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7/01 17:52:46
Name 푸크린
File #1 Screenshot_20220701_175616_Samsung_Internet.jpg (1.64 MB), Download : 59
Subject [일반] 애플, 일본 가격 인상 (수정됨)


일본은 현재까지 금리 인상 없음 + 달러 강세 = 엔저

때문에 환율로 인한 기존 제품들 출고가 인상이 7월 1일 자로 일본 애플 공홈에 반영됐습니다

아이폰 가격도 꽤나 올랐는데, 아이패드 12.9인치 가격 상승폭이 장난아니네요


현재 원달러 환율이 1300에서 줄타고 있는 상황인데 한국은 인상을 한다쳐도 일본만큼은 폭이 높진 않을거 같긴 합니다만

최소 아이폰 14시리즈 원화 가격 인상은 각오해야하는거에 오피셜을 날린 느낌입니다

최선의 시나리오는 인상폭이 일본보다는 낮은 정도로 올리는 거고

최악의 시나리오는 일본에 준하는 인상 + 아이폰 14 시리즈 출고가를 13대비 한 번 더 올리는 경우가 되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생은에너지
22/07/01 18:00
수정 아이콘
??? : 11프로야 아직 쌩쌩하지?
??? : 네
??? : 그래 열심히 하자
22/07/01 18:14
수정 아이콘
미국 금리 인상 페이스 보면 강달러가 내년도 거의 확정적일것 같은데 애플도 힘들려나
도도갓
22/07/01 18:14
수정 아이콘
올해 초에 리퍼받은 아이폰11아 좀 더 구르자..ㅠㅠ
괴물군
22/07/01 18:33
수정 아이콘
저도 아이폰 유저인데 일단 2년만 열심히 더 굴려볼 생각입니다.
하루빨리
22/07/01 18:35
수정 아이콘
한국은 이미 반영된거 아닌가요? 또 반영한다고 하던가요?
Lord Be Goja
22/07/01 19:03
수정 아이콘
보니까 올린가격이 한국/중국/미국이랑 비슷하니 한국걸 조정하진 않을거같네요
22/07/01 21:23
수정 아이콘
한국 아이폰13은 출시 당시와 가격 동일하지 않나요?
그렇다면 최소 환율 인상분 정돈 반영할 거 같은데..
몽키매직
22/07/01 18:43
수정 아이콘
일본은 경쟁 없는 애플 세상이라 올릴 때 눈치 볼 필요도 없죠...
Lord Be Goja
22/07/01 18:50
수정 아이콘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2/06/528363/

일본에서만 너무 싸긴했죠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지난 1일(현지시간) 리서치 기업인 MM소켄이 전세계 34개 국가에서 애플의 최신 스마트폰인 아이폰13(128GB)의 온라인 판매 가격을 엔화로 환산해 조사한 결과, 일본이 9만8800엔(약 95만원)으로 가장 가격이 낮았다고 16일 보도했다.

일본을 제외한 33개국 평균은 12만6433엔이었다.

한국(11만3123엔)은 평균보다 낮았으며, 미국은 11만6577엔, 중국은 11만5894엔이었다.
22/07/01 19:11
수정 아이콘
예전엔 0엔 플랜도 종종 보였는데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22/07/01 20:08
수정 아이콘
그동안 일본 가서 애플 물건 사오곤 했죠.
총사령관
22/07/01 21:24
수정 아이콘
노트10+ 15까지만 버텨줘 제발!!!
22/07/01 21:40
수정 아이콘
XS 야 아프지 말고 주인이랑 오래오래 행복해야 한다~
코우사카 호노카
22/07/01 22:34
수정 아이콘
XR유저 : 윗분들 채신폰들고 너무하시네... ㅠㅠ
2... 2년만 버텨주면 안되겠니
박수영
22/07/01 23:34
수정 아이콘
13프로 지르길 잘했다 크크크크
22/07/02 11:38
수정 아이콘
프로(3세대) 12.9 살까말까 고민중인데 질러야되나
22/07/02 22:11
수정 아이콘
애플은 가면 갈수록 프리미엄 시장을 꽉 잡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그래도 사줄사람이 많아서 더 올려도 살사람은 사겠죠. 라고 말하지만 현실은 저도 댓글처럼 12야 힘내 ㅠㅠ 하고 있군요..
후마니무스
22/07/03 00:50
수정 아이콘
성능대비 비싼걸 사면, 갬성충이란 소리를 들어도 애플은 어떠한 계급제같은 식으로 프리미엄이 붙어버린거 같네요

소비자를 호구취급하는건지 함께 프리미엄을 붙여 같이 고급화 동행을 추구하는건지
아 다르고 어 다르겠지만,

주변 의식하며 선호를 결정하는 거라면
너무나 약한 마음일테죠

일본 국민의식이 세계대전 후, 버블경제 후, 점차 많이 약해지긴 했네요
다람쥐룰루
22/07/03 10:16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는 아이폰 대체제가 없으니 가격 좀 올리는게 대수겠습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062 [정치] 이준석 차기 당대표 국힘 지지층 상대 압도적 1위, 안철수 내일 직무대행 체제 입장발표 外 [284] 채프24060 22/07/20 24060 0
96061 [일반] [역사] 이순신은 정말 무패(無敗)했는가? (1) [21] meson14024 22/07/20 14024 12
96060 [일반] 세계적 랜드마크 에펠탑이 무너지고 있다? [48] 톤업선크림12364 22/07/20 12364 1
96059 [일반] 갬성의 고찰: 기계식 시계 뉴비의 경험담 [48] 건방진고양이9295 22/07/20 9295 4
96058 [일반] 쇼팽 연습곡을 좀 바꿔 봤습니다..(심히 거룩하게.....) [5] 포졸작곡가5269 22/07/20 5269 5
96057 [일반] 금리, 환율, 자산가격 [11] LunaseA18773 22/07/20 18773 23
96056 [일반] KF-21 초도 비행 기념 T-50/FA-50 이야기1 [24] 가라한12860 22/07/19 12860 68
96055 [일반] (스포x) 영화 엘비스를 보고 왔습니다. [14] 이니7206 22/07/19 7206 3
96054 [일반] 대검찰청 특수부에서 걸려온 전화 후기 [106] 시라노 번스타인22657 22/07/19 22657 6
96053 [일반] 루머: RTX 4090은 4K에서 RTX 3090 Ti 대비 80% 이상의 성능 향상 [99] SAS Tony Parker 12195 22/07/19 12195 0
96052 [정치] 도어스테핑 논란에 대한 생각과 개인적 교훈 [110] 구미나17408 22/07/19 17408 0
96051 [일반] 얻어걸린 넷플릭스 준작들 이야기 [20] 닉언급금지13662 22/07/19 13662 2
96050 [정치] 이준석은 '6개월'인데..김성태·염동열 '당원권 정지 3개월' 징계 [150] 채프20232 22/07/19 20232 0
96049 [정치] 따뜻한 금융 [32] kien.17019 22/07/18 17019 0
96048 [일반] 펌, 번역/ 디즈니 "미즈 마블" 재앙 수준의 흥행 [51] 오곡물티슈16960 22/07/18 16960 7
96047 [일반] 미즈마블 시청후 느낀 MCU 4페이즈 전반적인 후기 [46] 카트만두에서만두10975 22/07/18 10975 0
96046 [정치] 박근혜의 유산, 화해 치유재단은 복원될 것인가 [43] 어강됴리13430 22/07/18 13430 0
96045 [일반] 친구 넷이서 노는 법 [8] 여기에텍스트입력10052 22/07/18 10052 8
96043 [정치] 윤 대통령, 채용 논란 질문에 “다른 할 말 없으시냐” [36] 비온날흙비린내16013 22/07/18 16013 0
96042 [일반] [일상] 여러분 귀지 꼭 파세요. [67] VictoryFood16183 22/07/18 16183 4
96041 [일반] 루머:RTX4080,4070, 4060은 23년까지 출시 연기될지도 모름 [78] SAS Tony Parker 11804 22/07/18 11804 0
96040 [일반] [영화 리뷰] 토르 : 러브 앤 썬더 / 번외 - 얼마나 게이한가? [28] mayuri10279 22/07/17 10279 0
96039 [정치] ‘권성동 추천’ 대통령실 9급 직원, 지역구 선관위원 아들 [253] 마빠이29300 22/07/17 2930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