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9/26 19:52:22
Name 아롱이다롱이
File #1 독도.jpg (2.89 MB), Download : 86
File #2 역사문제.jpg (3.00 MB), Download : 17
Subject [정치] [스압주의] 일본 자민당 총재 후보자 타운미팅(독도, 역사날조??) (수정됨)















일본 차기 총리 후보자들이 모여 가진 온라인 간담회에서
각 후보자들이 밝힌 독도, 역사 문제에 관한 의견입니다
  
현 상황은 고노 다로 후보가 가장 앞서고 있긴한데
아베는 순한맛이라고 불릴정도로 극우 중의 극우, 야후재팬의 여왕이라 불리는 여성 후보 타카이치 사나에 가
무섭게 치고 올라와 기시다를 제치고 2위에 오를것이라는 예측도 있나 봅니다.

자민당 지지자들에게 있어 고노다로는 좌파에 가깝다고 하던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사나에는 아베의 지지를 등에 업은 후보이다보니
아베를 싫어하는 지지자들 입장에선 사나에 또한 문제겠네요

유튜브 박가네 채널에서 언급한걸 보면
고노 다로, 기시다, 타카이치 사나에 3명중에 1명이 무조건 된다고 하던데
관련 영상 댓글만 보면 사나에가 일본 총리가 되었으면 하는 분들이 많은것 같더라는
과연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워체스트
21/09/26 20:04
수정 아이콘
오늘 올라온 뉴스보니 무난히 고노가 될 느낌이더군요.
두번째로 인기있는 이시바조차도 고노에 붙은 상황에 거의 굳히기급이라... 이전 아베나 스가의 이미지가 좋지않은 상황에 다음총선에서도 자민당이 이길려면 어느때 보다도 자민당내에서도 대중의 눈치를 안볼수가 없을것 같고...미국입장도 미중패권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주변국들에게 쓸모없는 갈등요소를 키울 타카이치는 요주의 인물이라 자민당 의원들은 타카이치를 뽑을것 같진...
고노가 뽑히면 아베와 아소다로의 세대가 막을내려 세대가 바뀔 가능성이 크다던데 나름 흥미진진합니디.
醉翁之意不在酒
21/09/26 20:13
수정 아이콘
무난하게 기시다로 갈거같다는게 현지 중론인데요....
당원투표에서 고노가 과반수로 당선이 안될거같은 가운데 국회의원 선거로 가면 기시다 우세라는거죠.
노다세이코도 타카이치사나에도 당원투표에서 고노의 표를 갈라먹으려고 투입된 사람들이고요.
워체스트
21/09/26 20:26
수정 아이콘
의원선호도는 기시다가 높다고는 들었습니다. 평이 좋다고
오늘나온 나혼게자이 여론조사가 꽤나 압도적으로 나온데다가 11월 당수에 따른 결과를 보고 뽑겠다는 비율이 높아 압박받지 않을까 봤는데
보궐에서 성적이 안좋았던 자민당이 바로11월 총선에서 크게 악재로 작용하지 않을지 모르겠네요.
醉翁之意不在酒
21/09/26 20:44
수정 아이콘
기시다가 평이 좋은게 아니고 무색무취라 주요파벌들을 장악하고 있는 높으신 원로들이 좋아하는거죠.
이 양반은 애초에 존재감이 없는거로 소문난 사람이고 선거에서 당선기반이 단단하지 못한 젊은 의원들은 기시다가 총재가 되면 스가와 마찬가지로 자기들의 선거에 도움이 안될거같으니 고노를 응원하는거구요.
일간베스트
21/09/26 20:10
수정 아이콘
두 박통의 전설적인 조약이 이렇게 두고두고 발목을 잡네요. 잘봤습니다.
21/09/26 20:20
수정 아이콘
덜덜덜 그저 이웃 국가 지도자들 클라스에 감탄만
어강됴리
21/09/26 20:22
수정 아이콘
예상가능한 답변들 이네요
탈탄산황
21/09/26 20:30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 저딴식으로 나와도 우리나라가 수세적 차원에서의 대일 조치라도 취하면 반일 코인에 올라타는 외교 참사라고 지적하는 사람이 많아요. 어이가 없어요.
헤일로
21/09/27 21:24
수정 아이콘
정권이 달랐으면 반일어쩌구 저쩌구 안했을 사람들이죠.
한방에발할라
21/09/26 22:12
수정 아이콘
누가보면 우리가 침략자고 지네가 피해를 당한 쪽인 줄 알겠네요.
라임오렌지나무
21/09/27 01:45
수정 아이콘
누가 되던 상관없긴한데 정치인들에게 한중일 관계를 묻는건 약간 가불기느낌 나네요 크크
21/09/27 04:04
수정 아이콘
초반 고노 우세에서 점차 기시다 우세로 흐름이 바뀌는 양상인데.. 결선투표까지 갈 가능성이 있겠네요. 사실 저 가운데 누가 총리가 되건 큰 틀에서 달라질게 없어서 그런지 크게 관심이 안가네요.
담배상품권
21/09/27 11:06
수정 아이콘
결선투표가면 기시다가 무조건 이깁니다.
고노 다로는 당장 당선이 중요한 젊은 의원+이시바를 지지하는 평당원이 주 지지세력인데 결선투표 가면 평당원 지지는 의미가 없어지거든요.
결선투표는 의원/평당원 5:5에서 의원/평당원 비중이 8/2정도로 줄어듭니다.
-안군-
21/09/27 12:00
수정 아이콘
저런 질문을 하는 젊은 층이나, 저렇게 대답하는 후보들이나... 답이 없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929 [일반] 10월에 찍은 사진들 [26] 及時雨13187 21/11/01 13187 13
93928 [일반] [도시이야기] 경기도 수원시 - (2) [14] 라울리스타10960 21/11/01 10960 9
93927 [일반] 리얼돌이 드디어 들어옵니다 [78] 착한글만쓰기16143 21/11/01 16143 46
93925 [일반] 우리회사 남녀직원의 차이 [40] 쿠라19691 21/11/01 19691 17
93923 [정치] 곽상도 "아들 퇴직금 50억원 추징보전 풀어달라" 항고 [37] wlsak13246 21/11/01 13246 0
93922 [일반] 네 나이가 몇인데 아직도 전자계집이랑 놀고 있냐, 밖에 좀 나가 [42] 오곡물티슈21146 21/11/01 21146 16
93921 [일반] [주식] 기업 분석 연습 (세정 산업) [11] 방과후계약직11254 21/11/01 11254 1
93920 [정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대선 출마선언을 했습니다. [145] 우주전쟁21277 21/11/01 21277 0
93919 [정치] 2050년 석탄발전 전면폐기 가능한가? [37] VictoryFood14204 21/11/01 14204 0
93918 [정치] 집값 상승은 얼마나 안좋을까? [197] 스물다섯대째뺨21690 21/10/31 21690 0
93917 [일반] 내 이름은 코난 탐정이죠. 명탐정 코난 The Best OP&ED 20 [27] 라쇼14976 21/10/31 14976 4
93916 [일반] 양육비 관련 짧은 생각들 [74] 노익장15894 21/10/31 15894 50
93915 [일반] 건의게시판에 물어봐도 명쾌한 답변을 못 받았던 질문들 [53] 서대원14233 21/10/31 14233 1
93914 [정치] 이재명 "양육비 체불시 국가가 선지급, 구상권 행사" [61] atmosphere17504 21/10/31 17504 0
93913 [일반] 무술이야기 02 중국무술, 혹은 k쿵후 [4] 제3지대9499 21/10/31 9499 16
93912 [일반] 나의 면심(麵心) - Monologue of Angel Hair Noodle [19] singularian10339 21/10/31 10339 14
93911 [일반] (스포) 꽈투룹 공범 재미있게 보신 분? [79] 협곡떠난아빠14867 21/10/31 14867 7
93910 [일반] [팝송] 토니 베넷,레이디 가가 새 앨범 "Love For Sale" [8] 김치찌개9410 21/10/31 9410 3
93909 [일반] [도로 여행기]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이 올라가는 도로, 만항재와 두문동재 [19] giants10403 21/10/30 10403 17
93908 [일반] <아네트> - 하나의 컨셉트 앨범 같은 블랙 코미디(강스포) [12] aDayInTheLife8043 21/10/30 8043 0
93907 [일반] 백혈병 이겨내고 결혼합니다! [124] 방주15554 21/10/30 15554 230
93906 [일반] 스타링크 시대가 가져올, 볼수 없을 풍경 [50] 한국화약주식회사18402 21/10/30 18402 7
93905 [일반] KT 기간망 사고의 원인 [33] 아케이드17649 21/10/30 17649 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