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5/05 00:04:30
Name 유랑
File #1 11억.jpg (88.9 KB), Download : 76
Link #1 https://blog.naver.com/ivymint/222334112139
Subject [일반] 부동산 시장에서 '9억'의 의미



9억 원은 부동산 관련 세법과 대출에서 고가주택과 일반주택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9억 원이 넘는 주택은 대출 한도 축소 등의 규제가 적용되죠.
서울에서 아파트를 매수하려고 기웃기웃하다보면
'9억'이라는 금액을 꽤 많이 듣게 되어서
부동산 시장에서 '9억'은 무슨 의미일까, 정리해보다보니 열 가지는 되네요.


1) 세법, 대출에서 고가주택과 일반주택을 구분하는 기준
2) 20년 3월 서울 아파트값 평균
3) 담보대출 LTV 40% 마지노선
4) 적격대출 신청 가능 아파트 가격 기준
5) 분양가 9억원 넘으면 중도금대출 불가

6) 9억 초과 아파트 보유 시 전세자금대출 신규 불가
7) 9억 초과 주택 취득세율 3% (6억 이하 1%)
8) 1가구 1주택 공시지가 9억 초과 보유 시 종부세 대상
9) 1가구 1주택 2년 거주 후 9억 이하 매도 시 양도세 면제
10) 부동산중개보수(복비) 상한요율 0.9%


한국부동산원 통계로 2021년 2월 서울의 평균 아파트값이 9억원이라고 하네요.
아, 물론 다른 통계(KB국민은행)로는 2020년 3월, 진즉에 9억원 찍었습니다.
2021년 4월 서울 평균 아파트는 11억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무늘보
21/05/05 00:20
수정 아이콘
제발 중개 수수료 좀...
21/05/05 00:27
수정 아이콘
느므 비싸요... 왜 집값에 따라 상한요율도 올라가는지??
미뉴잇
21/05/05 01:25
수정 아이콘
진짜 말도 안 되게 비싼거 같아요. 서울 집 값 4-5억 할 때야 큰 부담 없었지 평균이 11억인데
11억짜리 사고 팔면 중개수수료만 2천가까이 나가고 있으니;
21/05/05 07:59
수정 아이콘
180석으로 이런건 개선 안하고 뭐하는지 모르겠네요. 정말 실망스럽습니다
피식인
21/05/05 00:22
수정 아이콘
9억원 이상 주택 구매하실 때 알아두셔야 할 부분은 주택담보대출 LTV 20% 제한 되는 건 9억원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LTV 20%인거고, 0~9억원까지는 LTV 40%로 대출 나오고 최종적으로는 구간별로 합산합니다. 근데 15억원 넘어가는 순간 구간별 LTV 그런거 없고 그냥 대출 안 나오니 참고하세요.
여수낮바다
21/05/05 00: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 높은 주거비는 먹고 살기 팍팍해지는 제1원인이죠. 가뜩이나 막막한 만혼추세, 세계신기록 저출산을 더 강화할 거고요. 이 집값에 이 전월세에 어떻게 쉽게 결혼하고 애를 낳을 여유가 되겠습니까.
정말 나라의 미래가 어둡습니다.

그런데 서울시내 새로 짓는 공급은 작년의 절반으로 더 줄어들 예정이고, 내년엔 올해의 절반으로 더 줄어들 겁니다. 17년 이후 신규 공급이 확 더 줄었어요. 그 여파가 올해부터 닥칩니다.
신규 공급이 줄어드는 것에 더해서 양도세 중과세 되면 이제 다주택자로부터의 매물도 더 잠김현상이 강화될 겁니다. 팔려고 내놨다가도 양도세로 몇억 뜯기는거 알면 다들 거둡니다. 누가 몇억씩 세금 내고 팔고 싶겠습니까. 즉 공급은 더 줄어듭니다.
갱신권으로 2년간 유예된 전월세도 자비 없이 오르기 시작하면 더 든든히 하방을 받쳐 주게 될 거고요.

망했어요

9억은 이미 평균 이하의 가격입니다
내년 내후년 지나며 9억 안되는 아파트는 더더욱 줄어들 거에요
처음 9억을 컷하여 세웠던 기준들도 너무 비현실적이니 곧 바꾸리라 봅니다
피식인
21/05/05 00:50
수정 아이콘
작년이랑 올해 아파트 증여가 역대급이더군요.. 정부가 규제를 하니 사람들은 방법을 찾죠. 과연 언제까지 규제가 가능할지 싶습니다.
여수낮바다
21/05/05 01:52
수정 아이콘
증여된 만큼 또 매물이 잠기겠죠.. 9억 규제선은 확실히 바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어쩌면 세금 걷기 좋으니 그냥 냅둘 수도요…
맥크리발냄새크리
21/05/05 01:11
수정 아이콘
아마 학회, 논문, 교재에서 지구 멸망할때까지 반면교사의 예로 박제당할듯
21/05/05 02:06
수정 아이콘
다양한 종류의 집이 엄청 많은 서울인데 전체평균이 9억인거는 좀 미친거같네요.. 무슨 강동구 평균 이런거면 몰라도
21/05/05 02:57
수정 아이콘
아파트 평균입니다.
케이아치
21/05/05 02:11
수정 아이콘
'6억'이 의미있는 액수였던것이 엊그제같은데.. 9억이라니.. 흑흑
LPL짤쟁이
21/05/05 03:26
수정 아이콘
부알못이지만. 전에 PGR에서 전세 3년 고정 박아두면 문제 없다고 쓰신 분 봤는데 앞으로 2년남은 동안 집값이 이렇게 올라버리면 지금 전세사는 사람은 어떻게 되나요? 집 주인이 3년 채우면 무조건 쫓아내지 않나요?
카미트리아
21/05/05 06:23
수정 아이콘
내년이 아마 진정한 전세 지옥이 펼쳐질꺼라 예상하는 분들 많죠..
연장까지 끝난 전세 물건들 때문에요.

그래서 아예 작년에 올려주고 갱신권 킵 하겠다는 분들도 있는 걸로 압니다.
21/05/05 09:17
수정 아이콘
저도 잘 몰라서 여쭤보는데
전세가 끝나서 집주인이 들어오면 원래 집주인이 살던집은 또 비는거 아닌가요?
21/05/05 09:20
수정 아이콘
비긴 비는데 그 집은 오른 시세대로 전월세 주겠죠
카미트리아
21/05/05 09:26
수정 아이콘
+ 저렴한 가격에 세를 주는니 차라리 공실이 낫다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다하더군요
매매도 힘들어지고 몇년간 묶이는 리스크가 크다고요
21/05/05 11:54
수정 아이콘
문제는 집주인이 살던집과 전세끝난집 입지가 다를 확률이 높죠. 보통 투자용으로 세입자낀 집은 입지가 더 좋을 확률이 높습니다. 왜냐면 그게 투자가치가 더 높으니까요. 그런데 정작 본인은 그 위치가 꼭 필요한게 아니라 세를 주고 본인 실거주에 맞게 다른 입지의 집에서 사는 것이죠. 대표적인게 학군지가 있습니다. 누구에게는 꼭 필요하지만 누군가에겐 필요가 없는 입지죠. 문제는 이 정부들어서 세금등 여러가지 제재로 인해 집주인이 실거주 해야할 이유를 많이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될경우 학군지에 실거주할 이유가 없는 집주인도 수요가 되고 집주인이 실거주 하게 되니 임대 물량은 줄어들게 되죠. 즉 이런 정책은 결국 입지에 따라 임대가의 격차를 크게 벌리는 요인이 될겁니다.
MaillardReaction
21/05/05 08:45
수정 아이콘
국민을 의도적으로 가난하게 만들었다는 말이 그래서 나오는거죠
disasterOfSun
21/05/05 09:58
수정 아이콘
정말 공약대로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로 보내고 있네요
자연스러운
21/05/05 10:54
수정 아이콘
2억짜리도 못사서 벌벌대고 있는데 무슨 9억타령인가.. 부자들이네요
맥크리발냄새크리
21/05/05 11:06
수정 아이콘
3억->9억이 있기는 합니다 크크크
서지훈'카리스
21/05/05 16:56
수정 아이콘
곧 고가주택 9억기준은 바꿀 예정이라는 이야기가 정부에서 있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742 [일반] RTX 3080TI 전파인증 통과 [34] SAS Tony Parker 16486 21/05/17 16486 0
91741 [일반] pgr 삼촌의 제이팝 추천곡 [40] 라쇼21497 21/05/17 21497 1
91740 [일반] 세계최고 코로나 청정국이었던 대만에 코로나방역이 구멍 뚫린거 같습니다 [64] 여기19725 21/05/17 19725 5
91739 [일반] 삼국지+첩보, 재미있게 크로스 오버한 소설, 풍기농서 [30] Yureka14222 21/05/17 14222 10
91738 [일반] [펌] 한강사건 아버지가 공개했던 카톡내용 편집됐던걸로... [139] 아지매31384 21/05/17 31384 14
91737 [일반] [프로젝트 헤일메리] – 옛 폼을 다시 찾은 작가 [8] 우주전쟁11867 21/05/17 11867 2
91736 [일반]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때 [9] 걷자집앞이야14560 21/05/17 14560 9
91735 [일반] 웹소설 추천이요. [58] wlsak17848 21/05/16 17848 5
91733 [정치] 이준석이 국민의힘 당대표 여론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105] 훈수둘팔자25757 21/05/16 25757 0
91732 [일반] 성씨 문화 및 여성의 결혼 후 남편 성씨 변경 [25] 알테마15158 21/05/16 15158 5
91731 [일반] [펌] 중동 전문가가 바라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향후 전개 [42] 크레토스18068 21/05/16 18068 6
91730 [일반] 오늘 오후 2시 한강 실종 대학생 진상 규명 촉구 집회 [145] 양말발효학석사24295 21/05/16 24295 8
91729 [일반] 유재석이 2000년 이후 최고연예인이라고 봅니다 [33] 말할수없는비밀14934 21/05/16 14934 1
91728 [일반] 돼지는 다이어트 중 [28] 쿨럭14187 21/05/16 14187 28
91727 [일반] [팝송] 크리스토퍼 새 앨범 "My Blood" [2] 김치찌개10893 21/05/16 10893 1
91726 [일반]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내 외신 입주 건물 공습 및 파괴 [104] 나주꿀19690 21/05/15 19690 0
91725 [일반] 혼술 3총사 출동 ^^ [31] insane15302 21/05/15 15302 3
91724 [일반] 도망치는 것은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 [14] AndroidKara13195 21/05/15 13195 5
91723 [일반] 이해할수 없는 내 마음 (GS사태와 페미니즘) [34] 삭제됨15100 21/05/15 15100 26
91721 [정치] 소득주도 경제성장 과연 죽었니 살았니? [40] metaljet16987 21/05/15 16987 0
91720 [정치] 페미니즘 교사 사이트 관련 청원이 아직도 검토중입니다. [32] 타시터스킬고어14733 21/05/15 14733 0
91719 [일반] [역사] 참을 수 없이 슬프게 흐르는 강물 ─ 슬퍼서 견딜 수 없어 悲しくてやりきれない [3] 식별9477 21/05/15 9477 7
91718 [일반] 기업들은 왜 중국에 투자할까? [89] CapitalismHO20455 21/05/15 20455 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