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5/23 18:22:13
Name insane
File #1 79f56c4000faba9f7fe40438aea0343a.jpg (91.2 KB), Download : 63
File #2 Screenshot_20220523_181321_Browser.jpg (334.5 KB), Download : 3
Subject [일반] 유튜브에서 본 소고기 미역국 따라해보기.JPG (수정됨)




3edfedfd7d45416a129f273db8335204.jpg




유튜브 보다가 류수영 미역국 이라고
편스토랑에서 만든 영상 보는데 엄청 맛잇어 보이더군요

주말에 시간도 나고 그래서 한번 도전해봣습니다


육수는 대파 2개 뿌리까지  무 흰부분
사과 반쪽 반쪽은 그냥 내입으로
소고기 양지 300g 정육점에서 사와서 같이 넣고 끓이기

미역은 육수 끓이면서 40분정도 옆에서  같이 뿔렷습니다

육수완성 후


불려놓은 미역에 참기름 5T 넣고 다진마늘 넣어서 볶기
까나리 액젓 1T, 국간장 1T 넣고 볶다가
육수 넣고 소금으로 마무리 간맞추기


재료 손질부터 이것저것 시간이 좀 걸리긴 하는데 맛은 확실하더군요 크크크



영상링크

897b776c0abd670b2223beea29862278.jpg



결론 그냥 미역국컵밥이 훨씬 간편하고 먹기 편하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5/23 18:31
수정 아이콘
국간장이 안넣자니 아쉽고 넣으면 자기 주장 엄청 세고.. 좀 그렇죠.
미역국은 좀 오래 끓여서 고기 국물 간으로 자연스레 멎춰지는 게 베스트더라고요.
카페알파
22/05/23 18:34
수정 아이콘
미역국은 어차피 미역에서 MSG 가 우러나오기 때문에 미역을 잘 씻는 거랑 간 맞추는 것만 제대로 하고, 오래 끓이기만 하면 실패하기 어려운 음식 같아요.
22/05/23 18:44
수정 아이콘
미역국은 미역만 넣고 끓여도 최소한 먹을 수 있는 정도는 되는 음식이라.. 저렇게까지 정성을 들일 필요가 있나 싶네요.
22/05/23 18:48
수정 아이콘
고기가 아까운 거 같은....ㅠㅠ
iPhoneXX
22/05/23 19:00
수정 아이콘
청담 미역인가 거기가서 먹으니까 확실히 맛나긴 하던데
22/05/23 19:07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 와이프 생일때 해줬는데 맛있더군요.

미역국에 소고기 수육 같이 먹는 느낌
22/05/23 19:13
수정 아이콘
미역국은 고기를 레시피의 x2.5정도 넣으면 쉽게 맛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Foxwhite
22/05/23 19:29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그놈의 레시피같은거 만드는놈들은 다 초식주의자가 아닐까 의심해봅니다. 대충 3배정도 때려박아야 아 고기 좀 들어가니 맛있구나 싶어요
22/05/23 19:34
수정 아이콘
+1 미역국은 고기맛이죠 크크크
회색사과
22/05/23 19:36
수정 아이콘
어느 한식연구가님이

미역국은 건더기 퍼먹는 음식이지 다른 국 처럼 국물내서 즐기는 음식이 아니었다 - 이런 이야기 하셨던게 기억나네요
manymaster
22/05/23 21:21
수정 아이콘
고기 많이 넣어서 맛있게 만들기는 했는데 계속 만들던 것이 찌개라는 생각을 해서 물 조절 해버리니까 고기 맛 밖에 안 나더라고요.
그냥 미역국은 찌개 끓인다는 생각으로 고기도 많이 넣고, 미역도 조금만 조절해야겠습니다.
마감은 지키자
22/05/24 16:02
수정 아이콘
이거 레알입니다.
탑클라우드
22/05/23 19:47
수정 아이콘
저는 고기가 풍부하면 어떻게 끓이던 맛있다고 생각하며, 오뚜기 미역국에 소고기를 마구 투하합니다.
아, 국에 넣은 고기가 부들부들해지는 법만 알면 진짜 맛있게 먹을 수 있을텐데...
유리한
22/05/23 20:41
수정 아이콘
비싼부위를 쓰시면 어떨까요
탑클라우드
22/05/24 11:20
수정 아이콘
나름 상당히 비싼 부위를 사용해보기도 했으나... 저의 조리 실력이 엉망... 흙흙
마음에평화를
22/05/23 21:04
수정 아이콘
제잉 쉬운 방법은 압력솥에 물 넣고 고기를 찐 다음에 국을 끓이는 겁니다...
살살 녹죠..
탑클라우드
22/05/24 11:20
수정 아이콘
헉, 압력솥이 없... 40대 독신남에 대부분의 끼니를 밖에서 해결하는 외노자이다보니... 흙흙
비온날흙비린내
22/05/23 21:05
수정 아이콘
고기를 볶다가 뜨거운 육수를 부어서 바로 끓게 해줘야 질겨지지 않아진다네요. 고기 온도가 떨어져서 질겨지는 거래요.
탑클라우드
22/05/24 11:21
수정 아이콘
헉, 이제 계란 후라이도 귀찮아하는 상황에서 고기를 볶아야 하다니... 흙흙
스핔스핔
22/05/24 11:22
수정 아이콘
오오 그런거엿다니
마갈량
22/05/24 23:54
수정 아이콘
끓지않는 온도에서 오래 조리하시면됩니다
끓을랑말랑한 온도요.
간단히 수비드나 콩피랑 같은 원리입니다
탑클라우드
22/05/25 11:11
수정 아이콘
아... 역시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군요. 이번 주말에 도전해봐야겠네요 흐흐흐
스토리북
22/05/23 20:36
수정 아이콘
미역국은 빠르다 + 편하다 가 장점인 음식인데, 너무 힘을 줬네요 크크
1절만해야지
22/05/23 21:02
수정 아이콘
겨울엔 고기대신 굴 넣어도 너무 좋습니다 흐흐
비온날흙비린내
22/05/23 21:06
수정 아이콘
양지가 300그람.. 오우야..
Jedi Woon
22/05/23 21:39
수정 아이콘
저는 국간장 적당히 넣고 부족한 맛을 다시다로 채웁니다.
요리시간 단축은 기본이고 맛도 보장하니 정말 이처럼 편한게 없더라구요
22/05/23 21:49
수정 아이콘
액젓류를 조금 넣으면 맛이 더욱 풍부해집니다!
국간장으로는 색깔정도만 내주고 염도조절은 소금으로 하구요.
타츠야
22/05/23 22:16
수정 아이콘
소고기 없이도 훌륭한 미역국 나옵니다.
https://www.10000recipe.com/recipe/6844533
제가 이거 따라서 여러 번 해봤는데 맛이 좋아서 아내와 아이들에게 칭찬 받고 있습니다.
22/05/23 23:05
수정 아이콘
국간장은 살짝 색깔만 내고 소금으로 간하고 참기름과 미원을 쪼끔 넣어주면 맛이 좋습니다.
갓바킈
22/05/23 23:12
수정 아이콘
소고기 열심히 볶다 불린 미역 넣고 마저 볶고 전기포트로 끓여낸 따뜻한물 부어서 끓여먹습니다
간은 마늘 + 국간장 + 소금... 이렇게만 해도 맛있는데 유툽은 힘을 빡줬네요
생일이면 해봄직하네요
여기에있어
22/05/24 07:13
수정 아이콘
이제 저기에 너구리 끓여드시면 됩니다.
동년배
22/05/24 13:01
수정 아이콘
대형마트나 식자재마트 가면 농축사골육수 팝니다. 미역국이나 된찌 혹은 라면등에 조금 쓰면 사기적인 맛을 낼 수 있는 아이템이죠. 농축이라 보관도 오래 가능합니다.
22/05/24 13:18
수정 아이콘
참고할게요 크크크
22/05/24 17:40
수정 아이콘
투뿔 한우 갈비살 구워먹고 많이 남아서 양껏 넣고 미역국 끓여 봤었는데 최고로 맛있었습니다.

맛이 부족하다면 고기가 부족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자.
김치와라면
22/05/25 00:23
수정 아이콘
전 개인적으로 양파가루 추천드립니다
고기가 부족한건 자금때문이니... 조금이라도
보충을 위해 양파가루넣는거 강추합니다
비공개
22/05/25 01:01
수정 아이콘
미역국 특히 소고기 미역국은 엄청 쉬워요.

개인적으로 백종원 레시피 추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615 [정치] 김건희 특검법 패스트 트랙 통과 [41] kurt17430 23/04/27 17430 0
98614 [일반] 영화 <드림> 후기, 이름값에 배신당했다. [51] 블레싱15562 23/04/27 15562 6
98612 [일반] 주가조작 사건의 배후 (feat 리니지) [46] 맥스훼인16712 23/04/27 16712 5
98611 [일반] 아내 이야기 3 [27] 소이밀크러버23009 23/04/27 23009 42
98610 [정치] 윤석열 대통령 바이든 대통령 워싱턴 선언 요약 [488] 빼사스40389 23/04/27 40389 0
98608 [일반] [스포] 스즈메의 문단속 막차탄 사람의 감상기 (극스포) [24] 스토너9414 23/04/26 9414 6
98607 [일반] 라이젠 7000X3D 과전압 이슈 발생/입장문/바이오스 업데이트 [8] SAS Tony Parker 10705 23/04/26 10705 1
98606 [정치] 日 공안위원장, 기시다 총리 테러 상황 듣고도 "장어덮밥 잘 먹었다" [43] 기찻길13374 23/04/26 13374 0
98605 [일반] 오늘도 무?사히.(일상 잡담) [10] aDayInTheLife11162 23/04/26 11162 7
98604 [정치] 폭스뉴스 가짜뉴스로 1조 배상 [31] kurt18433 23/04/26 18433 0
98603 [일반] '미니피그 2마리' 매일 산책시킬 예정…끝나지 않는 대구 이슬람 사원 건립 갈등 [471] 톤업선크림22594 23/04/26 22594 1
98602 [정치] 주목하고 있는 두 정치인. 천하람과 이탄희의 토론하면 좋은친구 [30] Not0nHerb13932 23/04/26 13932 0
98601 [일반] [스포] 슈퍼마리오 - 가장 뛰어난 게임원작 영화 [25] 만찐두빵11068 23/04/26 11068 0
98600 [일반] 아내 이야기 2 [16] 소이밀크러버21887 23/04/26 21887 36
98599 [일반] 오늘도 하한가로 가는 작전주와 연예인 [84] 맥스훼인18580 23/04/26 18580 2
98597 [일반] 홍콩 주식 사기를 당했습니다. [64] 비가오는새벽18775 23/04/26 18775 23
98596 [일반] 파생상품 시장이 만들어진건 아인슈타인 덕? [24] Quantumwk9901 23/04/26 9901 3
98593 [정치] 넷플릭스 3조3천억 투자에 김건희 여사가 적극 관여했다는 대통령실 [91] 어강됴리18666 23/04/25 18666 0
98592 [정치] 놀라운 능력의 BingAI 그리고 더 놀라운 트럼프 [2] singularian10263 23/04/25 10263 0
98591 [일반] 뉴욕타임스 4.25.일자 기사 번역(GPT가 언론계에 미치는 영향) [5] 오후2시10293 23/04/25 10293 2
98590 [일반] 웹소설 추천 셋의 후속작 셋 [33] 삼화야젠지야11430 23/04/25 11430 6
98589 [일반] 일론 머스크 부계 논란 [41] lexicon14327 23/04/25 14327 4
98588 [일반] 동아제약 챔프 문제가 심각한가보네요 [30] 꿀깅이16916 23/04/25 1691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