

유럽 전역에 지사를 두고 있는 대형 소매업체 Proshop은 이제 핀란드의 가격을 유로화로 표시함 핀란드의 공식 엔비디아 파트너이므로 가격은 초기 출시가 아닌 경우 MSRP보다 훨씬 높아서는 안됨

핀란드는 EU(24%)에서 VAT가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이므로 RTX 40 시리즈의 공식 가격은 대부분의 EU 국가보다 높습니다. RTX 4090의 경우 1,999유로이고 RTX 4080의 경우 1,509유로임

가장 저렴한 모델은 1620유로의 Inno3D RTX 4080 X3이며, 다른 모델인 ASUS ROG STRIX OC의 경우 1970유로에 판매됨. 이런 가격이라면 RTX 4090이 소매점에 재고가 없고 MSRP에도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 50유로만 더 내면 RTX 4090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주장할 수 있음

엔비디아는 공식적으로 11월 16일에 RTX 4080 그래픽 카드를 출시하지만 리뷰가 더 빨리 게시될 것으로 예상해야함

1621유로= 227만 (부가세 거품 참고)
1200달러 = 169만

국내가 190만원대 예상합니다

요약 4080 더럽게 비싸다 90 하급이 나을수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01 15:17
수정 아이콘
못-사
괴물군
22/11/01 15:28
수정 아이콘
3090 ti 특가로 129만원인가 사서 만족하면서 사용중입니다.

40 시리즈는 여러 통수들이 있기도 하고 나이 들어가면서 새제품 굳이 빨리 영접하기 보다는 다 안정화 되고 세대가 바뀔때 쯤에

살살 바꾸는게 효율적인 거 같아서 먼가 커진거 만큼 가격대로 같이 커지는거 같아서 애고....
키비쳐
22/11/01 15:28
수정 아이콘
안돼 못 사 돌아가
소독용 에탄올
22/11/01 15:34
수정 아이콘
살 사람은 살 테니 그사람한테 확실히 받아가는 한국 전문서적 같은 가격책정이....
22/11/01 15:43
수정 아이콘
1200달러. 한화 170만 원이네요.
1080살 때 54만 원 주고 살 때도 비싸다고 생각했는데 그새 물가가 300% 넘게 올랐군요.
Lord Be Goja
22/11/01 16:00
수정 아이콘
카드잠기는 바람에 풀리기 기다리면서 눈독들이던 최하급 4090이 이소식나오고 하루만에10만원 떡상했습니다
SAS Tony Parker
22/11/01 16:04
수정 아이콘
엌크크크
카드는 어쩌다..
Lord Be Goja
22/11/01 16:11
수정 아이콘
닉네임을바꾸다
22/11/01 16:16
수정 아이콘
고민은 배송만 늦춘다는 진리를 잊으셨군요...
Lord Be Goja
22/11/01 16:11
수정 아이콘
SAS Tony Parker
22/11/01 16:20
수정 아이콘
으엌..
22/11/01 16:05
수정 아이콘
4070 4060은 출시하려면 한참 남았겠죠?
SAS Tony Parker
22/11/01 16:09
수정 아이콘
한참까진 아니고 30 다 털때쯤 되면 슬슬
다크 나이트
22/11/01 17:36
수정 아이콘
이거 3070 그냥 타야하나 40 세대 나오는거 기다려야 하나 되게 고민되네요. 뭐 하이엔드급 은 바라지도 않고 적당한 27인치 qhd 옵션 타협 정도로 넘어가고 싶은데...
Lord Be Goja
22/11/01 17:42
수정 아이콘
https://gigglehd.com/gg/bbs/13182456

4090 사기 힘들어 죽겠네요

이게 다 4080때문입니다..
22/11/01 18:17
수정 아이콘
4080(이라쓰고 4070이라고읽는다) 따리가 무슨 3090 출시가랑 맞짱뜨게 생겼습니다 여러분

세대는 하나 발전했는데 가격은 두단계를 뛰어넘네
SAS Tony Parker
22/11/01 18:45
수정 아이콘
젠슨황: 또 속아주냐?
22/11/01 18:51
수정 아이콘
아이폰도 그렇고 오늘 사는게 제일 싸다
밥돌군
22/11/02 01:55
수정 아이콘
이가격이면 3080 채굴때 비싸게 팔던 가격하고 큰 차이 안나는 것 아닌가요? 황회장 그냥 쓰레기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405 [일반] 게시글이 대한민국 인터넷에 퍼지는데 딱 24시간 [24] 오곡물티슈16149 22/12/13 16149 12
97404 [일반] 손윗사람 과의 대화 [18] 초모완8910 22/12/13 8910 8
97403 [일반] IVE의 Love Dive 를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봤습니다. [8] 포졸작곡가9106 22/12/13 9106 2
97401 [일반] 고교학점제를 위한 변명 [179] 토루17976 22/12/13 17976 27
97400 [일반] [성경이야기]삼손과 들릴라 [9] BK_Zju13569 22/12/12 13569 18
97399 [일반] 음바페를 위한 이야기 (버드와이저 스폰서 노출 논란) [20] 찬공기13581 22/12/12 13581 8
97398 [일반] 4분기 RX 7900 XTX, RX 7900 XT용 RDNA 3 '나비 31' GPU 20만개 출하 [16] SAS Tony Parker 10891 22/12/12 10891 1
97397 [정치] 이주호 장관 "고교내신 절대평가 전환 검토" [84] 우주전쟁16597 22/12/12 16597 0
97396 [일반] 2023년 수도권 전철 신설/연장 예정 노선 [32] 光海14799 22/12/12 14799 7
97395 [일반] 이민의 활성화에 대한 제언 [40] 닉넴바꾸기좋은날11804 22/12/12 11804 0
97394 [정치]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 일으킨 보증채무 2050억 전액 상환 [102] 기찻길20512 22/12/12 20512 0
97393 [정치] 이대남을 보면서 느끼는 잡다한 생각 [341] 듀오폴드27332 22/12/12 27332 0
97392 [일반] 일본 애니송계의 거장, "아니키" 미즈키 이치로 타계. [22] Myoi Mina 11691 22/12/12 11691 4
97391 [일반]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 짓누런 광기의 폭주. [34] aDayInTheLife10859 22/12/12 10859 1
97390 [일반] 매매혼도 꼭 나쁘진 않은거 같아요 [88] rclay18125 22/12/12 18125 12
97389 [일반] '젊은 의사들이 소아과를 기피하는 이유'를 보고 [325] atmosphere24304 22/12/12 24304 4
97388 [일반] [방산] 이거 폴란드 가는 물건 아닙니다. [50] 어강됴리15936 22/12/12 15936 2
97387 [일반] 하루하루가 참 무서운 밤인걸 [20] 원미동사람들13826 22/12/12 13826 24
97386 [일반]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내보았습니다~ [4] 포졸작곡가10115 22/12/12 10115 7
97384 [일반] [리뷰] 슬램덩크 극장판 짧은 리뷰 (약스포) [48] 아케이드14602 22/12/11 14602 5
97382 [일반] 2022년 노벨 수상식 개회사 (번역) [4] No.99 AaronJudge12536 22/12/11 12536 10
97381 [정치] 대구 도시계획과 대구의 부동산 [32] 김유라20306 22/12/11 20306 0
97380 [일반] <기예르모 델토로의 피노키오> - 현실과 융합하는 판타지.(최대한 노스포) [6] aDayInTheLife10839 22/12/11 1083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