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8/28 22:29:57
Name meson
Subject [일반] 이상 작품 읽기 – 선에 관한 각서 2
※이 글(https://pgr21.net/freedom/95475)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이상의 시 중 근대성 비판으로 읽기 가장 적합한 작품이 아마 이 시일 겁니다.
1과 3이 많이 나오는 작품이기도 한데, 이걸 토대로 오감도 시제1호에서 아해들이 13명인 이유를 생각해 보면 (13 자체의 불길한 의미라든가, 최후의 만찬에 13명이 참석했다던가 하는 해석도 물론 있지만) 1과 3 각각에 어떤 의미부여가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것과 관련해서 이상의 소설 ‘날개’에서도 참고할 만한 대목이 있는데, 그건 사족이니 일단 시부터 무슨 얘기를 하나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일본어 원문을 번역한 버전입니다. 이때 띄어쓰기를 어떻게 하느냐가 문제가 되는데, 이상의 한국어 시들처럼 붙여 쓰는 경우도 있고, 일본어를 번역할 때처럼 띄어쓰기를 100% 적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후자를 가져왔는데, 일본어는 원래 붙여쓰기를 하므로 통상적으로 서술했다고 가정하면 붙여쓰기가 의도되지 않았다고 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선에 관한 각서 2

1+3
3+1
3+1 1+3
1+3 3+1
1+3 1+3
3+1 3+1
3+1
1+3

선상의 일점 A
선상의 일점 B
선상의 일점 C

A+B+C=A
A+B+C=B
A+B+C=C

이선의 교점 A
삼선의 교점 B
수선의 교점 C

3+1
1+3
1+3 3+1
3+1 1+3
3+1 3+1
1+3 1+3
1+3
3+1

(태양광선은, 철렌즈 때문에 수렴광선이 되어 일점에 있어서 혁혁히 빛나고 혁혁히 불탔다, 태초의 요행은 무엇보다도 대기의 층과 층이 이루는 층으로 하여금 철렌즈 되게 하지 아니하였던 것에 있다는 것을 생각하니 낙이 된다, 기하학은 철렌즈와 같은 불작란은 아닐른지, 유우크리트는 사망해버린 오늘 유우크리트의 초점은 도처에 있어서 인문의 뇌수를 마른 풀과 같이 소각하는 수렴작용을 나열하는 것에 의하여 최대의 수렴작용을 재촉하는 위험을 재촉한다, 사람은 절망하라, 사람은 탄생하라, 사람은 탄생하라, 사람은 절망하라)
---------------------------------------------------------------------------------------------------------------------------------------------------------------
읽어 보면, 이게 수학인지 문학인지 모를 듯하다가 마지막에는 산문시가 되어버립니다. 그래도 마무리는 느낌있게 했지만 말이죠.

첫 행부터 보면, 3+1과 1+3이 계속 나옵니다. 전체 모양을 보니 凸처럼 생겼습니다.
이 모양은 욕하는 게 아니라 볼록할 철(凸)자를 나타낸 것인데, 시에 언급된 [ 철렌즈 ]가 이 철(凸)자를 씁니다. 즉 철렌즈란 바로 볼록렌즈이고, 덧셈식의 배치로 그 모양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때 1+3이든 3+1이든 결과는 4로 같은데, 시에서는 ‘=4’를 써주지 않습니다. 이렇게 합치든 저렇게 합치든 끝내 똑같다고 하더라도, 원래는 달랐다는 것입니다. 개체성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볼록렌즈에 의해 수렴하면 전부 4로 획일화되기에, 그것을 보고 싶지 않아서 4는 써주지 않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4'가 없어도 획일화는 일어납니다. 2연에서 세 개의 점(A, B, C)이 나오지만, 3연에서는 이들을 아무리 더해보았자 이전과 이후가 다르지 않다는 것이 드러납니다. A, B, C 세 개를 더했지만 A 하나와 동일하고, B 하나와 동일하고, C 하나와 동일합니다. 애초에 점이니까, 점끼리 더해봤자 넓이는 0이죠.
그리고 A+B+C와 각각 같다면, A, B, C는 서로 전부 같다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점끼리는 전부 합동입니다. 두 선의 교점이든(A), 세 선의 교점이든(B), 여러 선(數線)의 교점이든(C), 점인 이상 똑같이 취급됩니다. 구별하는 방법은 좌표상의 위치, 숫자뿐입니다.

그래서 시 하단에 괄호를 열고 줄글이 써 있죠.
그중 [ 태양광선은, 철렌즈 때문에 수렴광선이 되어 ]를 보면 볼록렌즈가 태양광선을 잡아 수렴시켰고, 일점으로 고정되도록 만들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학, 수학, 기하학이 이상에게 있어서는 [ 불작란 ]입니다. 수렴작용을 일으켜서 모든 것을 점으로 만들어버리니까요. [ 유우크리트의 초점은 도처에 있어서 인문의 뇌수를 마른 풀과 같이 소각 ]해 버린다는 (무시무시한) 표현에서 이를 알 수 있는데, 여기서 유우크리트는 유클리드(Euclid)를 말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과학이나 수학 자체가 나쁘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그것들이 [ 수렴작용을 나열하는 것에 의하여 최대의 수렴작용을 재촉하는 위험을 재촉 ]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수량화하고 규격화하고 추상화하여 서로 비교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근대성의 힘이고 장점이기는 하지만, 한번 이렇게 수렴작용이 시작돼서 나열될수록 점점 수치화되어서는 안 되는 것들도 수치화되고, 그런 수렴된 것들의 수렴작용조차 계속 반복되고 재촉되게 되는, 이러한 [ 위험을 재촉 ]하는 ‘경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렴작용 자체가 아니라) 바로 이 모든 것을 수치화하도록 몰아가는 경향성이 나쁘다는 것입니다.
거칠게 줄이자면,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 있다’라는 지적입니다.

그렇기에 이런 경향성 앞에서 (이상과 같은) 사람은 절망하지만, 절망하고만 있어서는 안 되고 탄생해야 합니다. 새롭게 탄생해야 합니다. 근대 이전도 아니고 근대도 아닌 제3의 길을 찾아야 합니다. 그런데 탄생하기 위해서는 우선 절망해 보아야 합니다. 그래서 [ 사람은 절망하라, 사람은 탄생하라, 사람은 탄생하라, 사람은 절망하라 ]가 됩니다.

이때 [ 사람은 절망하라, 사람은 탄생하라, 사람은 탄생하라, 사람은 절망하라 ]를 앞 내용과 연관지어 보면, [ 1+3 3+1 ]과 형식적으로 유사하다는 생각도 해볼 수 있습니다. 적절히 끼워맞추면 한 점으로 수렴되는 절망이 1이고, 제3의 길을 찾는 탄생이 3입니다.
여기까지가 (제가 생각해낸 해석은 아니고) 전 글에 언급한 교수님을 비롯한 다른 분들에게서 주워들은 이 시에 대한 해석입니다.

그러면 이 지점에서 다시 오감도 시제1호의 아해들이 왜 13명인가를 생각해 보면, 13을 1과 3으로 나누어서 1이 문제를 의미하고, 3이 지향점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31도 가능하겠지만 순서상 13이 더 자연스럽죠.

그리고 위에서 잠깐 언급한 이상의 ‘날개’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읽을 수 있는 문장이 나옵니다. 주인공이 아스피린인 줄 알고 먹은 약이 아달린이었다는 것을 발견하고 혼자 고뇌하는 장면인데, 옮겨 보면 [ 아스피린, 아달린, 아스피린, 아달린, 맑스, 말사스, 마도로스, 아스피린, 아달린. ]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맑스가 튀어나오는 것이 워낙 뜬금없기 때문에 분명히 무슨 의도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맑스(카를 마르크스)와 말사스(토마스 멜서스)가 서로 대립적이라고 보면 마도로스(matroos, マドロス, 해외로 다니는 배의 선원)가 바로 제3의 길, 근대성에 대처하는 이분법적인 태도를 벗어난 새로운 방법을 찾아나서는 선택지를 뜻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일단 여기서도 마도로스가 3번째니까요.

물론 13인의 아해에 얽힌 이상의 진짜 의도가 무엇인지는 영영 알아내기가 어려운 것이지만, 본래 어떤 문학작품이든지 관점에 따라 다르게 읽히는 것이 당연하다고 한다면, 이렇게 보는 것도 하나의 일리 있는 해석 정도는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를마시는새
22/08/29 00:42
수정 아이콘
저에게는 너무 불친절해서 중2병 느낌이 짙네요. 흥미거리로 향유하기에는 좋은 소재라고 생각합니다.
Promise.all
22/08/29 01:21
수정 아이콘
사실 너무 천재같아서 그의 세계를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그나마 오감도는 주제의식을 나름 받아들일 수(저자가 원래 전하려던 것이 아닐 것 같지만서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Promise.all
22/08/29 01:34
수정 아이콘
오감도에서 이어서 생각해뷰자먼
13일의 금요일
단두대의 계단 개수도 보통 13개
아서왕 전설에서 13번째 자리는 공석이어야 했습니다. (저주받은 자리)
어쩌면 공포를 상징하는 수 아니였을까 싶습니다
22/08/29 10:17
수정 아이콘
사실 그래서 이상 연구하는 분들이 그렇게 많은 것 같긴 합니다.
기술적트레이더
22/08/29 01:21
수정 아이콘
이게 뭔가요? feat) 국어 전공자
송운화
22/08/29 09:16
수정 아이콘
대학 시절 국어 전공해서 관련일 하다가 최근 대학원에서 상담을 공부했는데요,
두 학문을 다 공부하고 나니 이상이라는 인간은 정신증(조현 관련이나 성격장애 등)을 앓고 있었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습니다.(생애나 행적을 볼때)
이상이 분명 고등교육도 받고 문학 활동도 많이 했다고 했으니 아무말이나 써놓은 것은 아닐것이고, 당대의 문학적 경향도 담고 나름의 문학적 주관을 담아 창작했을테지만 이상의 작품들은 자신의 정신증으로 인해 왜곡되어 나타난것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러고 나니 이상의 작품을 문학적으로 해석하는것보다는 그의 심리나 정신증의 경향을 파악하는 자료로 해석하는 것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순전히 제 생각입니다.
22/08/29 10:16
수정 아이콘
정신분석학적 해석... 이군요
은때까치
22/08/29 14:17
수정 아이콘
이상이란걸 모르고 보면 전형적인 스키죠 느낌이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928 [일반] 인텔 13세대 국내가격 공개. 4090ti는 4090 대비 13% 빠름 [43] SAS Tony Parker 16617 22/10/21 16617 1
96927 [일반]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조금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56] 김은동18427 22/10/21 18427 150
96925 [일반] '화장을 고치고'라는 노래를 아시나요? [30] 윤슬18031 22/10/20 18031 1
96924 [정치] 강원도 레고랜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부도 사태 [148] larrabee29863 22/10/20 29863 0
96923 [정치] 속보 영국 트러스 총리 취임한지 45일 최단기로 사퇴 [56] 기찻길19662 22/10/20 19662 0
96922 [정치] 자민당 국회의원 수십명 통일교과 정책협정 [35] 기찻길17464 22/10/20 17464 0
96921 [일반] 전세계가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가고 있네요 [61] 능숙한문제해결사21176 22/10/20 21176 6
96920 [일반] 다시 다가온 COVID-19 재유행과 출구 전략 [54] 여왕의심복17353 22/10/20 17353 105
96919 [일반] SK 데이터센터, 4시간前 ‘위험 경고’에도 배터리 화재 못막아 [57] Leeka19881 22/10/20 19881 7
96918 [정치] 영국 트러스 총리 "나는 싸우는 사람…그만두지 않는다" [35] 기찻길20657 22/10/20 20657 0
96917 [정치] 윤 대통령 "종북 주사파는 협치 대상 아니다"…야당 반발 [415] 라스38602 22/10/20 38602 0
96916 [일반] 에브리띵, 에브리훼어, 올 앳 온스 감상 [21] 닉언급금지11911 22/10/20 11911 1
96915 [일반] 위린이가 써보는 위스키 종류별 특징과 추천 위스키.JPG ??? [47] insane20256 22/10/19 20256 14
96914 [일반] [테크히스토리]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무빙워크 셋 중 가장 먼저 나온 것은? [16] Fig.139019 22/10/19 39019 28
96913 [일반]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예방 시설은 모두 정상 작동함 [39] Leeka19433 22/10/19 19433 4
96912 [일반] 창원에서 열린 K2, K9 출고식 & 폴란드에서 천무 계약 채결 [37] 어강됴리14076 22/10/19 14076 1
96911 [일반] 술 이야기 - 위스키 마시기 어쩌면 2탄 [43] 얼우고싶다37618 22/10/19 37618 31
96908 [일반] 우울증 극복 후기 [12] 향기나는사람11600 22/10/19 11600 15
96906 [정치] `인력난` 조선업 살리기 급한 정부, 재소자도 현장 투입 검토 [211] 크레토스21640 22/10/19 21640 0
96905 [일반] 애플TV 4k 신형이 공개되었습니다. [35] Leeka11223 22/10/19 11223 0
96904 [일반] <블랙 아담> - 기대의 편린만 보인다(약스포) [34] aDayInTheLife11137 22/10/19 11137 2
96902 [일반] 유럽 전기가격이 떨어지고 있다네요 [21] 능숙한문제해결사17335 22/10/19 17335 1
96901 [일반] [방산] 손님 못오신답니다. [13] 어강됴리18790 22/10/19 1879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