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23 12:31:00
Name 그때가언제라도
Subject [일반] 다다미 넉장 반 세계일주(2010) 스포 감상 (수정됨)
'인생은 애초에 장미빛이 아닌 잡다한 색을 갖고있다'


청춘물 애니입니다.

일본 애니 주류의 모에 그림체도 아니고

애니메이션 많이 봐왔지만 주인공 독백이 이렇게 많은 애니메이션은 처음 봤습니다.

이런 작품의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독백의 화자인 주인공의 성우인데 한 번 나무위키 켜보니 대히트한 애니 주역은 없어도

조금(?)히트한 애니 조역정도는 꾸준히 했었네요.




이 애니는 놀랍게도 첫화부터 ~ n화까지 각화마다 주인공이 대학교 동아리 서클에 들어가서 망하는 걸 스즈미야 하루히 엔드리스 에이트처럼 계속 보여줍니다.

스즈미야 하루히는 뭐 완전히 똑같은 이야기를 패션쇼하면서 똑같이 보여주는 말도안되는 기행을 보여줬지만...

이 애니는 그런건 아니고 주인공이 마지막 절규하면서 '다른 동아리에 들었다면 이것과는 다른 대학생활을 보냈을텐데' '오즈와 만나지않았다면 내 인생은 더 나았을' 하는 후회와

동시에 시간이 돌아가는 연출과 함께 각화마다 다른 동아리 서클에 들면서 과정이나 결말은 비슷하게 실패하는 원패턴입니다.

중간부터는 약간 이야기에 변화를 줘서 3명의 여자 중 누구 한 명을 고르는 양자택일의 기로에 서기도하고

3명의 여자를 일일이 고르는 루트를 다 보여주지만 전부 깔끔하게 망하는 것도 다 보여주는 변태같음...





애니가 루프물인데...이야기가 진행될수록 각 등장인물들간의 관계나 그 지역내 이야기등 점과 점이 이어지는 세세함도 재밌었습니다.

결국 마지막 루트에서는 주인공은 아무 동아리도 들지않고 다다미 넉장 반에서의 생활을 선택...

다다미 넉장 반이 끝없이 이어진 우주에 갇히게 됩니다.

애니메이션 중간쯤에 그런 갇힌 주인공의 모습이 나옵니다.(이래서 원작 있는 애니메이션 애니화가 좋긴하죠)

애니메이션 오프닝도 무한우주 다다미 넉장 반을 보여주는 거죠 크크




그렇게 혼자서 몇개월 동안 다다미 넉장 반의 우주를 떠돌던 주인공이 느끼는 독백이나 외로움이 이 이야기의 주제입니다.

평소 안좋게 생각했던 모든 것들은 떨어지고 나서보니 사랑스럽고 다시 한 번 보고싶은 것들...(그런데 혼자서 몇 달 카스테라만 먹으며 살면 어디든 안그러겠냐 싶긴합니다.)



갑자기 다른 작가의 작품인 '3일간의 행복'이 떠오릅니다.

'3일간의 행복'에서는 과거 주인공이 업신여기거나 노력하지않은 곳에서의 사람들과의 해후는 아픔만을 되씹게 만들어줬었고

Restart 버튼 따위는 3일간의 행복의 주인공에게는 없었지만 다다미 넉장 반의 주인공에게는 있었네요.

생각해보면 지나간 과거에 Restart 버튼은 없기마련인데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애니메이션이 희망이 가득한(?) 이야기긴 하네요.

저도 옛날에 지나간 옛날 사람한테 연락 한 적 있는데 봐도 별로고 흑역사 적립 +1이었던 아픈 기억이....(여자에게 추파 건 것도 아니건만..)




애니 결말에서 이어진 후배와의 관계를 말하는 건 쓸데없는 사족이라 말했는데

2기가 12년(후덜덜)만에 나왔네요.

나중에 천천히 볼려고 합니다.

슈타인즈 게이트 같은 루프물이야 몰아서 보면 재밌는데 다다미 넉장 반은 음...하루에 몰아보기에는 좀 하드하긴하더군요.




'당신 앞에 흔들리고 있는 호기를 붙잡아보세요'

이렇게 작품 주제를 명확하게 매화 질릴정도로 말해주는 작품이 또 있을까요 크크...

지금이 아닌 무언가를 꿈꾸기보다는 지금을 이 시기를 붙잡아야...






좋은 청춘 애니메이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DayInTheLife
22/10/23 13:26
수정 아이콘
방금 올라오는 기차 안에서 왓챠로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를 재밌게 보고 바로 접하는 같은 작가, 같은 애니메이션 감독의 작품이네요.
뭔가 소설로 보면 맛이 안 살 거 같은데 특유의 환상적인 분위기나 그 이야기의 사랑스러움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크크
그때가언제라도
22/10/23 13:35
수정 아이콘
여기 애니에서도 대놓고 밤짧 광고해요 크크
aDayInTheLife
22/10/23 17:04
수정 아이콘
밤짧도 괜찮습니다 크크
22/10/23 14:00
수정 아이콘
보신 작품을 소설만 읽어봤었는데 괜춘했던 기억이 납니다.
aDayInTheLife
22/10/23 17:03
수정 아이콘
아 그런가요? 한번 찾아 읽어봐야겠네요 흐흐
22/10/23 14:41
수정 아이콘
제가 꼽는 오덕계의 일본어 전투력 측정기입니다. 아 물론 상당히 취향을 타긴 하지만 애니로서의 재미도 훌륭하죠.
그때가언제라도
22/10/23 17:17
수정 아이콘
이게 그림체는 둘째치고 매화 루프가 같은 구조 대사 결말이라 초반은 좀 못버티는 사람 있을듯...
펠릭스
22/10/23 15:30
수정 아이콘
청춘물???

청춘물??

아무리봐도 절망물인데?
그때가언제라도
22/10/23 17:17
수정 아이콘
결말이 확 밝혀주죠.
패트와매트
22/10/23 17:55
수정 아이콘
모리미도 좋은작가죠 자기스타일 고집하긴 하지만
이웃집개발자
22/10/24 09:22
수정 아이콘
[제 나름의 사랑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296 [정치] 외국인의 국내 지방선거 참정권을 제한할 수 있을까요 [222] 여수낮바다19250 22/12/02 19250 0
97295 [일반] 미드 웬즈데이 [14] 해맑은 전사16263 22/12/02 16263 3
97294 [정치] [이태원참사] [353] CV29816 22/12/01 29816 0
97293 [일반] 맘스터치 이야기 [45] 삼화야젠지야15479 22/12/01 15479 5
97292 [일반] 자산폭락시기에 써보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다룬 영화들 (약간의 스포일러 포함) [15] 사업드래군16319 22/12/01 16319 12
97291 [정치] 페미니즘-반페미니즘 담론은 정점을 지났는가 [126] 데브레첸19232 22/12/01 19232 0
97289 [일반] 윤하의 사건의 지평선을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9] 포졸작곡가7697 22/12/01 7697 6
97288 [일반] 사람따먹기 전쟁(의 시작) [53] lexicon16810 22/12/01 16810 5
97287 [일반] 베트남론에 대한 비판은 질투인가? [257] 동훈24695 22/12/01 24695 1
97286 [일반] [루머]RTX 4090 생산 늘리고 4080 생산 줄인다 [26] SAS Tony Parker 13074 22/12/01 13074 0
97285 [정치] 화물연대 파업 이야기 [124] 라이언 덕후20878 22/12/01 20878 0
97284 [일반] (강스포!)저 너머의 아스트라 감상 [14] 그때가언제라도11311 22/11/30 11311 3
97283 [일반] The economist-현재 디즈니 비즈니스가 힘든 이유 [60] kien.18337 22/11/30 18337 3
97282 [일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하여 [23] 김홍기13222 22/11/30 13222 4
97281 [일반] 21세기 소년병_츄와 이승기 사건을 보며. [9] 깐부12289 22/11/30 12289 8
97280 [일반] 최근 남초사이트에서 '베트남론'이라는 국제결혼 지지론이 등장했군요. [266] 홍철26806 22/11/30 26806 14
97279 [일반] 상수동 나들이 다녀왔네요. [2] 가마성8864 22/11/30 8864 3
97278 [일반] 편의점 커피커피커피커피커피 뭐가 있을까? [43] 14452 22/11/30 14452 5
97277 [일반] 나를 농락하는 광고창 [8] 똥진국10986 22/11/30 10986 4
97276 [일반] 지방소멸은 현실입니다 [241] 능숙한문제해결사22587 22/11/30 22587 2
97275 [일반] 핍진성? 그게 정확히 뭔데? [236] 머랭이24172 22/11/30 24172 51
97274 [일반] 900조 굴리는 국민연금, 2년치 지급액 올해 손실 [75] 보리야밥먹자17659 22/11/30 17659 0
97273 [일반] 2021년기준 부산, 대구 기업 순위(매출액 기준) [70] 흰둥16971 22/11/30 1697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