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3/11 12:31:10
Name 오클랜드에이스
Link #1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20311/112284958/1
Subject [일반] 해외입국자 격리면제 예고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20311/112284958/1

요약

이번 조치로 인해 오는 21일부터 국내와 해외에서 접종을 완료하고, 접종 이력을 등록한 자에 대해서는 격리가 면제된다. 또 4월1일부터는 해외에서 접종을 하였으나, 접종이력을 등록하지 않은 자에 대해서도 격리 면제가 적용된다.




결국 서구권과 비슷한 수순으로 가는듯합니다.

마지막 웨이브 돌고 나면 사회전반적으로 집단면역 생김 + 오미크론은 중증으로 발전하는 빈도가 낮음 콤보로 인해

풍토병화해서 관리해도 좋다고 판단한 모양입니다.

지금도 사망자가 계속 나오고 있는 만큼 섣불리 기뻐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언제까지나 물리적 교류를 제한해둘수는 없으니 방역정책을 점차 완화할 필요는 있었고

이제 거의 끝에 도달했다는 신호탄이 쏴진 느낌이네요.

해외여행자도 점점 많아지고 박살나있던 항공/여행산업도 다시 상처를 회복해가겠네요.



여기 피지알 여러분들도 고생 많으셨고 완화될 정책을 기분좋게 누리셨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년배
22/03/11 12:36
수정 아이콘
20일 쯤에 정점 찍고 내려간다는 연구 반영했나 보군요. 동남아 대부분 국가도 3월 15일 부터 격리면제 니까 해외여행 시작하겠네요
22/03/11 12:37
수정 아이콘
저렇게 할거면 영업시간 제한도 좀 없애주지
22/03/11 12: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점을 찍고 내려갈 때 풀어줄 겁니다.
보통 정점찍고 나서 2주 정도 후에 위중증자의 정점을 찍으니 관리가 잘 되면 그 이전에도 풀 수 있을 것같고, 관리가 잘 안된다면 그 이후에나 풀 수 있을 것 같네요.
양을쫓는모험
22/03/11 13:14
수정 아이콘
아무리 늦어도 다음 대통령 취임 전에는 모든 제한 다 풀고 코로나 종결 선포할겁니다.
제발존중좀
22/03/11 13:45
수정 아이콘
자영업자 기준에선 그정도까지 기다리라고 하면 두달인데 난리나죠..
우리아들뭐하니
22/03/11 14:05
수정 아이콘
오미크론 특성상 거리두기 풀고 방역패스를 남기는게 나은거 아닌가했는데 정반대로 하더군요.
22/03/11 15:27
수정 아이콘
방역패스가 법원에서 막혀서..
우리아들뭐하니
22/03/11 15:32
수정 아이콘
https://www.korea.kr/news/visualNewsView.do?newsId=148899495
정부피셜로는 법원에서 막혀서 그랬다기보단..방역정책으로 그만둔거죠.
양을쫓는모험
22/03/11 12:37
수정 아이콘
환영합니다.
바카스
22/03/11 12:37
수정 아이콘
드디어 해외 나갈 수 있게 됐네요

지난 2년 흙ㅜㅜ
몽키매직
22/03/11 12:41
수정 아이콘
요번 피크 지나면 어지간한 조치는 다 해제할 분위기인데, 피크가 3월 말이 아니라 4월로 늦어질 수도 있다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 중증 병상은 아직도 많이 힘들다고 하는데 아직 고비를 넘은 건 아니라서 짧은 기간 안에 초과사망자가 많지 않을까 걱정되긴 합니다.
Normal one
22/03/11 12:46
수정 아이콘
가즈아~
리얼월드
22/03/11 12:52
수정 아이콘
혹시 백신 안/못맞은 애들은 어떻게 되는걸까요?
엄마/아빠만 격리 해제고 애들은 격리면 의미가 없는데 ㅠ
여수낮바다
22/03/11 13:02
수정 아이콘
세계에서 확진자수 제일 많은 나라가 되었는데, 여전히 해외입국을 막는다는건 사실 시대착오적이죠;;;
타츠야
22/03/11 16:45
수정 아이콘
시대착오적이라서 그런게 아니고 국내 확진자 케어도 힘든데 해외에서까지 들어오면 더 힘들어서 그런 겁니다. 국내가 정점 찍고 내려갈 시점이 온 거고 해외에서 들어온 사람에 의해 감염 가속도가 붙거나 해외 감염자 숫자가 늘어나도 감당할 수준이라고 판단한거죠.
여수낮바다
22/03/11 16:54
수정 아이콘
예전이었으면 저도 동일하게 생각했을 거고 사실 그게 제 평소 생각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우리가 세계에서 제일 확진자가 많은 나라라서요;;;
배고픈유학생
22/03/11 13:04
수정 아이콘
대만, 일본, 홍콩, 중국은 제재가 안풀릴 것 같고
유럽, 미국은 너무 멀고
동남아 쪽으로 가봐야겠네요.
타츠야
22/03/11 16:46
수정 아이콘
일본도 곧 풀릴겁니다. 거기도 정점 찍는 예상 시점이 점점 오고 있거든요.
22/03/11 13:08
수정 아이콘
여권만들러 갑니다
오늘처럼만
22/03/11 13:09
수정 아이콘
해치웠나?

이 전염병이 끝나면...

해도 되는 각입니까???

전 진짜 청혼해야하는데 ㅠㅠ
세종대왕
22/03/11 14:29
수정 아이콘
이 전쟁(코로나)이 끝나면 그녀에게 청혼 할꺼야
엑세리온
22/03/11 13:13
수정 아이콘
백신 미접종 자녀를 둔 가족여행이 문제군요
좋습니다
22/03/11 13:20
수정 아이콘
접종완료가 2차일까요 3차일까요
22/03/11 13:21
수정 아이콘
2차 접종 180일 이내 이거나 3차완료자라네요
22/03/11 13:27
수정 아이콘
아....귀국해서 격리기간에 엘든링하려고 했는데ㅠㅠ짤없이 출근하겠네요ㅠ
김연아
22/03/11 13:30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크
기기괴계
22/03/11 13:37
수정 아이콘
아침 김부겸 총리 발표 보니 피크 37만 이야기 하던데...피크 40만 충분히 넘을 것 같습니다.

본격직인 상기도 감염 증상 환자 + 노출 환자 + 증상이 경미해도 걱정되서 검사해보는 환자 검사해보면

신속 항원 검사 양성율이 거의 70% 유박하네요.

한동안은 조심하세요.
22/03/11 13:39
수정 아이콘
5월 6일 임시공휴일 기원합니다
22/03/11 13:52
수정 아이콘
이번 웨이브 끝나면 확진자 수는 어느정도 다른 나라 비슷해질거니 이제는 여행 규제는 의미가 없어졌죠.
여행 규제가 의미 있는 나라는 아직도 확진자 수 통제정책 쓰고 있는 대만과 중국, 그리고 국내 여론이 아직도 호의적이지 않은 일본 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이 3나라가 한국에서 가장 해외여행 많이 가는 국가였다는 거죠...

이 3나라 빼면 이젠 한국인이 해외 여행 가는건 사실상 풀렸다고 보면 될거 같습니다. 몇가지 절차(와 비용) 남아있긴 한데, 5월부터는 인천공항 다시 붐비는 모습 볼 수 있겠네요. 해외에서 오는 관광객 보는 것도 아직은 비자통제 하고 있다고 알지만, 풀리는게 그렇게 멀지는 않을거고요.
kissandcry
22/03/11 14:03
수정 아이콘
뉴스보니까 일일 코로나 사망자가 최다로 나왔다고 하는데 코로나 이전에 일상적으로 하루에 발생하는 사망자 수와 비교해서, 코로나 이후 하루 사망자 수 증감에 특이점이 있는지도 궁금하네요. 비교 통계가 있을지...
이시하라사토미
22/03/11 15:45
수정 아이콘
호흡계통의 질환으로 사망이

2017년 32644
2018년 37763
2019년 36655
2020년 36368

많은 차이는 없는거 같습니다.
22/03/11 23: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땐 사망자가 많이 안나올 때고, 지금은 확진자가 일 200명내외로 나오니 차이가 있긴 할거 같네요.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가 2022년 1~2월 2407명, 3월 10일동안 1705명 발생했습니다.
서린언니
22/03/11 14:03
수정 아이콘
일본이 2월에 10만명 찍고 내려오는 중이니 한국도 큰 이변이 없는한 비슷하게 될겁니다 희망적이에요
파란짬뽕
22/03/11 14:37
수정 아이콘
3차못맞았는데...ㅠ 격리하겠네요
22/03/11 14:50
수정 아이콘
진짜 생각해보니 우리나라가 제일 많이 나오는 축인데 입국자 격리도 웃기긴 하네요 크크
잘생김용현
22/03/11 14:57
수정 아이콘
4월 3일 결혼. 신혼여행 국내계획 끝까지 안잡은 제가 승자입니다 후후
도르래
22/03/12 13:23
수정 아이콘
오 축하드려요.
22/03/11 15:32
수정 아이콘
확진자는 방역패스 6개월간 면제인데 이거는 확진후 완치자는 어찌되는 걸가요?
22/03/11 15:46
수정 아이콘
괌으로 신혼여행 계획 다 짜놨다가 결혼 2주 앞두고 입국자 격리 부활해서 눈물을 머금고 제주도 갔었는데....
Gottfried
22/03/11 16:25
수정 아이콘
여전히 입국 전 입국 후 PCR 검사는 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타츠야
22/03/11 16:49
수정 아이콘
당초 해외 입국자들은 입국 전, 입국 1일 차, 입국 6~7일 차, 총 3번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했는데, 10일부터 입국 6~7일 차에는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다만 외국인 등 시설격리를 하는 대상자는 입국 후 6~7일차에도 현행 그대로 피시아르 검사를 받는다.
라고 하는 걸 보니 입국 전 및 1일 차, PCR은 필수이고 6, 7일차 검사를 신속항원검사로 대체하는 것 같네요.
7, 8월 즈음엔 입국 전 PCR만 필수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기사조련가
22/03/11 17:21
수정 아이콘
여행주 사야하나
탑클라우드
22/03/11 18:07
수정 아이콘
2년 3개월만에 귀국할 수 있는건가... 후...
피지알맨
22/03/11 20:13
수정 아이콘
입국전 PCR검사 이거만 없애도.
내돈주고 받는게 너무 아깝더군요. 거진 10만원 꼴인데.
22/03/11 22:18
수정 아이콘
해외 사는데 가족이 한국가면 pcr 검사비만 몇십만원 들더군요
아우구스투스
22/03/12 00:53
수정 아이콘
거의 마지막네요
무서운사람
22/03/12 08:28
수정 아이콘
코비드 대응정책 중 유럽의 집단면역과 위드코로나 정책에 대해 비아냥거리고 욕했던 이유가 궁금해지네요
대부분의 언론과 커뮤니티에서 선진국에 대한 환상이 깨졌다며 조롱하며 대한민국이 최고였다고 스스로의 자존심과 우월감을 만족시키던게 잊혀지지 않네요
앗잇엣훙
22/03/12 08:54
수정 아이콘
그때는 그게 옳은줄 알았으니까요.

어느정도는 옳은것도 맞습니다. 오미크론이전에는 중증으로 가는 비율과 사망비율이 더 높았으까요.

초반 코로나나 델타변이때 위드코로나를 했다면...중증환자와 사망자가 지금과는 비교도 안될테니...결과론적으로 성공한 방역이라고 볼 부분도 있습니다.

인류최악급 역병에 이정도면 정부나 국민이나 할만큼 했죠.

역병제조국 중국이나 망했으면...
맥스훼인
22/03/12 10:19
수정 아이콘
그때는 그게 맞고 지금은 틀린거죠.
다만 바뀌는 과정에서 이게 아닌거 같다는 사람들까지 싸잡아 비난하던 사람들은 지금 상황은 모른척하겠지만요..
22/03/12 16:05
수정 아이콘
그땐 백신도 없고 코로나 자체의 치명률도 훨씬 높았죠.
처음부터 위드코로나 집단 면역했으면 우리나라에도 몇 만 단위 사망자가 발생했을 겁니다.
피지알 안 합니다
22/03/13 18:28
수정 아이콘
옳고 틀리고 떠나서 외국 조롱하면서 자부심 느끼는 건 잘못된 거죠.
LAOFFICE
22/03/13 02:09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정치방역이었다고 생각했는데 확진자숫자도 숫자지만 대선끝나고 푸는거 보고 더 확신이 들었습니다. 미국에서 보는 미국의 방역과 한국의 방역을 비교할때 솔직히 이해 안가는 부분이 너무 많았습니다. 이제 한국에 왔다갔다 할 수 있게되어 다행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388 [일반] [팝송] 조세프 샐뱃 새 앨범 "Islands" [3] 김치찌개5012 22/04/09 5012 0
95387 [일반] 삶의 질을 향상시킨 가전 순위 [126] 똥꼬쪼으기23730 22/04/08 23730 6
95386 [일반] 망글로 써 보는 게임회사 경험담(9) [26] 공염불11813 22/04/08 11813 26
95382 [일반] [성경이야기]이스라엘 땅 분배 - 청약 1탄 [21] BK_Zju13011 22/04/07 13011 12
95381 [일반] <앰뷸런스> - 한결 같네, 어찌 되었건.(노스포 지향) [32] aDayInTheLife8778 22/04/07 8778 2
95380 [일반] 음식 사진과 전하는 최근의 안부 [37] 비싼치킨13028 22/04/07 13028 64
95379 [일반] 상하이 봉쇄 연장 [71] 맥스훼인20477 22/04/07 20477 9
95378 [일반] 『인간 실격』이 청년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하는 이유는? [31] 라울리스타14105 22/04/06 14105 9
95377 [일반] 난장판이 되어버린 쌍용차 인수전: KG그룹은 인수 검토만 [44] SAS Tony Parker 14437 22/04/06 14437 1
95376 [일반] [펌] [번역] 어떻게 경제 제재가 러시아를 죽이는가 [14] 판을흔들어라12964 22/04/06 12964 21
95375 [일반] 오늘로서 소송을 시작한지 1년이 되었습니다. [39] BK_Zju17747 22/04/06 17747 23
95374 [일반] 40대 아재의 백수 이야기 - 2달 후 이야기 [32] 간옹손건미축9652 22/04/06 9652 20
95372 [일반] 보이스 피싱의 발전 - [엄마]로 전화가 온다면? [16] 42년모솔탈출한다9727 22/04/06 9727 2
95371 [일반] 망글로 써 보는 게임회사 경험담(8) [28] 공염불9711 22/04/06 9711 28
95370 [일반] 서울대공원 - 과천과학관 - 렛츠파크런 여행 [24] 그때가언제라도7831 22/04/05 7831 2
95369 [일반] 어쩌다 인생 첫 소개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37] 데브레첸11364 22/04/05 11364 12
95367 [일반] Hyena는 왜 혜나가 아니고 하이에나일까요? - 영어 y와 반모음 /j/ 이야기 [30] 계층방정11710 22/04/05 11710 15
95366 [일반] 망글로 써 보는 게임회사 경험담(7) [31] 공염불10159 22/04/05 10159 45
95365 [일반] 망글로 써 보는 게임회사 경험담(6) [13] 공염불9698 22/04/04 9698 29
95364 [일반] [추천] 바이럴에 낚여 보게 된 기괴한 상상력의 드라마 [23] 로각좁15434 22/04/04 15434 0
95363 [일반] 우크라이나의 키이우 주 완전 확보 선언 [125] kapH28483 22/04/03 28483 19
95362 [일반] 소규모 회사에서 나타나는 개발자의 도덕적 해이 [89] 시드마이어17760 22/04/03 17760 42
95361 [일반] 대학병원 처음 가본 썰 푼다 [15] seotaiji10544 22/04/03 10544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