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3/23 12:31:49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680644036
Subject [일반] <벨파스트> - 성장의 시간들.

이 영화의 감독이자 배우로도 유명한 케네스 브래너는 60년생, 벨파스트 출신입니다. 제가 시작부터 영화의 감독 이야기를 꺼내는 이유는 이 영화의 많은 것들이 꽤나 자전적이기 때문입니다.

영화의 배경은 1969년, 벨파스트입니다. 천주교와 개신교의 갈등이 발생하고 있는 어느 한 노동자 집안의 아이가 주인공입니다. 평범한 길거리의 일상을 보여주던 오프닝은 개신교도들의 공격으로 인해 아비규환의 장소가 됩니다.


시대의 한 복판에 있는 한 소년의 이야기, 라는 측면에서 저에게 가장 많이 떠올랐던 영화는 <조조 래빗>이었습니다. 어느 한 소년이 시대적 흐름을 만나고 변화를 경험하는 이야기에서요. 하지만 영화의 분위기는 그 시대를 많이 빗겨나가있습니다. 따뜻하다가도 서늘하고, 우스꽝스러우면서도 섬찟했던 <조조 래빗>과 달리 이 영화 <벨파스트>는 꽤... 감상적이에요. 감독 겸 각본의 케네스 브래너의 자전적 이야기이기 때문인지, 혹은 영화가 시대의 흐름에 대해 별 다른 생각을 지니지 않던지, 둘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전자인 것 같아요.


영화를 보면서 좋았던 부분이라면 역시 따뜻한 느낌에 있을 겁니다. 성장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고요, 영화를 보면서 꽤 나름 타율 괜찮은 농담들도 있구요. 간질간질한 순간들도 있습니다. 다만, 이 흐름들이 매끄럽게 묶여있진 않아요. 자서전 내지 자전적 이야기의 영화라는 부분 때문에 이야기들이 하나로 묶여 어떤 흐름을 지니고 있다기 보단 작고 소소한 에피소드들의 연속에 가깝다는 생각도 들어요.


영화의 흐름은 그래서 어찌보면 예측가능하고, 드라마틱하다기보단 굉장히 차분합니다. 어떤 변곡점들이 분명히 있지만, 그닥 극적으로 그려내지도 않아요. 어찌보면 초반부의 컬러와 영화의 대다수를 대비하는 흑백 화면의 대비는 이 도시, 벨파스트라는 건물을 쌓아올렸던 하나의 벽돌, 혹은 하나의 사건을 은유하는 건 아닐까 싶습니다. 말 그대로, 이 영화는, 벨파스트라는 도시에 남은 이들, 떠난 이들, 그리고 길을 잃어버린 모두에 대한 영화라고 할 수도 있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주전쟁
22/03/23 16:33
수정 아이콘
좋은 영화들 많아 봐야 하는데 요즘은 영화 한편 끝까지 보기가 쉽지 않네요...;;
실제상황입니다
22/03/23 16:41
수정 아이콘
저도... 5~60분짜리 드라마는 한편 한편 재밌게 보는데 영화는 빡세더라구요.
영화는 딱 하나로 완결성 높게 짜여진 이야기라 그런지 초집중해서 봐야 된다는 강박증 같은 게 생기는 듯
22/03/23 22:05
수정 아이콘
장면하나하나에 복선이 숨겨져있거나 은유가 있다보니 부담감이 좀 크죠잉
aDayInTheLife
22/03/23 17:38
수정 아이콘
저는 오히려 반대 의미로 드라마가 힘들더라구요. 아니 30분 짜리로 끊어서 보는데 집중이 되나... 싶은 생각으로요ㅠㅠ
그래서 디즈니 오리지널 마블 드라마랑 만달로리안이랑 봐야하는데... 못보고 있습니다ㅠㅠ
22/03/23 18:02
수정 아이콘
아, 셰익스피어 영화화의 우상이신 케네스 브래너 감독의 자전적인 이야기인가요? 이런 봐야겠네요. 이런 영화가 개봉한지도 몰랐는데, 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DayInTheLife
22/03/23 18:08
수정 아이콘
이 영화는 셰익스피어스럽다기엔 좀 애매하긴 합니다. 흐흐 저도 글 잘 읽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465 [일반] 차에서 무게는 아주 중요해 VS 무게 무새들은 나가라 [94] 아타락시아114457 22/04/22 14457 4
95464 [일반] 대법원, 남성 군인간 합의된 동성 성관계를 처벌할 수 없다고 판결 [106] Regentag15549 22/04/22 15549 8
95463 [일반] 알고보면 꽤 오래된 윌 스미스의 부정적인 이미지. [47] 캬라16638 22/04/22 16638 14
95461 [일반] Razer Anzu 스마트 글래스 구입 후기 [40] speechless13576 22/04/21 13576 9
95458 [일반] [성경이야기]다볼산 전투-1 [17] BK_Zju13669 22/04/20 13669 19
95457 [일반] (스크롤 압박 주의) 이효리 헌정사 (부제 : 어쩌다보니 '서울 체크인' 감상평 쓰다가...) [73] 마음속의빛36187 22/04/19 36187 25
95455 [일반] 지역별 소득순위 변동 근황..jpg [38] 버들소리19303 22/04/19 19303 0
95454 [일반] 나무위키에 내 댓글이? -철저하게 검증하고 댓글을 달자- [31] 깃털달린뱀13163 22/04/18 13163 11
95453 [일반] 인생 첫 소개팅이 끝났습니다. [29] 삭제됨12483 22/04/18 12483 18
95452 [일반] [테크 히스토리] 커피 부심이 있는 이탈리아인 아내를 두면 생기는 일 / 캡슐커피의 역사 [37] Fig.1111713 22/04/18 111713 42
95451 [일반] 갑과 을의 연애 [11] 저글링앞다리11527 22/04/18 11527 22
95450 [일반] 최악의 중학교에 다녔던 기억(유게 목동 학군 글 관련) [153] 귀여운 고양이21288 22/04/18 21288 18
95449 [일반] 일본에서 여고생 성적 대상화 만화광고로 난리가 났습니다. [136] 데브레첸22467 22/04/18 22467 3
95447 [일반] 『창조하는 뇌』창조가 막연한 사람들을 위한 동기부여 [12] 라울리스타11177 22/04/17 11177 15
95446 [일반] 주식에 관한 잡썰(나스닥 버블? 배당주? 달러?) [21] 난할수있다8686 22/04/17 8686 2
95445 [일반] 소프트 드러그는 합법화, 비범죄화되어야 하는가? [78] 노익장12443 22/04/17 12443 5
95444 [일반] 인터넷 커뮤니티 어그로의 74%는 1%의 사람들에 의해 일어난다. [46] 14344 22/04/17 14344 21
95442 [일반] 주식으로 사회,경제 공부하기(이번주~다음주) [26] SAS Tony Parker 9776 22/04/17 9776 2
95440 [일반] 둔촌주공 공사비 증액 갈등으로 재건축 공사 전면 중단 [88] 유랑16105 22/04/17 16105 1
95439 [일반] [팝송] 찰리 XCX 새 앨범 "Crash" [2] 김치찌개5369 22/04/17 5369 2
95438 [일반] 올해 벚꽃은 늦게 피고 일찍 진거 같습니다.(짤 주의) [17] 판을흔들어라9107 22/04/16 9107 4
95435 [일반] [속보] 가평 계곡 살인사건 용의자 이은해·조현수 일산서 체포 [37] 로즈마리15231 22/04/16 15231 2
95434 [일반] 느려진 컴퓨터 대처하기(초보분들을 위함) [19] SAS Tony Parker 12263 22/04/16 12263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