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12/13 15:05:26
Name Leeka
Subject [정치] 김수로 호소 통했다…5대 공연장, 코로나 취소시 100% 환급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8&aid=0005105505

작년에 김수로씨가 크게 호소했던..

'코로나로 인해 취소되도, 대관료를 돌려주지 않는다'  너무 힘들다..  라고 했던 그 문제가

이제 개정되어서 '코로나로 인해 취소되는 경우 대관료를 100%' 돌려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적용되는 5대 공연장의 경우

세종문화회관·예술의전당, 인터파크씨어터·샤롯데씨어터·엘지아트센터로

다른 공연장들도 공정위 가이드를 따른다면, 코로나로 인해 취소시에는 100% 돌려받을 수 있게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후랄라랄
21/12/13 15:41
수정 아이콘
올해는 좀 아닌거 같은데....
표팔이
21/12/13 15:48
수정 아이콘
원래 공연장들 다 하던거고... 실익은 '감염병'이 천재지변으로 들어간거 정도네요
거리두기 하라 할때(한 자리 거리두기) 대관료도 50% 감면해주는곳 많았습니다.

다만 공연장들의 대관단체 가려받기는 더 심해질것으로 보이네요
영세기획사들 살리겠다고 저렇게 개정한거겠지만 오히려 영세기획사들이 공연 올리기는 더 힘들어질겁니다
jjohny=쿠마
21/12/13 16:00
수정 아이콘
아 제가 잘 이해를 못해서 그런데,
해당건(코로나19로 인한 대관취소)에서, 대관단체가 영세기획사일 경우랑 대형기획사일 경우의 차이가 있나요?
이거 때문에 대관단체 가려받기가 심해질 요인이 어떤 게 있는지, 잘 이해를 못했습니다.
표팔이
21/12/13 16:06
수정 아이콘
대형공연은 대관료 환불정도로는 피해 커버가 안되기때문에 배우 한명 확진나면 대체배우 구해서라도 올리고
소형공연은 그냥 공연 취소해버리고 대관료 회수하는게 이득인 경우가 많아요.
jjohny=쿠마
21/12/13 16:13
수정 아이콘
아하... 말씀해주신 부분은 이해를 했습니다.

다만, 이번 결정에서 주안점은 배우가 확진됐을 때가 아니라 [거리두기 단계 등에 따라서 불가항력으로 공연이 취소될 때]에 대한 취급을 변경한다는 점 같은데요. 김수로 씨가 호소할 때도 그 내용이었던 것 같고요.

이 점에서, 대형기획사든 영세기획사든 별 차이는 없을 것 같습니다.
표팔이
21/12/13 16:20
수정 아이콘
같은 맥락에서 보시면 됩니다.

제가 지금 정확하게 기억은 안나는데, 코로나-19 발병 이래로 "공연장" 이 정부의 행정명령에 의해 강제로 폐쇄된 적은 없었습니다. 거리두기 2m 이상 유지 등.. 방역수칙을 적용했을때 판매 가능한 객석수 산출해서 BEP 계산해보고 기획사들이 공연 포기를 해온겁니다.
대형공연은 올리면 코로나-19 무섭다 무섭다 해도 보러 옵니다. 지금도 서울 충무아트센터 <레베카> 옥주현씨 회차는 거의 매진입니다..
인기없는 소형공연은 아예 객석이 빕니다...

그럼 공연장측에서는 대관료를 받으려면 어떤 공연을 대관을 줘야할까요. 명백하죠....
jjohny=쿠마
21/12/13 16:31
수정 아이콘
아하 그렇군요. 추가 설명 감사드립니다.
마감은 지키자
21/12/13 16:05
수정 아이콘
[가장 큰 변화는 감염병 사유로 정부가 공연중지 행정명령 시 공연기획자 등이 이미 납부한 대관료를 돌려준다는 약관이 신설된 점이다.]
기획사와는 상관없다고 봐야죠.
표팔이
21/12/13 16:09
수정 아이콘
정책 의도 자체가 대관료도 버거운 영세 기획사들이 코로나때문에 냈던 대관료도 회수 못한다는걸 구제하자는 의도입니다
(김수로씨가 정책 제안한것도 본인이 공연기획자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런 취지였구요)
21/12/13 16:06
수정 아이콘
감염병이 아니라 행정명령인 경우 100%환급이니 규모에 따라 유불리가 있지는 않을 것 같네요.
환급은 환급대로 해주고 공연장 측에는 명령에 따른 보상을 주고 그러면 된다고 봅니다.
마감은 지키자
21/12/13 16:12
수정 아이콘
거리두기 강화되면서 대극장 공연들이 올스톱한 적이 있는데, 그 이야기일 겁니다. 그때 저도 취소된 공연이 있었거든요. 연기자나 스태프 중에서 확진자가 나와서 취소되는 경우 말고요.
handrake
21/12/13 16:42
수정 아이콘
저러면 공연장은 무슨 죄인가요.
부담도 나누는게 맞는것 같은데....
21/12/14 21:51
수정 아이콘
이런거 아무 의미 없어요
이렇게되면 뭔가 생기는거 같지만 결국 어차피 기획사는 다 죽어요
모임 자체가 죄악인데 무슨 공연이요
BEP절대 못 맞춰요
그냥 우리나라 공연업은 이미 다 죽었어요
무슨 꿈과 희망이 있어보이게 이야기하는데 그런거 없이 이미 다 죽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718 [정치] 1602개 직장어린이집 설치 대상 업체중, 미설치 업체는 27개밖에 없다 [47] Leeka10781 23/09/05 10781 0
99365 [정치] [단독] "이 길은 아닌가봐"…새내기공무원 1년도 못채우고 3000명 '사표' [177] Leeka18528 23/08/01 18528 0
98894 [정치] 일본에서 오늘 발송한 재난문자 현황 [108] Leeka14408 23/05/31 14408 0
98580 [정치] `전세사기 피해자 보증금 先변제` 법안 행안위 통과 [54] Leeka10656 23/04/25 10656 0
96937 [정치] 김진태의 똥.. 둔촌주공을 비롯한 시장으로 퍼지는 중 [302] Leeka31800 22/10/22 31800 0
96861 [정치] 전세대출변동 금리, 전체의 93.5% 차지 [38] Leeka16340 22/10/13 16340 0
96627 [정치] 대부분 지방의 투과지/조정지역이 해제됩니다 [66] Leeka15441 22/09/21 15441 0
96608 [정치] '사업지연' 둔촌주공 공사비 3.2조→4.3조…1인당 1.8억 더 낸다 [85] Leeka18303 22/09/20 18303 0
96488 [정치] 전세사기 관련 개선안 공개 [32] Leeka13344 22/09/01 13344 0
96081 [정치] 가계부채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비율은? [9] Leeka8136 22/07/23 8136 0
96069 [정치] 윤석열 정부 세금 대격변이 발표되었습니다. [175] Leeka22630 22/07/21 22630 0
95972 [정치] '왕릉뷰 아파트' 소송 1심 건설사 승소…법원 "철거 이익 미미" [70] Leeka14620 22/07/08 14620 0
95966 [정치] 최저임금과 공무원 임금 상승률 비교 [200] Leeka18237 22/07/07 18237 0
95908 [정치] 투기과열지구 & 조정대상지역 변경 [68] Leeka16060 22/06/30 16060 0
95772 [정치] 서울시 구청장과 평당 아파트 가격 보기 [31] Leeka12115 22/06/08 12115 0
94749 [정치] 이준석의 28분 연설 전문이 공개되었습니다 [230] Leeka28249 22/01/06 28249 0
94679 [정치] 이재명 32.8% 윤석열 25.4% 지지후보 없음 29.5% [87] Leeka18380 22/01/03 18380 0
94486 [정치] 신혼부부가 혼인신고를 하면 현재 부동산 제도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58] Leeka13310 21/12/22 13310 0
94473 [정치] 올해 전국 아파트값 상승률, 2006년 이후 최고…인천 30%↑ [30] Leeka12852 21/12/21 12852 0
94359 [정치] 김수로 호소 통했다…5대 공연장, 코로나 취소시 100% 환급 [13] Leeka19351 21/12/13 19351 0
94337 [정치] 수능 생명과학 문제 오류 관련, 17일에 1심이 나옵니다. [19] Leeka10837 21/12/12 10837 0
94289 [정치] 문재인 정부 4년간 서울 아파트 값 평균 2배 올라 [212] Leeka23899 21/12/08 23899 0
94081 [정치] 초과 세수 규모가 50조를 넘었다고 합니다. [89] Leeka19076 21/11/17 1907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