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31 01:29:12
Name 무한도전의삶
File #1 하늘공원_2.HEIC (2.31 MB), Download : 231
File #2 하늘공원_3.JPG (2.68 MB), Download : 178
Subject [일반] 상암 하늘공원에 다녀왔습니다.



토요일 오후, 상암 하늘 공원에 다녀왔습니다.

선선한 날씨와 저녁 시간을 맞춰 찾아가면 황금빛 노을로 불타는 억새밭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6년 전 기억임에도 소중한 추억으로 남아 다시 갈 날을 손꼽다 이번에 기회를 잡았습니다.
6년의 시간이 지나 유부남이 되었고, 아내와 함께 이곳을 찾았습니다. 사람도 적고, 풍광이 끝내주는 곳이 있다고 하면서 말이죠.
그러나 좋은 날씨 덕분인지 첫눈에 들어온 것은 장사진을 이룬 맹꽁이열차의 대기줄이었습니다.
맹꽁이 열차는 탈 엄두도 내지 못하고 공원 입구를 향해 걸어올라가야만 했어요.

하늘공원 입구로 가는 길은 크게 3코스가 있는데, 2코스는 쉬운 평지길을 아가는 길이고 하나는 계단을 통해 가로지르는 길입니다.
저희는 시간을 아끼기 위해 직선으로 올라가는 계단을 선택했습니다.
내려오는 사람과 올라가는 사람의 어깨가 닿을 정도로 폭이 좁은 계단이었지만
계단 입구, 중간, 끝나는 곳에 안전 요원이 상황을 통제하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사진을 찍느라 걸음을 멈추는 사람, 숨이 가빠 한쪽에서 쉬는 사람, 애견을 동반해 계단을 오르는 사람을 발견하면 간격을 조율하면서 사고를 방지하고 있었습니다.

15분 정도 올라갔을까, 하늘 공원의 입구가 보입니다. 커다란 네모형 들판에 사이사이 길이 뻗어 있었지만
어느 길목 하나 사람이 없는 곳이 없었습니다. 들판 전경을 보여주기 위해 2층짜리 전망대인 하늘전망대 부근으로 갔지만
안전등급에서 좋지 않은 평가가 나왔다는 이유로 임시폐쇄가 되어 있었습니다.
깔끔한 데이트를 약속했는데 인파는 많지, 전망대는 못 올라가지 조금 민망하기도 했습니다.

그래, 한강 주변을 조망할 수 있는 야경을 보여주마. 아내의 손을 잡고 공원 끝 난간으로 갔지만 나무 바운더리에
수십 명의 사람들이 기대 사진을 찍고 있는 걸 보고 아내에게 기대지는 말라고 얘기를 하려던 차에 안전 요원이 다가와
한 명씩 뒤로 밀어내기 시작했습니다. 사람들은 투덜댔지만 한 걸음 뒤에서 찍어도 여전히 잘 나왔을 겁니다.

억새는 충분히 봤다 싶어 다시 계단을 통해 외부로 내려가려니 수백 명의 사람이 줄을 서 있는 게 보입니다.
안전 요원에게 물어보니, 날씨가 어두워져 계단 하행이 위험할 수 있어 통제가 필요하다는 답변을 해주었습니다.
내려가는 계단이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100m도 채 되지 않는 거리에 30분을 서서 기다렸으니 꾀나 천천히 내려보낸 셈입니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 아내와 야식을 먹으며 사진을 정리하면서 이태원의 사고 소식을 듣고 잠을 이룰 수가 없었습니다.
저 역시 가본 길이고 살면서 익히 해본 경험인데 누군가는 빠져나오지 못하고 목숨을 잃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월요일로 넘어가는 새벽, 하늘공원에서의 일을 되돌아보니
떠오르는 것은 억새와 노을이 아니라 안내 요원들이 보여준 모습이었습니다.

계단에서 안내를 맡아주던 요원들, 맹꽁이 열차의 승하차가 있을 때 앞뒤로 시민이 있는지 여부를 살피던 요원들
난간에 수십 명의 사람이 기대자 떨어지라고 안내해주던 요원들, 사고를 대비해 폐쇄해 놓았던 전망대의 조치까지.
사고는 어디서나 생길 수 있지만 예방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기에 잊고 지나쳐 버리는 게 아닐까 싶었습니다.

당연한 것처럼 누리는 일상은 보이지 않는 수많은 도움이 떠받치고 있는 결과인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내는 출근을 위해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여전히 잠은 오지 않습니다. 저 사고를 두고 저는 무엇을 해야 할까 하고요.
불안하고 무서운 마음이지만, 안전한 행사를 위해 힘써 주신 요원분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적어야겠습니다.
그리고 저 역시 모두의 안전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작은 것이라도 사소하게 여기지 말아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0/31 02:13
수정 아이콘
평범한 일상의 환경이 이렇게 중요합니다…
이래저래 씁슬하네요.
곧미남
22/10/31 05:59
수정 아이콘
일상이란건 진짜 참 소중하죠 입맛이 씁니다.
22/10/31 07: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말 쓰라립니다. 저만 그런지 모르겠는데 이태원 관련 뉴스는 물론이고 커뮤니티에 올라오는 사건 소식 글, 댓글 전부 보기가 너무 힘들어요. 당분간 인터넷을 아예 좀 줄여야 하나 생각이 들정돕니다.
거친풀
22/10/31 10:20
수정 아이콘
회사에 20대들이 많고 친하게 지내는 이들도 많고, 거기다 코스프레도 좋아 하는 이들도 있으니 자연스럽게 걱정이 되더군요.
그래서 걱정되서 카톡을 보내려는 데, 이게 참, 혹시라도 사고가 났으면....이 걸 보낸다고 확인할 수 있나....싶은 생각이 미치니....
그런데 다행인지 아닌지 판단이 안돼지만, 그날 이태원에 간 친구들이 없더군요. 다들 오늘 홍대를 벼르고 있던 게 불행 중 다행인지...
회사에 출근했는데 다들 출근한 걸 다행이라고 해야 하는 심정이 참 쓰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094 [정치] 문체부,BBC 보도내용 수정 요청 [49] 크레토스19825 22/11/04 19825 0
97093 [정치] [뉴스타파]용산구청 참사 당일 핼러윈 무질서 이용해 구정홍보 준비했다 [45] 체크카드18599 22/11/04 18599 0
97092 [일반] 봉화 광산 사고는 오늘도 진행중입니다 [34] 똥진국11700 22/11/04 11700 13
97091 [정치] 윤석열 대통령, 이태원 참사에 대해 첫 사과, 그리고 천공 논란. [96] 빼사스21518 22/11/04 21518 0
97089 [일반] AMD, 999달러 RX 7900 XTX 및 899달러 RX 7900 XT 발표, 12월 13일 출시 [25] SAS Tony Parker 12936 22/11/04 12936 0
97088 [정치] [갤럽] 尹 긍정평가 29% [63] Croove19188 22/11/04 19188 0
97087 [일반] 울산 최대 재개발사업지 시공사선정이 유찰 되었습니다. [24] 10214960 22/11/04 14960 3
97086 [일반] 우유 '1리터 3000원' 시대 현실화…밀크플레이션 우려 [86] 톤업선크림15291 22/11/04 15291 1
97085 [일반] [바둑] 최정 9단의 이번 삼성화재배 4강 진출이 여류기사 최고 업적인 이유 [100] 물맛이좋아요19446 22/11/04 19446 28
97084 [일반] 큰거 왔다.. 3080ti -> 4090 첫 인상 (스왑) [48] Lord Be Goja18875 22/11/03 18875 20
97083 [일반] 전화번호부와 카카오톡 친구목록을 정리한 이야기 [8] 지대호15100 22/11/03 15100 13
97082 [정치] 박희영 용산구청장 이 사람 문제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네요 [92] 홍철23677 22/11/03 23677 0
97081 [일반] 엉덩이 종기(표피낭종) 수술후기 [51] 기사조련가21092 22/11/03 21092 18
97080 [정치] 천공 발언은 까면서 문재인 발언은 쉴드치는 분들이 계신 것 같은데 [61] 홍철21294 22/11/03 21294 0
97079 [일반] 화섬식품노조 파리바게트지회 투쟁승리 [39] lexicon17312 22/11/03 17312 15
97078 [정치] 윤석열부부 멘토 자처하는 천공, 이태원 참사에 “엄청난 기회” 막말 논란 [158] 삭제됨23565 22/11/03 23565 0
97077 [정치] 경북 봉화 아연광산 사고는 아직 진행중입니다.. [23] 유목민15042 22/11/03 15042 0
97076 [일반] [책소개] 셰일 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 - 파월의 FOMC 발언 즈음에 생각난 책 [30] 헤세드8312980 22/11/03 12980 7
97075 [정치] 대통령실과 참사가 일어난 골목과의 거리 1.5km [70] kurt22180 22/11/03 22180 0
97074 [일반] 앞으로는 전세계가 버블경제 터진 직후 일본처럼 될듯합니다 [59] 보리야밥먹자20047 22/11/03 20047 1
97073 [일반] 11월 FOMC 요약: 설레발 치지마라 [60] 김유라18211 22/11/03 18211 22
97072 [정치] 12년 간 재직했던 성장현 전 용산구청장 인터뷰입니다 [39] 아드리아닠19964 22/11/03 19964 0
97071 [일반] CNN 번역)미 기밀해제 정보, 북한의 대러 무기밀매 정황 포착 [36] 아롱이다롱이15428 22/11/03 15428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