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12/09 11:21:08
Name 우주전쟁
Subject [일반] 이번 수능은 파이어(fire) 수능 맞음...
관련기사: https://news.v.daum.net/v/20211209110322423

올해 첫 문이과 통합으로 수능이 치러졌는데 국, 영, 수가 모두 어려웠던 불수능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학생들 체감이 결국 현실로 드러난 것 같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올해 수능 채점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문이과 통합형 첫 수능에서 수학은 문·이과의 격차가 심하게 났고 이게 향후 과제로 남을 것 같다고 합니다. 과목별로 보면...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만점) 149점 (작년 144점)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만점) 147점 (작년 가형, 나형 최고점 모두 137점)
영어: 1등급 비율 6.25% (작년 12.66%)

였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수학에서의 문·이과 격차가 두드러졌고 사탐과 과탐에서도 격차가 나타나면서 문과생들에게 불리한 상황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네요.
앞으로 문과생들의 상위대학 진학이 더욱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가뜩이나 취업도 잘 안 되는 상태인데 이제 대학진학까지 어려워진다니 문과를 선택한 학생들의 고충이 더욱 더 배가될 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athetique
21/12/09 11:23
수정 아이콘
그냥 이과에 상위권 학생들이 훨씬 더 많이 가는 것 같습니다. 제가 학교 다니던 20년 전에도 그랬는데 지금은 조금더 심해진 느낌.
오곡물티슈
21/12/09 11:28
수정 아이콘
국어 만점자 수 28명 후덜덜....
21/12/09 11:34
수정 아이콘
얼핏봐도 어렵던데 만점자가 28명이나 되다니 대단하네요.
VictoryFood
21/12/09 11:36
수정 아이콘
중등교육에서 문/이과를 나누는 것이 의미가 없어졌네요.
그냥 이과가 상급반이 되어버렸어요.
차단하려고 가입함
21/12/09 11:36
수정 아이콘
어쩔 수 없는거죠. 문과애들이 공부를 못하는게 아니라, 공부 잘 하는 애들이 이과를 가는거니까요. 인위적으로 조정하려고하면 절대 안됩니다. 저 고등학교때만 해도 고1때 전교 30등중에 25명이 이과갔는걸요. 지금은 더할걸요.
차단하려고 가입함
21/12/09 11: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처럼 내수로만 먹고사는게 가능한 나라라면 문과계열 직무자들을 취업시장에서 전부 까진 아니어도 어느 정도는 흡수해 줄 수 있어요.

근데 곧죽어도 제조업으로 먹고살고 타국에서 돈을 벌어와야되는 우리 경제 특성상, 공부 잘하는 애들이 이공계에 몰릴 수 밖에 없는건 당연한 일입니다. 그게 잘못된 일도 결코 아니구요. 사실 이게 우리나라의 남녀임금격차가 발생하는 가장 큰 지점이기도하죠. 돈 잘버는 제조업기업 종사자나 엔지니어의 남성비율이 높기때문에 발생하는거지 여자엔지니어라고 돈을 조금 주는게 아니거든요.

대학정원 줄이면서 문과대 인원을 우선으로 줄이고, 문과대는 진짜 학업에 뜻이 있는 사람들만 가는게 맞습니다. 대학이 무슨 취업학원도 아니고 원래 그러는게 맞는거구요. 고졸취업하는게 대학가는거보다 훨씬 자연스러운 일으로 여겨지는 사회가 돼야해요. 젊은사람들 대부분이 대학에서 무의미하게 시간버리는게 국가적인 낭비라고 봅니다.
어둠의그림자
21/12/09 12:16
수정 아이콘
남녀임금 격차에대한 원인은 주로 비선형적 임금구조와 장기간 근로 우대현상을 꼽죠. 동일직종 내에서의 임금차를 비교하기 때문에 이공계와 비 이공계의 보상차이는 상관없습니다.
CapitalismHO
21/12/09 12:33
수정 아이콘
이과가 공부를 더 잘한다는 것에는 동의하는데... 말씀하신 전교30등 중 25명이 이과간건 표본 오류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문과 최상위권은 대부분 외고로 빠져서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에 많이 없거든요. 남고면 이런 현상이 더 심하고요.

그래서 보통 일반 고등학교 서울대는 이과에서 대부분 나오죠.
티라노
21/12/09 12:38
수정 아이콘
영재고나 과학고 같은거 생각하면 이과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그냥 사회적인 분위기로서 문과 자체가 인기가 없어졌다고 보는게 더 맞을듯 합니다.
과거에 상업고등학교들이 그랬듯이요.
21/12/09 13:53
수정 아이콘
지금은 모르겠는데 10년전에는 과학고 영재고 정원보다 외고정원이 압도적이어서 나온말인듯 합니다.
CapitalismHO
21/12/09 18:47
수정 아이콘
외고 정원은 4600명 정도고, 과고는 1300명 정도입니다. 3300명 차이면 서울대 문과 or 이과 정원 두바퀴 도는 숫자니까 상당한 차이죠.
*쿠크다스*
21/12/09 12:57
수정 아이콘
그런데 외고로 빠진 문과 최상위권애들 중 또 상위권은 의대준비반으로 이과로 시험보지요.
CapitalismHO
21/12/09 18:44
수정 아이콘
외고 이과반은 극히 소수입니다...
21/12/09 11:38
수정 아이콘
와 이렇게 어려운 시험에서도 만점자가 나왔네요. 대단합니다.
21/12/09 11:41
수정 아이콘
만점자 단 한명!
괴물군
21/12/09 11:44
수정 아이콘
문과생들이 어려움을 겪을 꺼라는건 수학을 통합형으로 하면서 이미 예견되었던 일이죠

옳은 방향인지는 모르겠습니다
21/12/09 11:50
수정 아이콘
이과가 더 똑똑한 거죠
유료도로당
21/12/09 11:52
수정 아이콘
문과가면 취직안된다고 곡소리나는데 공부잘하는애들이 문과를 갈 이유가 없긴하죠...
AaronJudge99
21/12/09 14:19
수정 아이콘
그렇긴해요..
다크템플러
21/12/09 11: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걍 문이과 구분 없애야죠. 진짜 의미없는 나눔입니다
사탐 과탐 나눌필요없이 둘다 공부해야죠
지금도 통합해가고있지만, 더 나가야합니다.
이른취침
21/12/09 11:57
수정 아이콘
문과가 대학가기 힘들어졌다는 건 프레임이지 않을까 합니다.

그냥 자연계 지망했던 애들이 경영 경제로 가면서 문과풀이 바뀌게 되었다고 보는 게 맞지 않을까 하네요.
21/12/09 12:05
수정 아이콘
영어가 절대평가로 등급만 나오는군요??
와 이건 첨알았네요 신기
욕심쟁이
21/12/09 12:14
수정 아이콘
명백하게 어려운 시험이었는데 내가 풀어보니 어렵지 않았다 이런 말을 하는건
내가 난이도 구별을 할줄 모른다는 말과 같죠.
아케이드
21/12/09 12:16
수정 아이콘
문이과 구분 자체를 없애야죠
21/12/09 12:20
수정 아이콘
근데 시험을 통합해서 볼거면 굳이 문이과를 나누는 의미가 있나 싶긴 하네요.
예전에는 서로 시험에 차이가 있었으니 나누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 통합해서 보는거면 그냥 안 나누고 고3까지 동일하게 공부하는게 맞지 않나 싶어요.
프라이드랜드21
21/12/09 12:26
수정 아이콘
공부 특히 수학 잘하면 이과를 가는게 맞습니다 그게 결과로 나타났을 뿐
21/12/09 13:07
수정 아이콘
문과가 대학가기 불리해진 게 아니라, 이전에 이과가 대학가기 불리했었고 이제 그게 균형을 찾아가고 있다는 평이 많더군요
Meridian
21/12/09 13:07
수정 아이콘
공부잘하면 이과로 가는게 입시에서 무조건 유리하니까....
21/12/09 13:16
수정 아이콘
수학실력이 어중간한 친구들이 문과로 대학 티어 올리는게 수학 가나형 통합으로 인해 어려워졌죠.
제주삼다수
21/12/09 13:24
수정 아이콘
옛날 이공계장학금 주듯이 문과장학금 줘야되는거 아닙니까
21/12/09 13:36
수정 아이콘
단순하게 국어 수학 잘하는 애들이 다른 과목도 잘하는 거죠. 문과에서 국어수학 잘하는 애들보다 이과에서 국어수학 잘하는 애들이 더 많을테니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봅니다.
교대가즈아
21/12/09 13:41
수정 아이콘
수능이 점점 타임어택으로 가면서 노력으로 되는 시험에서 재능 시험으로 바뀌고 있는 느낌입니다.

특히나 국어와 과탐이 그렇죠. 국어시험 자체가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이 78분 내로 완독해서 모든 정답을 내는게 가능한 시험인가 의문이고..
8차였나요? 교육과정 개정 이후로 1등급컷이 80점대인 시험이 벌써 3번이죠. 90 94 84 91 87 83,4..

과탐은 이미 교과과정에서 배우는 개념과 문제의 괴리가 너무나도 심해진데다, 그나마 꿀이라 평가받고 타임어택 없다던
물리,지구과학마저 타임어택 영역으로 들어왔죠. 등급컷은 당연히 개박살났구요.

예전엔 개념보고 기출만 하면 1등급, 만점 나오는게 가능했지만.. 지금은 시중에 나온 컨텐츠 모두 소화하고..
타임어택 감안해 시간 맞춰 문제 푸는 연습까지 해놔야 1등급 나오는 시험이 된 느낌입니다..

뭐 재능러나 학식이 깊으신 분들이면 쉽게 풀 수도 있겠지만.. 시험은 어려워지는데 시간은 촉박해지고
해야할 공부량은 천정부지로 솟아올라서 일반학생에겐 쉽지 않는 시험이 됐네요.
피해망상
21/12/09 13:43
수정 아이콘
기출은 쌓여가는데, 공부범위는 줄어드니 당연히 변별을 위해서는 스피드 테스트로 갈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스피드 테스트로 가면 재수생이 줄어들수는 있을것 같긴 합니다.
어차피 해도 안오른다는걸 체득하게 되면요.
21/12/09 14:21
수정 아이콘
사실 타임어택 성향은 학교 내신이 훨씬 강합니다.
부질없는닉네임
21/12/09 15:04
수정 아이콘
수험 범위 축소가 교육부 최대 삽질 중 하나죠
상대평가 시험에서 범위가 줄면 더 지엽적으로 나올 뿐...예전에는 탐구 4과목 치고 서울대만 4개 반영이고 연고대 3개 반영이라 보통 2과목만 열심히 하고 1과목은 적당히 하고 1과목은 버리는 식이라 밑에 깔아주는 사람이 생겨서 난이도 조절이 되었는데 지금은 난이도 박 터져요
피해망상
21/12/09 13:41
수정 아이콘
이과가 잘하는것도 있겠지만, 대놓고 얘기해서 문과는 공부를 안해요.
뜨와에므와
21/12/09 13:42
수정 아이콘
코로나 상황에 문제 난이도를 더 올려놨으니...
AaronJudge99
21/12/09 14: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고3 문과입니다
그냥 죽고싶네요
가장 가까운 한강다리가 어디더라 ㅠㅜ
언매 78점 확통 84점 쌍사 50점
아...서성한가고싶다..ㅠㅠㅜ
뭔 1컷이 이렇게 높아요...ㅠㅠㅠ 에휴
우주전쟁
21/12/09 14:41
수정 아이콘
원하시는 대학에 꼭 합격할겁니다...힘 내세요!!!...
AaronJudge99
21/12/09 14:45
수정 아이콘
말씀만이라도 감사합니다 ㅠㅜ...기운이 나네요
21/12/09 14:57
수정 아이콘
어차피 지금 문과생들 다 님같은 심정입니다.
이땐 제정신 빨리 차리는 사람이 이기니까 멘탈 잡고 끝까지 해보세요.
AaronJudge99
21/12/09 15:1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ㅠㅠ
CP Violation
21/12/09 15:16
수정 아이콘
공부를 잘하면 당연히 의치대를 위해 이과 가야 하고
공부를 못하면 시키는 거 따라하면 살 길은 나오는 이과를 가야 합니다
집에 돈 많으면 문과 가도 됩니다
테크닉파워존
21/12/10 02:59
수정 아이콘
전국에 있는 모든 수험생이

국어에서 독서와 문학을 고2때 배우고
수학에서 수학1과 수학2를 고2때 배우고
선택과목이야 학생들이 알아서 상황에 맞춰 고르는거라

같은학년일때 같은내용을 배우면서 같은내용의 시험을 본것일 뿐인데 기자들은 왜 문이과 유불리를 논하는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898 [일반] [성경이야기]여리고성 함락 의미를 다르게 살펴보기 [16] BK_Zju15064 22/01/25 15064 22
94897 [일반] 러시아 해군 전력 대거 흑해 집결중, 우크라이나 남동북부지역 한국교민 출국권고 [91] 아롱이다롱이18381 22/01/25 18381 6
94896 [일반] 웹소설 2개 강력 추천드려요. [18] wlsak13649 22/01/25 13649 6
94895 [일반] [속보] 바이든 우크라이나 파병 공식 명령 [173] 원펀치27064 22/01/25 27064 8
94894 [일반] 신라젠 상폐와 바이오 기업 상장 특혜 [17] 깐부12477 22/01/25 12477 4
94893 [일반] [연주곡] 상록수 - 인생극장 [2] 카페알파6731 22/01/25 6731 4
94890 [일반] 신품보다 비싼 고물 : Low-background steel [11] 아스라이12517 22/01/24 12517 12
94889 [일반] [중드 추천] 연연강호... 막돼먹은 아가씨 이야기(스포 있음) [14] 마음속의빛7446 22/01/24 7446 2
94888 [일반] 인도가 K9 자주포 200문을 추가 주문했다는 소식 [35] 아롱이다롱이15921 22/01/24 15921 1
94887 [일반] 국산전투기 KF-21 보라매 근황 [56] 아롱이다롱이17574 22/01/24 17574 8
94886 [일반] 미국, 우크라이나 미 대사관 철수 시작. 자국민에 '러시아 여행금지령' [166] EpicSide24594 22/01/24 24594 4
94885 [일반] [성경이야기]홍해와 요단강은 어떻게 달랐는가 [17] BK_Zju16049 22/01/23 16049 20
94884 [일반] 코로나와 스타워즈의 상관관계 (스포주의) [64] 노잼11160 22/01/23 11160 1
94883 [일반] 노트북 구매 가이드 팁 [39] 모리아니15523 22/01/23 15523 4
94882 [일반] 고이소 구니아키를 통해서 본 대동아주의 [19] 도쿄는밤7시9893 22/01/23 9893 10
94881 [일반] 2020/2021 덜 알려진 명작 영화 추천 [2] azrock12756 22/01/23 12756 4
94880 [일반] 물개처럼 당겨보자 - 씰 로우 [9] chilling14265 22/01/23 14265 6
94879 [일반] 해외선물 투자를 절대 해서는 안되는 이유 [111] 기다리다25078 22/01/23 25078 26
94878 [일반] 재판부 룩북 유튜버에게 승무원 룩북 영상 비공개 처리 권고 [200] 원펀치27227 22/01/23 27227 39
94877 [일반] 푸른 피에 대해 알아봅시다 [17] 식별11672 22/01/23 11672 9
94876 [일반] 간단한 사고 실험으로 생각해보는 남녀 임금격차 [321] kien.23827 22/01/23 23827 15
94875 [일반] 일본 밴드 JITTERIN'JINN [4] 도쿄는밤7시9005 22/01/23 9005 2
94874 [일반] [뻘글][원피스/스포있음] 개인적으로 가장 재밌었던 시절 [9] TAEYEON12053 22/01/23 12053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