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4/18 11:19:04
Name Leeka
Subject [일반] 글로벌 명품 매출 비중, 한국 8위->7위로 한계단 상승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374&aid=0000241140

2019년에 독일 다음으로 8위였던 한국의 글로벌 명품 매출이
2020년에 독일을 제치고 7위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연간 15조)

특히 20~30대 비중이 커진게 특징인데요.

신세계백화점 기준
20대 - 10.9%
30대 - 39.8%
20~30대 합 - 50.7% 로..  전체 명품의 절반을 20~30대가 구입했으며

롯데백화점 기준
20~30대 합 - 46% 를 기록하면서


20~30대가 명품의 절반을 구입하고 있으며
특히 30대의 비중이 압도적인.  현 명품시장의 핵심 고객으로 등극한 상태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취준공룡죠르디
21/04/18 11:24
수정 아이콘
센텀 신세계가 집 근처라 자주 가는데 코로나이후로 전보다 대기열 엄청났습니다 특히 샤넬
지금은 대기열에서 대기번호 톡발급으로 바꼈지만
11시에 가도 대기번호 세자리수 나오던데 몇 시간 기다려서 가면 군데군데 솔드 아웃
정말 돈 많은 20~40 여성이 이렇게 많구나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아라나
21/04/18 11: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그치들 돈으로 롤 버그나 좀 잘잡아줬으면 하는 소소한 바램이 있습니다 소환사의 컵 제작에도 관여하는 걸로 아는데 올해도 가져갈거니까 멋지게 좀 해주고
아라나
21/04/18 11:27
수정 아이콘
한미일이 게임강국이 된 이유중 하나가 유럽의 명품 브랜드 가치를 못 따라잡아서라는 말을 저희 삼촌이 하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게임의 가치를 명품의 가치보다 높게 보는 편인데, 대부분의 피쟐러들이 동의하지 않을까 싶셉습니다
서린언니
21/04/18 11:33
수정 아이콘
'역시 룰러의 칼리스타는 명품이야!!!'
여행가요
21/04/18 11:38
수정 아이콘
여윽시 한국이다!
주모~
21/04/18 11:48
수정 아이콘
모바일게임에 에르메스가방 한개 정도는 살만큼 질러보니,
여성도 명품백 몇개는 살만한거 같아요. 오히려 남자보다 현명한거 같아요.
닉네임을바꾸다
21/04/18 11: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어느정도 긴 기간에 거쳐진걸 합치니 명품백 한개가 된거와 한방에 지르는건 또 다른거긴한데요 크크
뭐 한방에 갸차를 그정도 지르신거라면 또 모르지만요...
거기에 명품백은 중고처분이라도 하면 일부라도 건지니까 또 다르긴하네요...
21/04/18 11:56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그나마 위안이 됩니다. 전 더러운 상술에 놀아난거 뿐이라구....
나중에 계산기 두드려 보니 자괴감이 엄청났습니다.
샤넬은 무슨 에르메스 켈리 하나는 사겠더군요 ㅠㅠ
다리기
21/04/18 12:08
수정 아이콘
에엥 가방 하나 값으로 좋아하는 취미를 길게 즐길 수 있다니 혜자 아닙니까 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1/04/18 12:10
수정 아이콘
이거 맞나? 크크
21/04/18 12:17
수정 아이콘
길게는 못 질겼습니다. 한 4개월?? 크크크. 길게했다가는 e클레스는 갈거 같아서 접었습니다.
이 세상에 돈 많은 사람 정말 많구나 싶었습니다. 제가한 게임이 리니지류도 아닌데 말이죠.
다리기
21/04/18 12:28
수정 아이콘
사실 명품을 사나 게임에 지르나 사치인 건 똑같아서 아까워하기 시작하면 끝도 없어요.

5만원 짜리 가방도 몇 년 쓸 수 있는데 500만원 짜리 가방을 굳이 사는 거나 무과금으로 겜 되는데 500 지르는거나 자기 만족 아니겠습니까.

저는 없어서 못지르는 상황인데 지르고 생활에 지장되는 거 아니면 다 괜찮다고 봐요.
그래서 저는 코인에 용돈 다 썼습니다. 이거 핵과금 게임이더라구요 후훗
21/04/18 13:03
수정 아이콘
핵과금이라는게 생활에 영향을 주는 금액이라는건데...
핵과금 게임은 환급성이 있느냐가 중요한 거 같습니다.
대부분 모바일게임은 환급성이 떨어져요. 코인이나 명품백은 그래도 무조건 손해보는 게임은 아니죠. 할꺼면 코인이 낫다 싶습니다.
AaronJudge99
21/04/18 12:57
수정 아이콘
뭔 겜을 하셨길래...
21/04/18 12:59
수정 아이콘
AFK아레나 였습니다.
CapitalismHO
21/04/18 11:53
수정 아이콘
과거랑 비교해서 소비성향이 확실히 커진것 같습니다. 명품구매나 컨탠츠분야는 특히나 두드러지는 것 같고요.
21/04/18 12:05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요 몇 년 동안 소비 능력이 많이 올라간 거 같아요
닉네임을바꾸다
21/04/18 12:09
수정 아이콘
PPP가 꽤 오르긴 했죠 뭐...
파랑파랑
21/04/18 12:14
수정 아이콘
잘사는 사람들 많나보네요.
21/04/18 12:20
수정 아이콘
코로나 시대에 여행을 못 가니까 남는 돈이 향하는 곳 중에 명품이 있는듯..
AaronJudge99
21/04/18 12:58
수정 아이콘
여행 못가니까 명품 사는건가요? 와 그래도 돈 많네요
플라톤
21/04/18 13:19
수정 아이콘
저도 코로나 때문에 수입은 줄었고, 특정 방면(비싼 맛집 배달, 모바일 게임, 술..)에선 오히려 지출이 늘었는데 ±는 기존이랑 비슷합니다. 하고 싶은 일 하는 것에 제한이 워낙 많으니 한방에 몰빵하는 듯
뜨와에므와
21/04/18 13:58
수정 아이콘
결혼안하니까 저런데 쓸 돈이 많아진 것 뿐
아웅이
21/04/18 21:51
수정 아이콘
결혼할래도 많이 사죠
몽키매직
21/04/18 14:00
수정 아이콘
여행을 못 가니까 그 돈을 단위가 큰 물건 사는데 써서 명품이나 비싼 가전이 잘 팔린다는 해석도 있고,
어차피 집을 못 사니까 그냥 써버린다... 는 해석도 있더라고요.
피렌체
21/04/18 14:11
수정 아이콘
돈많은 20~40대 여성 킹정합니다.. 줄이 후덜덜.. 결혼에 대한 지출이 없어서 그런지 몰라도
87%쇼콜라
21/04/18 15:42
수정 아이콘
저는 조금은 다른 시각으로 예전에는 해외여행서 면세나 해외 택스프리로 사는 물량이 국내 법인으로 잡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합니다.
장고끝에악수
21/04/18 18:41
수정 아이콘
뭐 명품 한둘 정도야 자기만족도 있고
요즘은 밖에 잘 돌아다니지도 여행도 못가니
소비가 늘어난건가 싶네요
21/04/18 20:56
수정 아이콘
아니.. 그렇게 진입장벽이 높은 시장이 어니에요 잔금대출이 시작되기 전까진
파인애플빵
21/04/19 02:57
수정 아이콘
외국도 고가의 가전 제품 수요가 확 늘었다는걸 보면 코로나로 인해서 여행이나 각종 외식등의 밖에서 할수 있는 소비가 주는 대신에
고가의 물건을 사는 소비가 흥하는것 같습니다.
여행사와 호텔등 자영업을 제외한 제조업은 오히려 더 잘되고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438 [정치] 4·7 승리 이후…국민의힘 또 꺼낸 '전직 대통령 사면론' [134] StayAway15026 21/04/20 15026 0
91437 [일반] 만약에 여성징병제가 실행된다면 그 모습은? [136] rclay13705 21/04/20 13705 1
91436 [정치] [칼럼] 日 외교관, "한국을 쿼드에 참여시켜야 한다" [27] aurelius13737 21/04/20 13737 0
91435 [일반] [외교] 유럽연합, 독자적 인도태평양 전략 공개 [14] aurelius10529 21/04/20 10529 7
91434 [정치] 정의용 "한미 백신 스와프, 미국과 진지하게 협의 중" [111] 나주꿀19220 21/04/20 19220 0
91433 [정치] 오세훈, 박원순 사건 공식 사과 "성비위 즉각 퇴출" [86] 나주꿀19390 21/04/20 19390 0
91432 [정치] 페미문제로 언론의 집중 공격받는 보겸 근황 [92] 한이연19911 21/04/20 19911 0
91429 [정치] 공수처의 인선과 관련된 문제 [44] 맥스훼인12786 21/04/20 12786 0
91428 [정치] 정당 가입은 잘못된 행동인가 [25] Shinyangel10550 21/04/20 10550 0
91427 [일반] 숨이 턱.. 막히는 미얀마의 이웃, 아세안들 [26] 어강됴리11721 21/04/20 11721 8
91426 [일반] 금수의 코인접는 이야기 [67] 양들의꿈14331 21/04/20 14331 30
91425 [정치] 홍영표, 기모란 엄호 "그땐 백신 개발 성공할지 몰랐잖나" [67] 훈수둘팔자16338 21/04/20 16338 0
91424 [일반] 방역 선진국들과 비교한 한국의 코로나19 근황. [51] 데브레첸15325 21/04/19 15325 15
91423 [일반] 안전속도 5030 [120] 삭제됨15214 21/04/19 15214 3
91422 [일반] 우리나라의 코로나 19 백신 접종 후 효과 측정 결과 발표 [19] 여왕의심복14575 21/04/19 14575 23
91421 [일반] 서피스 프로 7, 완벽한 트수 에디션 컴퓨터 [7] 나주꿀10120 21/04/19 10120 4
91419 [일반] 인저뉴어티호 화성 비행 성공!!! [31] 우주전쟁12874 21/04/19 12874 30
91418 [일반] 1시간만에 모가지 당한 썰(.......) [103] M270MLRS17101 21/04/19 17101 17
91417 [일반] 제가 즐겨보는 요리 유튜버 추천합니다 [10] 부대찌개12585 21/04/19 12585 5
91416 [일반] 반성문 - 코로나 19 위기에서 전문가의 부끄러움 [60] 여왕의심복16511 21/04/19 16511 212
91415 [일반] 편견, 굳어지거나 깨지거나 바뀌거나 Vol.3 [7] 나주꿀10483 21/04/19 10483 15
91414 [일반] 선의에 대한 배신 [8] 10387 21/04/19 10387 14
91413 [일반] 2년 만의 봄 세일에 '보복소비' 폭발...'빅4' 백화점 매출 45% 신장 [39] Leeka14691 21/04/19 1469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