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12/27 16:07:46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605868118
Subject [일반] <드라이브 마이 카> - 모든 이야기는 어떤 이야기의 에필로그다(약스포)

저는 <드라이브 마이 카>를 부산국제영화제에 나왔던 영화, 혹은 칸 영화제 각본상을 받은 영화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며칠 전에 '이동진 평론가가 만점을 준 영화'로 기억했고, 영화가 시작되었을 때 뭔가 익숙한 이야기가 들려서 뭐지 싶다가 오프닝 크레딧을 보고서 깨달았습니다. '아 이거 하루키 단편 영화화구나.'

나름 하루키 팬을 자처하는 입장으로 약간 당황했습니다.


넵, 이 영화는 동명의 무라카미 하루키 단편 소설을 영화로 옮긴 이야기입니다. 기초적인 뼈대, 그러니까 도입부터 중반까지는 비슷하게 흘러가지만 단편 영화를 3시간에 가까운 영화로 옮긴 터라 후반부에는 많은 각색도 이루어져 있습니다.


영화의 시작은 주인공이 아내 '오토'의 외도 사실을 알고, 또 그 아내가 갑작스레 사망하고 마는 사건입니다. 영화가 시작하고 그제서야 배우들, 스태프들의 이름이 뜨는 걸 생각하면 거기가 영화의 본격적인 시작점이라고 해도 될거 같아요. 영화 상으로도 히로시마에 도착하는, 모든 이야기가 시작되는 지점이기도 하구요.


영화는 지나온 길을, 그리고 지나가고 있는 길들을 보여줍니다. 앞이 탁 트인 길은 딱 한번, 그것도 엔딩에서야 나오게 됩니다. 영화에서 모든 인물과 모든 사건들은 철저하게 오프닝의 이야기들에 종속된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런 점에서 영화의 오프닝 크레딧은 어쩌면 이 이후에 일어나는 모든 일들은 앞의 일의 에필로그처럼 느껴지게 됩니다.


영화는 그렇게 과거에 종속된 인물들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체호프의 말을 빌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야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영화에 언급된 '바냐 아저씨' 연극을 통해서요.

그런데 재밌는 것은 연극에 캐스팅된 극중극 배우들입니다. 시작 부분의 '고도를 기다리며'도 그렇고, '바냐 아저씨'도 그렇고, 연출가이자 배우로 설정된 가후쿠는 다양한 언어가 섞인 채로 연극을 연출합니다. 어쩌면 영화의 서사와 감정을 보편화하기 위해서 일수도 있습니다만, 저는 중간의 '통역가'로서의 주인공을 보고 싶네요.


영화에서 아내의 이야기는 정작 아내는 기억하지 못하는 이야기들입니다. 주인공의 도움 없이는 이야기는 휘발되고 말 이야기들 입니다. 그런 이야기들을 각본으로 다듬을 수 있게,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게 하는 것은 주인공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연극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연극에서 '바냐' 역할을 맡은 배우는 중국어도, 영어도 못하고, '옐레나' 역할을 맡은 배우는 일본어를 모릅니다. 그리고 영화에서는 수어를 하는 한국인 캐릭터도 나오죠. 각기 다른 언어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연극이 나올 수 있음에, 이야기가 말을 걸어 어떠한 화학 작용이 일어나듯이, 영화는 그 순간을 포착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저는 보면서 은근히 <맨체스터 바이 더 씨>가 떠올랐습니다. 상처를 받아야할, 그것도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만큼 상처를 받아야하는 사람이 상처를 애써 무시하고 지나가는 것. 그 순간을 지나치고 나중에야 내가 아팠음을 깨닫게 되는 것은 참 아쉬운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세인츠
21/12/27 16:13
수정 아이콘
조금 어처구니없게 느껴지던 마지막 씬 빼고는 꽤 괜찮게 봤던 것 같네요
aDayInTheLife
21/12/27 16:19
수정 아이콘
곰곰히 생각해보면 굳이 마지막을 어떻게 해야했을까 궁금하긴 합니다. 저는 음… 약간은 어거지다 싶지만 그래도 회복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엔딩이라고 생각해요. 원작은 지금 책을 찾아보고는 있는데 단편의 엔딩도 잘 기억나지 않네요ㅠㅠ
22/01/06 08:30
수정 아이콘
내용에 비해 3시간이 지루하지 않으니 제 기준으론 아주 재밌는 영화였어요.
지금 일본에 있어서 시간 내서 히로시마도, 홋카이도도 가 볼 수 있어 좋네요 흐흐
그런데 결말 해석 좀 해주세요
aDayInTheLife
22/01/06 09:03
수정 아이콘
저는 일종의 안식, 회복이라고 생각해요.
상처받아야 할 상황에 적절한 만큼, 적절한 강도로 상처받지 않았고, 그것에 대해 회복하게 된 이야기. 그런 점에서 앞에 뚫린 길을 보여줬다고 생각해요. 아마 제가 본지 좀 되서 정확하지 않지만 앞이 뚫린, 앞을 바라보는 장면이 아마 유일한 걸로 기억하거든요. 다만, 그 회복의 장소가 이질적인 장소, 일종의 방랑벽이 작용한 장소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의뭉스러운 마무리라고나 할까요.
히로시마도, 홋카이도도 가보고 싶네요… 삿포로는 가긴 했는데 너무 짧아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332 [정치] 국정원 ‘신원조사’ 보안업무규정 시행규칙 개정 [117] SkyClouD17977 22/12/06 17977 0
97331 [일반] 지코의 새삥을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2] 포졸작곡가9666 22/12/06 9666 6
97330 [일반] 아라가키 유이와 이시하라 사토미 [34] Valorant15525 22/12/06 15525 2
97329 [일반] '테라·루나 사태' 신현성 전 차이대표 영장 기각 [46] 타츠야19090 22/12/05 19090 0
97328 [일반] 건설현장에서의 노조 문제 [208] 퀘이샤27164 22/12/05 27164 75
97327 [일반] 아수스, 그래픽카드별 파워서플라이 용량 안내 [36] SAS Tony Parker 13825 22/12/05 13825 1
97326 [일반] 영천에 스타벅스가 들어옵니다(그외 3군데 추가) [80] SAS Tony Parker 17679 22/12/05 17679 2
97325 [일반] 철제궤도를 대체하는 고무궤도 [33] 어강됴리16212 22/12/05 16212 3
97324 [정치] 尹대통령 "화물연대 파업, 북핵 위협과 마찬가지" [207] 덴드로븀23703 22/12/05 23703 0
97323 [일반] 삼성 안드로이드의 앱 서명키가 유출되어 멀웨어에 사용 [15] Regentag14096 22/12/05 14096 0
97321 [정치] 피고와 원고가 한 몸이 된 재판 [12] monochrome17617 22/12/05 17617 0
97320 [일반] 재벌집 막내아들 8화 재밌었습니다. [43] Valorant14852 22/12/05 14852 2
97319 [정치] 10.29 유족에 검사가 '마약 부검' 제안‥유족들 "희생자 두 번 죽여" [64] 크레토스18987 22/12/04 18987 0
97318 [일반] <<화엄경>>을 통해 보는 대승 불경에서 힌두 신들의 위치 [4] 자급률9149 22/12/04 9149 8
97317 [일반] [창작물] 천마들의 회동 < 각 내용의 스포 주의! > [4] 마신_이천상12817 22/12/04 12817 3
97316 [일반] 다시 본 밴드 오브 브라더스, 퍼시픽 [24] Valorant11924 22/12/04 11924 2
97315 [일반] AGF 2022 토요일 후기 [12] 그때가언제라도10814 22/12/04 10814 8
97314 [일반] [성경이야기]언제나 혼자였던 사사 삼손 [5] BK_Zju15459 22/12/04 15459 22
97313 [일반] 야한 미소녀 게임을 하면 연애 못하는 백수가 될까? [45] kien.20159 22/12/04 20159 10
97312 [일반] 벌금의 요금화 [77] 상록일기20448 22/12/04 20448 45
97311 [일반] 사이트 & 사운드: The greatest film of all time 2022 [6] lexicon10372 22/12/04 10372 1
97310 [일반] [팝송] 그리핀 새 앨범 "Alive" 김치찌개8288 22/12/04 8288 1
97309 [일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 이해할 수 없는 세상을 이해하려는 것.(스포) [19] aDayInTheLife12795 22/12/03 12795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