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6/02 12:08:37
Name carbell
File #1 짤방1.png (411.7 KB), Download : 90
Subject [일반] 2020년 가계 소득/지출 통계 자료


어제 2020년 가계 순자산에 이어 글하나 더 써봅니다. 

원래는 한번에 쓰려고 했는데 글쓰는데 메뉴 중 Html / 에디터 둘다 눌러봐도 그림을 원하는 곳에 넣거나 3개이상 넣는법을 몰라서 그냥 추가로 글써봅니다


역시 통계청 2020년 자료입니다.

2020년 한해 모두자료입니다.




1분위 소득평균 월 164만원 / 지출 월 188만원

2분위 소득평균 월 330만원 / 지출 월 270만원

3분위 소득평균 월 460만원 / 지출 월 360만원

4분위 소득평균 월 620만원 / 지출 월 460만원

5분위 소득평균 월 1000만원 / 지출 월 660만원


소득은 근로소득 + 사업소득 + 나라보조금 등 모두 포함입니다. 일해서 번 돈 뿐 아니라 나라에서 받은돈 포함이라는게 중요합니다.




통계자료는 변할수 없어도 의도에 따라 해석은 여러 방향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래도 대충 해석을 해보면..



1.   소득은 전체적으로 약간이나마 늘기는 했습니다. 다만 1,2분위 즉 가장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은 근로소득이 폭망했고 소득의 대부분을 공적이전 즉 나라 보조금으로 충당했습니다.   


아무래도 이 소득계층은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정규직이 적고, 대부분 자영업에서 고용된 사람과 일용직 등이 많아서  일자리가 폭망해서 근로소득이 박살 난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무리 회사 매출이 줄었어도 해고가 힘들지만 5인 미만 자영업의 경우는 비교적 자유롭죠. 또 폐업도 많았을거고요.


2.  중간계층 이상은 근로소득은 선방했습니다. 거의 감소가 없네요. 이 계층은 자영업에 고용된 사람이 적고 회사는 좋던 안좋던 임금은 비슷하게 나오니 그렇겠죠.



3. 고소득과 중간계층 사업소득은 박살났습니다.  고소득 자영업자, 즉 주로 병의원 의사들이나 큰 규모로 자영업하시는분들이 큰 타격을 입지 않았나 추측해봅니다.  특히 5분위(최고소득층)은 근로소득은 늘었는데 사업은 박살난게 특징



4. 지출은 위에 표대로 보면되는데 소비지출+ 비소비지출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비소비지출은 세금이나 이자 등을 말합니다.  5분위(최고소득층) 만 크게 늘었네요.  부유층 대상으로 세금이 늘고, 또 고소득층의 경우 레버리지를 이용하면서 자산매입(주식,부동산)하면서 이자가 늘은 것으로 보입니다.



5. 이 표에는 없지만 소비지출중 식료품 지출이 전 구간에서 매우 크게 증가했습니다. 무려 15%가 증가했는데 그만큼 식료품 물가가 오르고 배달영향도 커보입니다(배달음식이 여기 포함되는지는 모르겠네요)  가장크게 감소한 소비는  오락,교육인데 무려 -20% 폭락했습니다. 문화공연쪽과 학원 선생님들이 정말 힘든 한해였을걸로 보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hlcnkr
21/06/02 12:36
수정 아이콘
좋은 통계 및 분석 감사합니다.

소득에 지출을 빼면 월 평균 저축이라면
1분위는 월 -24만원
2분위는 월 60만원
3분위는 월 100만원
4분위는 월 160만원
5분위는 월 340만원

대부분 서민입장에서 저축으로 서울 아파트 사기가 하늘별따기네요.
4분위로 예를 들면 1년에 평균 1920만원 저축하기에 10억 모으려면 52년 걸려야... @@
Cazellnu
21/06/02 12:41
수정 아이콘
현재 가계소득이 2배가 되어도 서울 아파트 구입은 쉽지 않네요.
김홍기
21/06/02 12:47
수정 아이콘
4분위도 연봉으로 치면 거의 1억되는데.. 참 살기가 팍팍하네요
21/06/02 13:18
수정 아이콘
사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국 아파트가격 5분위 내에 들꺼라서 5분위는 5분위끼리 비교해야 맞긴 할겁니다
푸헐헐
21/06/02 13:37
수정 아이콘
서울 아파트 구입할 수 있다면 이미 서민이 아닌 거죠
더파이팅
21/06/02 14:24
수정 아이콘
서민이 문제가 아니라 근로소득으로 서울에 집 살 수 있는 경우가 사실상 없죠. 대출도 다 막혔으니까요. 성공한 연예인, 운동선수, 사업가 아닌 이상에야.... 가장 현실적인게 쌍끌이 전문직 정도 일까요? 이것도 소비를 극히 줄이고 은퇴 직전까지 끌어 모아야 2,3 급지 한채 가능 하겠네요..
트럼프
21/06/02 12:43
수정 아이콘
뭔가 체감했던 그대로군요.. 21년도 거진 비슷하게 갈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데브레첸
21/06/02 12:45
수정 아이콘
저소득층 소득이 생각만큼 크게 줄지 않았네요.
재난지원금이 말도 많고 탈도 많지만 저소득층 소득보전엔 무시못할 기여를 한 것 같습니다.
21/06/02 12: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1분위 소득이 거의 이전소득(정부지원금)으로 보충되었죠. 그것외에도 재난지원금은 분명 효과는 있습니다. 아마 자영업 하는 분들도 작년 5월에는 체감경기가 확 좋아지는걸 느꼈을겁니다.

쟁점이 되는 부분은 선별지원이냐 전국민 지원이냐 입니다. 작년 결과에서 중산층 이상은 재난지원금을 받고 소비를 한뒤 재난지원금 정도의 금액을 저축했거든요.

또 고소득층에게도 똑같이 돈을 주고 심지어 고소득 가구가 일반적으로 아이가 많아 가구인원이 더 많기 때문에 저소득층보다 더 많은 금액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경기살리는데 의미가 없다, 차라리 1분위에 집중적으로 선별지원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고 의견이 나왔습니다.

다만 정치적으로는 다르겠죠. 안그래도 오늘 여당에서 전국민재난지원금을 군불떼던데 어떤식으로 갈지봐야겠네요. 개인적으로는 저소득층 선별지원이 맞다고 봅니다.
VictoryFood
21/06/02 13:06
수정 아이콘
1분위를 빼고는 하위 분위 소득이 상위 분위 지출과 비슷하네요.
2분위 소득과 3분위 지출이 비슷하고 3분위 소득이 4분위 지출과 비슷한 식으로요.
오늘만 사는 심정으로 버는 돈을 저축없이 모두 다 쓰면 상위 분위와 비슷한 수준으로 살 수 있겠습니다.
21/06/02 13:11
수정 아이콘
엇 몰랐는데 진짜 그러네요. 신기하네요. 서로 담합한것도 아닐텐데... 이게 2020년만 그런게 아니라 다른해에도 이랬다면 뭔가 이유가 있겠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1/06/02 14:53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생활유지를 위한 소비는 어느 층위나 크게 다르지 않을거고...그러면 차이라면 교육비나 개인 취미 그리고 말그대로 사치정도에서의 차이일거같으니까요...
VictoryFood
21/06/02 13:10
수정 아이콘
그리고 공적이전소득 증감 비율을 보면 1분위는 낮고 상위 분위가 높습니다.
1분위는 예년에도 정부지원을 받았지만 작년엔 전국민에게 모두 지원해서 그런 듯 싶어요.
전국민재난지원금은 실질적으로는 역진적인 지원이 되어버렸네요.
21/06/02 13:13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기재부 장관 등 경제관료들은 전국민지급을 반대했고 현재도 반대하고 선별지급으로 가야한다고 말하고있죠. 그런데 이거는 정치적 영향력이 너무 커서...
닉네임을바꾸다
21/06/02 14:56
수정 아이콘
뭐 절대금액이면 5분위빼면 2분위만 1분위보단 좀 더 이전되었나 싶지만 이건 아무래도 2분위 하위라인에도 들어간거일테니까...
21/06/02 13:50
수정 아이콘
개인 소득이 아니라 가계 소득인거죠?
1인가구나 맞벌이나 모두 가구로 치는.
21/06/02 13:51
수정 아이콘
네 가구 기준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003 [일반] [축구] 내 생애 절대불변 최고의 스포츠 경기, 2002 월드컵 한국 vs 폴란드 [14] 김연아12016 21/06/08 12016 17
92002 [정치] 강제징용 대법 판결이 뒤집혔습니다. [190] 눈물고기22358 21/06/08 22358 0
92000 [일반] [축구] 선수 '유상철'을 추억하며 [8] 라울리스타14280 21/06/08 14280 40
91998 [일반] 잔여백신 맞은 이야기 [19] 크림샴푸12477 21/06/07 12477 6
91997 [일반] 아아...상철이형... [58] 흰둥15566 21/06/07 15566 10
91995 [정치] 민주당 전 대변인: 천안함 함장이 부하들을 수장시켰다.(천안함 생존병 반응 추가) [148] 나주꿀24200 21/06/07 24200 0
91994 [일반] 한미 미사일 지침 해제, 더 멀리 더 무겁게, 그걸로 끝? [20] 나주꿀15304 21/06/07 15304 7
91993 [일반] 코로나 백신으로 욕먹는 사람이야기---3편 (정보글) [10] 불꽃매딕9028 21/06/07 9028 9
91992 [일반] [14]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pgr21 [28] ioi(아이오아이)11586 21/06/07 11586 5
91991 [일반] [장르소설] 추천 - 세상은 게임이 아니다 [11] 거울방패15307 21/06/07 15307 7
91990 [정치] 이준석 돌풍과 진보 진영의 오독 [86] 아루에26329 21/06/07 26329 0
91988 [일반] 래미안원베일리 청약이 시작됩니다. [99] Leeka16716 21/06/07 16716 1
91987 [일반] NASA: 우리는 금성으로 간다! [18] 우주전쟁12690 21/06/07 12690 3
91986 [일반] 30대 미만 화이자 예약 취소 해프닝 중 [165] 김유라22263 21/06/07 22263 0
91985 [정치] 전용기 "軍 업무상 위력 간음에 징역 최대 10년" 법안 발의 [36] 연왕12973 21/06/07 12973 0
91984 [일반] [14] pgr21 과 나 [8] 열혈둥이11599 21/06/07 11599 13
91983 [일반] [역사] 헬창의 계보학 / 보디빌딩의 역사 [13] Its_all_light24739 21/06/07 24739 7
91981 [일반] 리얼돌 규제에 관한 생각 (1) [43] 삭제됨13311 21/06/07 13311 15
91980 [정치] 이준석, '윤석열 10원 한장' 발언에 "그 결과까지 책임져야" [103] 검은곰발바닥22929 21/06/06 22929 0
91979 [일반] HOI로 알아보는 대체역사 필수요소 [13] abc초콜릿13093 21/06/06 13093 9
91978 [일반] 알파고 이후 5년, 머신러닝은 어느 단계에 와 있는가 [28] 나리미14312 21/06/06 14312 16
91977 [일반] [똥글/뻘글] 구한말로 간다면 나라를 구할 수 있을까? [112] TAEYEON12093 21/06/06 12093 3
91976 [정치] 현충일, 관련 정치인 기사 2개 [15] 나주꿀15072 21/06/06 1507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