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19 15:51:49
Name 향기나는사람
Subject [일반] 우울증 극복 후기
안녕하세요.평범한 30대 중반 직장인입니다.
우울증 증상이 최초에 발현된 건 작년초 정도였던거 같아요.
원인을 지금에 와서 돌이켜 생각해보니 원래 게임에 미쳐살았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흥미를 잃고
휴일에 할게 없어지니까 우울증이 찾아 왔던거 같아요.
술로 처음에는 뭐같은 기분을 달랬었는데, 술 마시니까 감정이 주체가 안되서 전여친들한테 진상 연락도 많이하고..
혼자 집에 틀어박혀서 많이 울기도 하고..
극도로 심할때는 자살까지 생각했던거 같아요.
예전에는 신중하게 했었던 연애도 그 기간동안은 닥치는대로 다 했던거 같아요.
근데 항상 끝에는 공허함만 남더라구요.
가벼운 연애를 하고 난 다음, 상대엔 대한 미안함과 공허함이 합쳐져서 결국에는 저를 더 우울하게 만들고.. 이런 생활의 반복..
그러다 무슨 생각이었는지는 모르겠는데 갑자기 운동에 꽂혀서 그날 바로 헬스장가서 등록하고
하루에 두시간씩 정말 토할때까지 운동을 시작했어요.
멋진 몸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뭔가에 열중할 게 필요했는데 그게 운동이었던거 같아요.
그렇게 몇달을 지내다보니 술도 자연스럽게 끊게 되었고
우울감이 심할때는 직장 사람들과 얘기조차 하는게 싫었는데
이제는 편하게 스몰토크 정도는 할 수 있게 되었네요.
요즘도 가끔씩 x같은 기분이 찾아오곤 하는데요. 그럴때는 서울에 한 동네를 정해서 정처없이 걷습니다. 걷고 또 걸으면 몸이 힘드니까 머릿속에 잡념들이 사라지더라구요.
아직 뭐 완전히 극복한건 아니지만 관리가 가능한 수준까지는 온 거 같아요.
저와 비슷하거나 더 심한 분들도 많으실텐데 힘내셨으면 좋겠습니다. 별거 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쩜삼이
22/10/19 16:00
수정 아이콘
운동이 좋다고는 하더라구요.

근데 몸이 안 받아주니 실행하긴 귀찮고 점점 더 늪으로 가라앉는 느낌이긴 합니다. 쩝...
귀여운호랑이
22/10/19 16:01
수정 아이콘
글쓴 분 경우는 모르겠지만 본인이 우울증이라고 자각하면 다른 거 말고 바로 병원 가서 진단 받고 약을 드셔야합니다.
운동, 명상 이런 걸로 스스로 이겨내겠다 생각하지 마시고 병원 가세요.
덴드로븀
22/10/19 16:15
수정 아이콘
병원 이야기가 안보이네요...?

혹시라도 아직까지 한번도 정신과에 안가보신거면 지금이라도 당장 가까운 정신과 찾아서 전화로 예약하고 상담&진료 받으러 가세요.

우울증은 운동으로 극복하는게 아니라 전문의의 판단에 의한 처방&상담으로 치료해야하는 질병입니다.
[아프면 병원에 가야합니다]
22/10/19 16:23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있어요. 우울증은 빨리 나가서 일하라는 생존 신호라는 말도 있던데 예전에 살기 팍팍하고 자기 밥은 스스로 농사짓거나 사냥해서 먹어야 했던 시절에는 우울증이라는게 없지 않았을까요? 현대인의 병인것 같은데 글쓴분처럼 반현대적인 달리기, 운동으로 극복하는것도 나쁘지 않아보여서요.
쩜삼이
22/10/19 16:26
수정 아이콘
병원에서도 운동 권유 많이 합니다. 틀린 말은 아니에요.
-안군-
22/10/19 16:26
수정 아이콘
운동도 좋고, 뭐가 됐든 반복적인 일에 몰두하는게 분명히 도움이 되긴 합니다.
근데, 그게 진짜 우울증인지는 조금 의심해보는게 필요해요. 저도 분명히 우울증인줄 알았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불안증 + 공황증이었더라고요.
22/10/19 16:46
수정 아이콘
만능 병원론이 많아보이긴 하는데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약도 결국엔 증상을 줄여주는 것이지 병을 해결해주는 건 아니라는 겁니다.
오히려 증량했을 때, 증상이 심해지는 것도 경험했고요.
고통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잘자고 잘먹고 밖에 나가 운동하는 게 진리라고 봅니다.
-안군-
22/10/19 16:49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저는 병원에 다니면서 약을 먹고 있긴 합니다만, 이건 진통제 역할이지, 결국 마음가짐이 바뀌던지 환경이 바뀌던지 해야 근본적으로 치료가 되는거죠.
22/10/19 17:07
수정 아이콘
햇빛 쬐는 시간도 늘려보시면 좋습니다!
햇빛멍 최고
페스티
22/10/19 17:20
수정 아이콘
규칙적인 생활과 운동이 최고의 특효약이라고 하죠. 병원가서 상담받고 약먹는다고 낫는게 아니라 응급조치인 것이고...
22/10/19 18:54
수정 아이콘
글 잘 읽고 갑니다. 힘내세요~
이경규
22/10/19 22:13
수정 아이콘
잘 컨트롤하고 계신거같은데 뭐 무작정 병원 가라고 합니까
전 자전거 타는게 좋던데 추워서 못타겠더라구요 빨리 봄이 왔으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306 [정치] 서해 공무원 피살 때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사령탑이었던 서훈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구속되었습니다 [363] 여수낮바다26402 22/12/03 26402 0
97305 [일반] 폴 크루그먼 "블록체인으로 뭘 하겠다는건가" [119] lexial21262 22/12/03 21262 7
97304 [일반] 어제 글은 죄송했습니다. [19] 제트버스터12456 22/12/03 12456 8
97303 [일반] [방산] 역시 국기는 돌려 달아야 [40] 어강됴리16773 22/12/03 16773 10
97302 [정치] 검찰, ‘자녀 입시비리·감찰무마’ 조국에 징역 5년 구형 [90] 미뉴잇21316 22/12/02 21316 0
97300 [일반] [스포없음] 연극 추천 : 아트 / 스카팽 [4] Tigris9672 22/12/02 9672 2
97299 [일반] 라이젠 7천 시리즈 새로운 패키징 디자인, 여전히 낮은 가격 [19] SAS Tony Parker 13454 22/12/02 13454 1
97298 [일반] 2일차 코로나 처음 걸린 후기 feat.신세한탄, 푸념글.. [49] AW13838 22/12/02 13838 30
97297 [일반] 한국 스포츠계는 하락할 일만 남은이유(부제:지금을 즐기자) [97] 여기18205 22/12/02 18205 19
97296 [정치] 외국인의 국내 지방선거 참정권을 제한할 수 있을까요 [222] 여수낮바다19258 22/12/02 19258 0
97295 [일반] 미드 웬즈데이 [14] 해맑은 전사16272 22/12/02 16272 3
97294 [정치] [이태원참사] [353] CV29829 22/12/01 29829 0
97293 [일반] 맘스터치 이야기 [45] 삼화야젠지야15481 22/12/01 15481 5
97292 [일반] 자산폭락시기에 써보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다룬 영화들 (약간의 스포일러 포함) [15] 사업드래군16330 22/12/01 16330 12
97291 [정치] 페미니즘-반페미니즘 담론은 정점을 지났는가 [126] 데브레첸19251 22/12/01 19251 0
97289 [일반] 윤하의 사건의 지평선을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9] 포졸작곡가7701 22/12/01 7701 6
97288 [일반] 사람따먹기 전쟁(의 시작) [53] lexicon16830 22/12/01 16830 5
97287 [일반] 베트남론에 대한 비판은 질투인가? [257] 동훈24711 22/12/01 24711 1
97286 [일반] [루머]RTX 4090 생산 늘리고 4080 생산 줄인다 [26] SAS Tony Parker 13077 22/12/01 13077 0
97285 [정치] 화물연대 파업 이야기 [124] 라이언 덕후20890 22/12/01 20890 0
97284 [일반] (강스포!)저 너머의 아스트라 감상 [14] 그때가언제라도11312 22/11/30 11312 3
97283 [일반] The economist-현재 디즈니 비즈니스가 힘든 이유 [60] kien.18363 22/11/30 18363 3
97282 [일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하여 [23] 김홍기13225 22/11/30 13225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