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4/24 20:28:05
Name 어강됴리
Subject [일반] [보건] 상반기 1200만명 1차접종 목표는 어느정도 수준일까 (수정됨)
정부가 속보로 발표한 화이자 2천만명분 4천만회 추가도입 기사를 천천히 읽어보았습니다.

혹시 상반기 도입과 관련해 변경이 있지는 않을까 싶어 살펴보았는데 1200만명 1차접종 목표라는 종례의 수치는 변한것이 없고
다만 1800만회 접종이라는 새로운 수치가 제시되었습니다.

대부분의 물량은 하반기에 들어오겠죠 이미 하반기 도입 물량이 1억회가 넘기에 크게 달라진것은 없어보입니다.
백신의 선택권을 늘린다는 정도?

상반기 1차 접종 목표인 1200만명은 대한민국 인구 5171만명의 23%정도가 되겠네요

하루 약 14만명 정도접종하면 6월말즈음 달성할수 있는데 어제 15만명이상이 1차 접종했으니 유지하면 달성가능하고
더 높아진다면 달성시기를 당기거나 대상을 확대하는것이 가능해보입니다. 하루에 인구의 0.3%가 접종하는격입니다.

 



Co2GAYT.png

접종횟수가 아닌 인구에서 1차이상 접종자의 비율입니다. 
역시 이스라엘 영국 미국의 비율이 압도적입니다. 이스라엘은 인구 100명당 110회를 넘겼는데 아직도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인구가 38%정도 되네요 미성년자거나 신념이나 선택에 의해 백신을 거부하는것 처럼 보입니다만.. 

 
유럽평균은 18.74%로서 꽤나 높은 수준에 도달하긴 했습니다. 아직도 확진자가 터져나와서 그렇지.. 


그뒤로 브라질 인도 멕시코가 뒤를 잇습니다. 이나라들도 상황이 괜찮아져야 할텐데 큰일이군요

의외인건 스푸트니크의 고향 러시아의 접종자 비율이 7.39%에 불과합니다. 자국 백신에 대한 불신이 강해 백신접종을 꺼려하는 분위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부작용에 대한 공개도 여타 제약사처럼 하지 않고 있고요 

아시아는 유럽과 북남미 지역과 비교하면 굉장히 백신접종 비율이 낮습니다. 언론에서 제기하는 백신 불평등 문제를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네요 






s2jPZxF.png

한국이 6월 목표로하는 인구의 23%와 가장 비슷한 1차 접종인구를 보유한 독일의 두달전 백신현황도 함께 보았습니다.

두달전인 2월 22일의 독일의 1차 접종자 비율은 인구의 4.13% 두달전 독일과 지금의 한국이 비슷하네요 





HK7g6me.png

4월 22일 기준 인구 100명당 하루접종횟수 입니다. 

미국은 하루에 거의 인구의 1%에 육박하는 접종을 실시 하고 있고 스페인 영국 독일도 높습니다.
프랑스만 하더라도 한국의 2배속도네요 4월 23일 기준으로 17만회 접종했으니 숫자는 0.29에서 0.32로 올라가겠지만
아직도 많이 갈급합니다. 

 이외인건 이스라엘은 이미 맞을사람 많이 맞았는지 0.13이라는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나름의 결론

- 하반기에 접종물량이 몰린다고 하지만 아직은 더디다 
- 접종속도와 접종량 둘다 아직 미흡함이 있다. 
- 집단면역 형성까지 유럽주요국과 두달정도의 시차가 존재한다. (아직까지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은동
21/04/24 20:30
수정 아이콘
스푸트니크는 혈전 부작용이 없다고 본인들이 주장하던데,
완벽하게 똑같은 아데노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얀센에서 혈전 부작용 사례가 나오는 상황에서
그걸 사실 신뢰하기는 조금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차라리 투명하게 공개한다면 신뢰할만 할텐데 그게 아니니깐요.
어강됴리
21/04/24 20:32
수정 아이콘
원래 구 공산권들이 폐쇄적입니다. 자국국민들도 저어하는데 이걸 왜 한국 국민 맞히겠다는건지..
김은동
21/04/24 20:33
수정 아이콘
스푸트니크를 맞추느니 차라리 AZ 를 더 사는게 훨씬 합리적인 선택이죠.
21/04/24 20:35
수정 아이콘
데이터가 좀더 나와야되죠. 어제 심복님이 말씀하신 고대로인것같아요.
란셋에 실려서 신뢰도가 올라간거는 맞는데 공인된 곳에 한두건정도의 정보공개다 더 필요해 보입니다
암스테르담
21/04/24 20:39
수정 아이콘
혈전 부작용 없다고 주장한 러시아 방역 전문가가 백신 접종 시 두 달 간 금주 해야 한다고 잘못 된 정보를 얘기했다가
자국 백신 신뢰도를 낮춘 사람입니다.
그리고 곧바로 아르헨티나에서 혈전 부작용 2건 나왔죠.
영왕의 심복 님 말처럼 planB 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예방효과는 AZ보다 좋긴 합니다. mRNA 방식이 아닌데 91.6%면 분명 과학기술은 러시아가 아직 안 죽은 거 같아요.
문제는 러시아 정치를 못 믿겠다는 거죠.
21/04/24 20:34
수정 아이콘
더빨리 더많이들어와서 하루라도 빨리 끝났으면 하네요 제발
제발제발
21/04/24 23:40
수정 아이콘
5200만 vs 1억2천만 .. 한정된 수급 물량에서 % 산출하면 일본에게 질래야 질수 없는 게임인데..
이거 지면 내려오셔야죠. 캐리는 못해도 버스는 타야 되는데. 버스도 탈 줄 아는 애들이 타는거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609 [일반] 최근 10년간 연령별, 성별 자살률 추이 [차트 수정] [18] 데브레첸14083 21/05/04 14083 16
91608 [일반] 네이버 블로그의 매일일기 챌린지가 조기종료됐습니다 [50] 及時雨15613 21/05/04 15613 5
91607 [일반] (스포)요즘 본 영화 감상 [1] 그때가언제라도11468 21/05/03 11468 1
91606 [정치] 내일 열리는 장관 청문회 후보자들과 의혹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65] 미뉴잇17270 21/05/03 17270 0
91605 [일반] '유전자'의 힘을 쓰면, 모기가 번식을 못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59] 나주꿀13167 21/05/03 13167 5
91604 [일반] 옛날 삼년상은 도대체 얼마나 힘든 것이었나? [63] 황금경 엘드리치19430 21/05/03 19430 7
91603 [일반] 코로나 19 집단면역은 달성가능한가? 질문과 대답 [33] 여왕의심복16834 21/05/03 16834 54
91602 [일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접종 후기 [50] Mamba18448 21/05/03 18448 8
91601 [일반] 유로파의 바다에 열수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44] 우주전쟁15272 21/05/03 15272 17
91600 [일반] 할머니가 미안하다고 전해달랬어요 독후감. [2] 아보카도피자12847 21/05/03 12847 2
91599 [일반] 존버는 승리한다. [20] The Normal One17580 21/05/02 17580 13
91598 [일반] 서달산 달마사 산책 [10] 及時雨8413 21/05/02 8413 1
91597 [일반] 2000년대 애니메이션 주제가(2) 그랜라간,신 강연, 김전일 [11] 라쇼15393 21/05/02 15393 0
91595 [일반]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얼마나 중요한가? [378] 아리쑤리랑43804 21/05/02 43804 168
91594 [일반] 기존 완성차업체들의 전기차사업 동향을 간략하게 파악해봤습니다. [51] SigurRos15987 21/05/02 15987 13
91593 [일반] [팝송] 설레스트 새 앨범 "Not Your Muse" 김치찌개9479 21/05/02 9479 2
91591 [일반] 2000년대 애니메이션 주제가(1) 이누야샤, 강연금, 코드기아스 [26] 라쇼15967 21/05/01 15967 4
91590 [일반] 코로나로 인명피해가 가장 심각했던 나라는 어디인가? 초과 사망율로 본 순위 [35] 김은동15644 21/05/01 15644 4
91589 [일반] 네이버 블로그의 매일일기 챌린지를 소개합니다 [21] 及時雨12845 21/05/01 12845 3
91588 [일반] 현시점 코로나/백신 현황 [34] 스프링17928 21/05/01 17928 2
91587 [정치] 샤넬 5/1 근로자의날 대부분 매장 휴무 [47] 삭제됨16687 21/05/01 16687 0
91586 [일반] 4월에 찍은 사진들 [33] 及時雨17262 21/04/30 17262 27
91585 [일반] 삼성가 상속 세부 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354] Leeka26838 21/04/30 26838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