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29 20:32:20
Name 102
Subject [일반] 숨겨진 명작, 카르투시오 봉쇄수도원 다큐멘터리를 아시나요?
카르투시오회는 성 브루노가 1084년 프랑스에서 만든 수도회입니다.
전세계 12개국 23개 수도원이 있는데,
아시아에는 딱 2곳(수사 수도원,수녀 수도원) 한국에만 있습니다.
수사들은 봉쇄수사와 평수사로 나뉘는데, 봉쇄수사는 수도만 하는 분들
평수사는 수도원의 살림을 담당하는 분들입니다. 
카르투시오 수도원의 수사들은 기도,미사시간을 제외하고는 침묵을 지킵니다.
실제로 대화를 하지않습니다.
다만 언어공부를 할때나 매주 정해진시간 산책을 할때는 대화를 하더군요.  
그외 모든시간을 독방에서 혼자 지냅니다.
티비,인터넷,전화,편지 등도 사용하지않고, 육식도 하지않습니다.
가족도 1년에 단 이틀만 만납니다. 가족이나 친척이 사망해도 찾지않습니다.
우리나라엔 봉쇄수사6명(한국인2명), 평수사5명(한국인3명) 이렇게 11명이 수행중이었습니다.
가톨릭신자도 아닌 제가 카르투시오 봉쇄수도원을 알게된건, 2019년 연말 방영한 KBS다큐멘터리를 통해서 였습니다.
볼때나 보고나서나 마음이 평안해지면서 마음을 다잡을 수 있어서 서너번 정주행 한 것 같습니다. 
원래 외부접촉을 하지않는데, 두봉 주교가 설득해서 허가를 받았다고 하네요. 
이 다큐도, 해외 다큐를 참고해서 제작한 것 같지만 그래도 정말 잘 만든 다큐라 생각합니다.
시간이 길지만 정말 볼만한 다큐니까 꼭 한번 보세요.   





이건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영화 위대한 침묵인데, 
감독이 20년동안 설득한 후에야 혼자 들어가서 촬영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며칠전 우리나라 상주에 위치한 카르투시오 봉쇄수도원에 불이나서 독일인 수사 한분이 돌아가셨습니다.
기사를 보니 종지기 역할도 하던분이라고 해서, 다큐영상에 종치던분일 확률이 높겠네요. 
제가 직접 뵌적은 없지만 기사를 보고 멍한 느낌이 들더군요. 도저히 저렇게 화마로 일상이 깨질것 같은 
수도원이 아니어서.. 안타깝습니다. 천국으로 가셨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0/29 20:48
수정 아이콘
알 수 없는 매혹을 느껴 지금 유튜브로 시청 중입니다. 시끄러움 아닌 고요함에 압도되는 건 오랜만이네요. 즐감하겠습니다.
22/10/30 08:31
수정 아이콘
다 보셨겠네요 마음이 편안해 지셨길
닐리리야
22/10/29 21: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 작년에 난임시술하려고 휴직중에 이 다큐 보고 감명받아서...밤 늦게까지 안 자고 끝까지 남편이랑 봤었어요. 3부에 우리나라 수사님이 가족과 만나는 장면이 있고, 수녀인 누이가 봉사하는 성가복지병원 모습이 잠깐 나옵니다.

정부지원 없이 후원금으로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운영되는 병원인데요, 제가 휴직중이지만 이건 지나칠 수가 없겠다 싶어 홈페이지에 후원자 등록을 하고 확인을 위해 온 전화를 받았습니다.

확인 마치고 전화주신 수녀님이 어떻게 병원을 알게되었냐 하셔서 카르투시오 수도회 다큐 보고 알았다고 했더니, 자기가 그 다큐속 수녀 누이라고 하시더군요!

제가 난임시술을 앞두고 있다고 했더니 매일아침 수녀원에서 봉헌하는 미사에 제 지향을 넣어주시고 동생수사님이 기도하는 곳에도 넣어주신다고 했습니다.

소름이 돋았죠.
기도 덕분인지 바로 성공해서 귀여운 딸 얻었습니다♡

세상의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기도로 인생을 바치는 분들께 화마가 갔었다니 너무 마음이 아픕니다ㅜㅜ RIP
22/10/30 08:36
수정 아이콘
기도와 사랑과 노력의 결과물이겠죠. 축하드립니다. 이글을 쓰려고 정주행 다시 하진 않았지만 님이 말한 부분은 당연히 기억납니다. 가족과 만나는 짧은 순간에도 수도원 사제가 식사는 따로하던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그 맞은편에 앉아계시던 훌륭한 수녀님이 그분이군요.
후원으로 운영되는 병원들 대부분 강한 신념이 없으면 안될것 같습니다.
닐리리야
22/10/29 21:40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781269?sid=102
검색해보니 수도원 연쇄 화재더군요...심지어 저 사건은 방화가 의심된다고 합니다.
물질적으로 가진거 하나 없이 오로지 기도만 하며, 주민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수도복 색깔까지 바꾼 분들인데 무슨일인지 모르겠네요ㅜㅜ
나혼자만레벨업
22/10/29 22:05
수정 아이콘
아이고 무슨 일이... ㅠㅠ
22/10/30 08:38
수정 아이콘
아무리 세속에 관심을 두지 않으시는 분들이지만, 경찰에서 철처하게 조사했으면 합니다. 그리고 다시한번 수사님이 천국가셨길 빕니다.
무한도전의삶
22/10/30 00:28
수정 아이콘
저 다큐 1년에 1번씩 봅니다. 5번은 본 것 같아요.
22/10/30 08:39
수정 아이콘
분위기에 압도되는 뭔가가 있더라구요. 혼자있는거 말안하는거 뭐 내 일상아닌가 싶은 맘으로 보고나선 크게 작게 느끼는점이 많은, 볼때마다 마음을 다잡는 다큐입니다.
22/10/30 10:11
수정 아이콘
꼭 한번 봐야겠네요
22/10/30 19:03
수정 아이콘
예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줍니다.
남한인
22/10/30 17:36
수정 아이콘
카르투시안의 영성은 트라피스트의 영성과 차이가 있습니다. 토굴속의 묵조선과 백장회해의 노동선의 차이에 비유할 수 있을 겁니다.
22/10/30 19:04
수정 아이콘
배움이 짧아 완전 이해가 어려운 댓글이지만, 다큐를 보며 가톨릭 여느 사제들과도 다른 느낌은 많이 받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077 [정치] 경북 봉화 아연광산 사고는 아직 진행중입니다.. [23] 유목민15071 22/11/03 15071 0
97076 [일반] [책소개] 셰일 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 - 파월의 FOMC 발언 즈음에 생각난 책 [30] 헤세드8313004 22/11/03 13004 7
97075 [정치] 대통령실과 참사가 일어난 골목과의 거리 1.5km [70] kurt22206 22/11/03 22206 0
97074 [일반] 앞으로는 전세계가 버블경제 터진 직후 일본처럼 될듯합니다 [59] 보리야밥먹자20058 22/11/03 20058 1
97073 [일반] 11월 FOMC 요약: 설레발 치지마라 [60] 김유라18230 22/11/03 18230 22
97072 [정치] 12년 간 재직했던 성장현 전 용산구청장 인터뷰입니다 [39] 아드리아닠19978 22/11/03 19978 0
97071 [일반] CNN 번역)미 기밀해제 정보, 북한의 대러 무기밀매 정황 포착 [36] 아롱이다롱이15442 22/11/03 15442 2
97070 [일반] 이태원 참사를 조망하며: 우리 사회에서 공론장은 가능한가 [53] meson16782 22/11/02 16782 47
97068 [일반] 어쩌다 그들은 타인의 비극에 조소하게 되었나 [102] NSpire CX II18469 22/11/02 18469 15
97067 [일반] 등기부 등본상 깨끗한 집을 사고 전재산를 날린 사례 [189] 마음에평화를24724 22/11/02 24724 25
97065 [정치] 이태원 참사가 용산경찰서만의 잘못이 아닌 이유 [21] 잉명15719 22/11/02 15719 0
97064 [정치] 세계적으로 정통보수 정치세력이 몰락하고 포퓰리스트 우파가 약진하는 추세가 확실한 것 같습니다. [24] 홍철12741 22/11/02 12741 0
97063 [정치] 새 마스크 뜯자마자 썼는데…그 냄새 몰랐던 위험성 찾았다. [21] The Unknown A16084 22/11/02 16084 0
97062 [일반] 따거와 실수 [36] 이러다가는다죽어11923 22/11/02 11923 68
97061 [일반] 의경들의 희생으로 치안을 지켜온 대가, 이태원 참사 [607] 머랭이31787 22/11/02 31787 127
97060 [일반] 핸드폰은 정말 모르겠습니다 [40] 능숙한문제해결사14139 22/11/02 14139 0
97059 [정치] 애도기간에 시위하지 말라? [53] 로사18152 22/11/02 18152 0
97058 [일반] 자동차 구입기 [40] 요망한피망12682 22/11/02 12682 8
97057 [일반] 살아남은 행운의 공포 [98] lexicon20345 22/11/02 20345 39
97056 [정치] [속보] 합참 "북, 동해로 탄도미사일 발사"…울릉도에 공습경보 [65] 카루오스18641 22/11/02 18641 0
97055 [일반] 흥국생명 콜옵션 행사포기가 국내 경제 멸망의 트리거가 될 수 있습니다. [78] 네야22948 22/11/02 22948 5
97054 [일반] 글 쓰는 걸로 먹고살고 있지만, 글 좀 잘 쓰고 싶다 [32] Fig.112493 22/11/02 12493 24
97053 [일반] 이태원 압사 참사에서 경찰과 용산구청의 대비가 허술했던 이유 [193] 리클라이너28896 22/11/01 28896 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