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4/08 22:01:38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303379690
Subject [일반] <노바디> 후기 - 훨씬 가볍고 처절한 존윅?

<노바디>는 존 윅 시리즈의 영향을 짙게 받은 영화입니다. 딱히 이걸 숨기는 대신 오히려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고 봐야겠죠. 그렇다면 존 윅 시리즈와 비교하면 어떨까요? 개인적으로 느낀 감상은 훨씬 가벼운 분위기에서 중년 아저씨라는 측면에서 훨씬 처절해진 액션이 인상적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엄밀히 말해 이 영화는 '중년의 위기'를 겪는 아저씨의 판타지에 가깝습니다. 본질적으로 폭력의 원인은 우연과 우연이 겹쳐서 일어난 것에 가깝습니다. 오히려 이 영화에서 그럴 듯하게 묘사되는 아저씨의 과거사를 지운다고 해도 영화의 근간이 크게 흔들릴까는 의문이 듭니다. 영화가 본질적으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중년의 판타지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으니까요.


많은 분들이 이 영화를 보면서 기대하는 분야, 액션은 인상적입니다. 좁은 공간, 한정된 상황 속에서 알차게 뽑아낸 느낌이 듭니다. 개인적으로 존 윅 1편 클럽 장면 처럼 확 잡아 끄는 액션이 없다는건 조금 아쉬울 수 있겠지만 폭력을 풀어내는 방식은 강렬했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좋았습니다. 중년이라는 부분에서 훨씬 액션 자체가 처절해진 인상을 받았습니다.


어찌보면 장점과 단점을 존 윅 시리즈의 1편과 동일하게 지니고 있는 느낌도 많이 듭니다. 쿨하게 설명은 가볍게 넘어가고 액션으로 돌입하는 구조라든지, 정확하게 보여주는 타격과 총격이라든지 어쩌면 각본과 제작에 참여했기에 당연한 얘기일 수도 있겠네요. 대신 조금 더 흥겹습니다. 이 영화 내내 깔려있는 아이러니컬한 개그라든지, 혹은 오래된 7080 팝이라든지, 영화를 오히려 아저씨의 로망이 살아있는 영화라고 본다면 꽤 좋은 킬링 타임 영화가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p.s. 별개로 이건 15세로 따지면 꽤나 극한까지 간 느낌이 드네요. 19금 받기는 애매한데, 15금으로는 애매한거 같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4/08 22:25
수정 아이콘
감독이 존윅감독이군요
aDayInTheLife
21/04/08 22:29
수정 아이콘
감독은 하드코어 헨리 찍었던 감독입니다. 제작 쪽에 존윅 감독이..
21/04/08 22:44
수정 아이콘
조만간 보러 갈 예정인데 별 생각없이 머리 비우고 보면 거슬릴 거 없이 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할리우드 영화는 제 기준 한 액션 영화가 크게 흥행하면,
장기간 그 스타일로 대부분의 액션영화들이 채워지고 해당 액션영화의 촬영팀을 불러오고는 하는 것 같은데...
(제 기준으로는 매트릭스 이후 한동안 360도+슬로모션, 본 시리즈 이후 핸드헬드? 인 흔들리는 촬영)
존윅 시리즈 이후로는 존윅 시리즈에서 나왔던 액션이 가장 흥하고, 해당 액션 촬영팀이 가장 흥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aDayInTheLife
21/04/08 22:53
수정 아이콘
딱 그정도 느낌이긴 합니다.
확실히 요즘 대세가 존윅 같이 명확한 영화들인거 같아요.
21/04/09 08:13
수정 아이콘
그쵸 스토리 복잡하게 꼬다가 망하느니 기승전결 명확하게 만들고 충실하게 따라가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줬으니...
제가 얘기한건 사실 액션의 방식이긴 한데요 크크
존윅 감독들이 시빌 워에 액션팀으로 들어간다거나 하는 식으로 존윅에서 쓰는 방식의 액션 촬영이 여기저기서 자주 보인다는 얘기였습니다.
aDayInTheLife
21/04/09 09:00
수정 아이콘
아 제가 말씀드린거도 액션의 흐름이었습니다. 크크크
액션의 방식을 보면 본 시리즈 이후의 핸드헬드 흔들기 보다 명확한 타격과 리액션이 대세가 되고 있죠. 그게 존윅의 방식이라고 생각하구요. 존윅도 아예 안 흔드는건 아니지만 훨씬 명확하게 치고 받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21/04/09 09:13
수정 아이콘
이 액션팀이 보여주고 싶어하는 액션이 존 윅 2와 아토믹 블론드에서 배우들 계단에서 굴리는 액션장면 보다보면 느껴지더라구요
This-Plus
21/04/08 22:48
수정 아이콘
사울 아저씨...ㅠㅠ
너무 반갑네요.
꼭 볼 듯.
aDayInTheLife
21/04/08 22:56
수정 아이콘
뭔가 처절하면서도 웃기고 진지한데 나사빠진 캐릭터가 인상적이더라고요.
21/04/09 06:10
수정 아이콘
저도 사울 굿맨 때메 보고 싶어요! 흥했으면~
21/04/08 23:30
수정 아이콘
늙고 병든 존윅 영화라고 해서 보러 갔는데 늙고 병들고 정신 나간 존윅 영화였습니다. 칭찬이에요.
aDayInTheLife
21/04/08 23:38
수정 아이콘
훨씬 가볍고 약빤 분위기가 일품이었습니다. 크크
아이폰텐
21/04/09 01:16
수정 아이콘
잔인한 정도는 어떤가요? 많이 고어한가요 흐흐 (사울아저씨 좋아함! 존윅도 좋아함!)
aDayInTheLife
21/04/09 01:21
수정 아이콘
15세론 극한까지 가는 느낌이 드는데, 그렇다고 19금 주기엔... 정도였어요. 미국은 R등급이긴 하네요. 보통 이러면 우리나라에서도 19금 주는 경우가 꽤 있는 등급이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617 [일반] 발달장애 아이들을 위한 키즈카페 추천 [19] 쉬군15733 21/05/04 15733 60
91616 [일반] 남성의 성기는 왜 이리 쉬운가? [123] 재가입24985 21/05/04 24985 45
91615 [일반] 안전신문고 제보 후기 [13] 오빠언니11302 21/05/04 11302 6
91614 [일반] 빌 게이츠 이혼 [30] 동굴곰15371 21/05/04 15371 0
91613 [일반] 남양 홍원기 회장 대국민 사과 [45] 어바웃타임17003 21/05/04 17003 1
91612 [일반] 40대 자산수준 4.1억. 어떻게 보이시나요? [135] 챗셔아이27059 21/05/04 27059 5
91611 [일반] 서버가 아픕니다 [36] 당근병아리13144 21/05/04 13144 37
91610 [일반] 한강 대학생 실족사건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드나 봅니다. [344] 한이연29621 21/05/04 29621 1
91609 [일반] 최근 10년간 연령별, 성별 자살률 추이 [차트 수정] [18] 데브레첸14131 21/05/04 14131 16
91608 [일반] 네이버 블로그의 매일일기 챌린지가 조기종료됐습니다 [50] 及時雨15652 21/05/04 15652 5
91607 [일반] (스포)요즘 본 영화 감상 [1] 그때가언제라도11531 21/05/03 11531 1
91606 [정치] 내일 열리는 장관 청문회 후보자들과 의혹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65] 미뉴잇17351 21/05/03 17351 0
91605 [일반] '유전자'의 힘을 쓰면, 모기가 번식을 못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59] 나주꿀13234 21/05/03 13234 5
91604 [일반] 옛날 삼년상은 도대체 얼마나 힘든 것이었나? [63] 황금경 엘드리치19510 21/05/03 19510 7
91603 [일반] 코로나 19 집단면역은 달성가능한가? 질문과 대답 [33] 여왕의심복16918 21/05/03 16918 54
91602 [일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접종 후기 [50] Mamba18540 21/05/03 18540 8
91601 [일반] 유로파의 바다에 열수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44] 우주전쟁15344 21/05/03 15344 17
91600 [일반] 할머니가 미안하다고 전해달랬어요 독후감. [2] 아보카도피자12910 21/05/03 12910 2
91599 [일반] 존버는 승리한다. [20] The Normal One17621 21/05/02 17621 13
91598 [일반] 서달산 달마사 산책 [10] 及時雨8459 21/05/02 8459 1
91597 [일반] 2000년대 애니메이션 주제가(2) 그랜라간,신 강연, 김전일 [11] 라쇼15459 21/05/02 15459 0
91595 [일반]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얼마나 중요한가? [378] 아리쑤리랑43992 21/05/02 43992 168
91594 [일반] 기존 완성차업체들의 전기차사업 동향을 간략하게 파악해봤습니다. [51] SigurRos16031 21/05/02 16031 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