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3/14 21:46:24
Name 물맛이좋아요
Subject [일반] 2022학년도 대입 수학능력시험 선택과목 표준점수 계산 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수정됨)
안녕하세요.

저는 고3 학생들과 함께 수학을 공부하는 강사입니다.

수학능력시험에서 선택과목의 표준점수 산출법에 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다음 2022학년도 수학능력시험부터는 국어와 수학영역에서 공통과목 + 선택과목 중 택1 하여 시험이 진행됩니다.

1



수학영역에서는 공통과목으로 수1과 수2를 시험을 보고 선택과목으로는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수학1: 지수로그, 지수로그함수, 삼각함수, 수열
- 수학2: 함수의 극한과 연속, 다항함수의 미적분

이과 성향의 학생들은 미적분과 기하, 문과 성향의 학생들은 확률과 통계를 선택하게 되는데요.

다음 수학능력시험부터는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를 통합하여 표준점수를 산출하고 그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백분위와 등급을 산출합니다.

image


- 자료 출처: 교육청 보도자료 - 글씨가 작아서 눈아프네요. 클릭해서 보세요. 만지면 커집니다.

성적표를 보시면 원점수 없이 표준점수만 기재하게 되어있는데요.

백분위와 등급 역시 이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정해지게 됩니다.


이 표준점수가 이전에는 문과와 이과를 분리하여 따로 산출하였으나

이번에는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를 통합하여 산출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자체 모의고사를 통해 직접 표준점수를 산출해보았는데요.

그 산출방법이 이전보다 상당히 복잡해졌습니다.

2


- 자료출처 : 평가원 보도자료


이에 가상의 테이터를 통해 표준점수를 산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응시자들을 3개의 그룹으로 나눕니다.

A: 공통과목 + 미적분
B: 공통과목 + 기하
C: 공통과목 + 확률과 통계

그 후 각각의 과목별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합니다.



가상의 학생들의 자료입니다.

우선 전체 학생들의 공통과목만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합니다.

그리고 같은 선택과목을 선택한 학생들의 공통과목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합니다.

3






이를 통해 한 학생의 표준점수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여기 한 학생이 있습니다.

이 학생은 이름은 '스페셜위크'입니다.

'스페셜위크' 미적분을 선택하였고 공통과목은 74점 중 48점, 선택과목은 26점 중 15점을 받았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우선 이 학생의 '선택과목조정원점수'를 계산합니다.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4





'스페셜위크'의 '선택과목조정원점수'는 47.6점으로 자신의 공통과목 점수와 거의 비슷한 결과를 얻었네요.

이 학생은 수1수2와 미적분을 거의 비슷한 정도로 잘한다고 얘기할 수 있겠습니다.

5

-위의 계산은 소수점 아래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이제 각 학생별로 '공통과목표준화점수'와 '선택과목조정표준화점수'를 계산합니다.

그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6

- 표준화점수는 평균이 0, 표준편차가 1인 점수입니다.



'스페셜위크'의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의 표준화 점수를 계산해보겠습니다.

7

-위의 계산은 소수점 아래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이제 '공통과목표준화점수'와 '선택과목조정표준화점수'에 배점 비율대로 가중치를 두어 '표준화점수가중합'을 산출합니다.

8

-위의 계산은 소수점 아래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쓰는 저도 드럽게 재미없는데 읽으시는 분들은 얼마나 재미없겠습니까?

이제 다 끝나갑니다.



'표준화점수가중합'을 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20이 되게 변환하면 '표준점수'가 됩니다.

9


-표준점수는 소숫점 아래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이렇게 최종 표준점수를 구했습니다.

이 표준점수를 이용해서 백분위를 정규분포를 통해 산출해보면

'스페셜위크는' 상위 13.14%의 성적을 받았습니다.

image



이는 3등급 초반의 성적 정도네요.



뭔가 점점 갈수록 성의가 없어지는 것 같다고 느껴지신다면 기분탓입니다.

일요일 저녁에 퇴근도 못하고 이런 자료들이나 정리하고 있으니 기분이 상콤해집니다.

지금까지 바뀌는 대입 수학능력시험 선택과목 표준점수 계산 방법이었습니다.


저는 이만 퇴근하겠습니다!


- 3줄요약
수1,수2는 공통이고 미적, 기하, 확통 중 하나 선택한다.
미적, 기하, 확통 합쳐서 표준점수 낸다.
표준점수 내는 법 드럽게 복잡하다.

- 계산과정에 오류가 있어서 내용을 조금 수정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1/03/14 21:49
수정 아이콘
우마무스메에 관심이 많다는거만 알겠습니다...
21/03/14 21:51
수정 아이콘
한줄요약: 같은 점수면 어려운 과목 선택한 쪽이 표준점수가 높다.
물맛이좋아요
21/03/14 21:57
수정 아이콘
어려운 과목을 선택해서 잘보면 표준점수가 높겠지만..
그 만큼 어려우니까 같은 점수를 얻기가 힘들지 않겠습니까?
문과 학생 중 하나가 표준점수 높게 받겠다고 미적을 선택한다는데
덕분에 머리아픕니다.
21/03/14 22:17
수정 아이콘
확통 응시자랑 미적 응시자들 공통과목 평균이 10점 이상 차이난다고 생각하면 작은 차이는 아니니..
으랏차
21/03/14 22:08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자연계열 수학의 경우 등급이 올라간다고 봐야하려나요? 예를들어 예전 4등급 정도 나오던 학생이면 2등급 나오려나요?
물맛이좋아요
21/03/14 22:19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잘하는 학생들끼리 모이면 그 학생들끼리 등급을 냈기 때문에 난이도 조절도 힘들었고 점수에서 오히려 손해를 보았다면(물리2)처럼..

저 방식으로 표준점수를 내면 더 어려운 과목을 선택한 학생들은 이전보다 이득을 보는건 확실합니다. 근데 그게 4등급에서 2등급으로 상승할 정도로 극적일지는 모르겠습니다.
으랏차
21/03/14 22:26
수정 아이콘
인문+자연 한꺼번에 수학공통을 보게 되서 자연계학생들이 등급을 받기는 편해질거라고 생각을 했는데 다시 보니 복잡하겠네요. 인문계열 학생들도 선택과목은 봐야하니까요. 답변 감사드려요.
21/03/14 22:55
수정 아이콘
자연계 중위권 학생들이 등급이 오른다면 그건 표점 산출방식 문제가 아니라 공통과목에서 깔아주는 문과 친구들이 들어와서 그럴 겁니다(...)
물맛이좋아요
21/03/14 22:57
수정 아이콘
사실 같은 말이지요. 전체 표본이 달라지니까요.
21/03/15 03:23
수정 아이콘
이과는 무적권 올라가고 문과는 1등급 상위권 아니면 내려갑니다.
40만명정도가 응시할것으로 보이는데
문이과 통합으로 4% 16000등까지 1등급성적을 받게되는데, 이과 2등급 이상이면 너끈히 16000등안에 들죠.
깃털달린뱀
21/03/14 22:21
수정 아이콘
와 국어 수학도 이젠 일부 선택을 하는군요.
그래도 국어 수학이니 표점이 그렇게 확 안튀려나요? 어느걸 선택하든 보는 사람이 많으니까.
경제같이 밑에 깔아주는 사람 없이 혼모노들만 보는 과목은 만점 받아도 표점 딸려서 그냥 무난한 과목 선택하는게 더 나을 수도 있었는데 말입니다.
물맛이좋아요
21/03/14 22:26
수정 아이콘
그런 과목들도 위의 계산처럼 공통과목을 도입하여 계산한다면 오히려 혼모노들만 보는 과목들은 표점이 저기 하늘 위로 올라가 버릴 것 같습니다. 이번 3월 모의고사를 보고나면 그 결과를 가지고 다시 한 번 분석글을 써보겠습이다.
AaronJudge99
21/03/14 23:07
수정 아이콘
오 감사합니다 당장 25일에 모고보는 고3인데도
이게 도대체 뭔 개소린가...싶었는데
황금경 엘드리치
21/03/14 23:33
수정 아이콘
근데 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어지간히 자신있는 친구 아니면
표준점수가 좋게 나오는 어려운 과목보다는
그냥 본인이 안 망할 확률 높아보이는 과목 고르는게 결국 훨씬 이득이더라구요.
라이스샤워 만세.
다크서클팬더
21/03/14 23:48
수정 아이콘
그래도 이런거 나오는게 나을겁니다.
0.01% = 3.99% 시절은 진짜 크크크
미뉴잇
21/03/15 00:5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이과로 인서울 목표인데 확률과 통계 하면 갈 수 있는 대학이 상당히 제한적이겠죠?
물맛이좋아요
21/03/15 01:12
수정 아이콘
제자 중 한 친구가 확통으로 돌렸다가

과탐+확통 조합으로 갈 수 있는 대학이 제한적이더군요 다시 미적으로 왔습니다.

인서울에는 없는편이고 지방으로 알아봐야 있다고 하네요
미뉴잇
21/03/15 01:20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확통 선택해도 갈수있는 이과 대학이 많았었는데 요즘엔 아니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추대왕
21/03/15 05:03
수정 아이콘
고3 수업해보니 현재 자연계 학과 진학희망자 중 미적선택자가 90%, 기하선택자가 10% 정도더라구요.

수능때까지 이정도 비율이 유지될지, 과목별로 공통과목 편차가 얼마나 날지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흐흐
AaronJudge99
21/03/15 06:55
수정 아이콘
갠적으로 3월 하고 한번 대이동 일어나고 6월 하고 또 대이동 일어나고 그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1/03/15 15:45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말하면 사람들의 성적분포가 표준분포고, 과목선택에 따른 시험 시간등 변동이 없을때 무엇을 선택하든 동일합니다.
확통이 유리한 점 : 선택과목문항이 상대적으로 쉬워 공통문항에 기여하는 시간이 더 크므로 실력에 비해 과목선택자 평균이 조금 높을 수 있음.
미적이 유리한 점 : 최상위권의 경우 표준점수 천장 자체가 확통보다 훨신 높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190 [일반] 삼성 C타입 ANC 이어폰 사용후기 (vs 에어팟 프로) [13] Zelazny13802 21/04/04 13802 8
91189 [일반] 나만 아는게 좀 거시기해서 올려보는 괜춘한 게임, 어플, 유튜브 채널 [9] 크림샴푸13508 21/04/04 13508 6
91188 [일반] [팝송] 와이돈위 새 앨범 "The Good Times and The Bad Ones" [4] 김치찌개6758 21/04/04 6758 1
91187 [일반] [번역] 현대미술은 미국 CIA의 무기였다.(Modern art was CIA 'Weapon') [23] 위대함과 환상사이14789 21/04/04 14789 22
91186 [일반] 시구루이 애니 감상(스포) [3] 그때가언제라도9689 21/04/03 9689 2
91185 [일반] 4차 유행은 이미 시작되었을 수 있다. [55] 여왕의심복18065 21/04/03 18065 83
91184 [일반] [번역] 과학적으로 가장 완벽한 'X' 싸는 방법 [21] 나주꿀12394 21/04/03 12394 58
91182 [일반] 눈 뜨고 치킨 쿠폰 떼인.. [8] 앗흥11423 21/04/03 11423 0
91181 [일반] [외교] 중국-ASEAN 미얀마 관련 외교회담 [40] aurelius12018 21/04/03 12018 7
91180 [일반] 주말의 웹툰추천-미래의 골동품 가게 [30] lasd24114872 21/04/03 14872 12
91179 [일반] [TV이야기]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5] 라울리스타9933 21/04/03 9933 3
91178 [일반] 시가 하는 것들 [1] 아난6634 21/04/03 6634 5
91177 [일반] 한국...약하면 죽던 시절 1961년~70년......[펌] [55] TWICE쯔위20254 21/04/03 20254 71
91176 [일반] [외교] 대만, 유럽이 자국 잠수함 개발을 돕고 있다고 밝혀 [4] aurelius11133 21/04/03 11133 5
91175 [일반] 벚꽃엔딩 [8] 及時雨7670 21/04/03 7670 5
91174 [일반] 그거 아십니까? 밤벚꽃이 예쁩니다. [24] 판을흔들어라10285 21/04/03 10285 6
91173 [일반] 조선구마사 논란을 보고 - 조선 초기 명나라 세력의 영향권은 어디까지 정도였나? [28] 신불해16762 21/04/03 16762 95
91172 [일반] [외교] 최장문의 전보: 중국에 맞서기 위한 포괄적 전략 [7] aurelius14811 21/04/02 14811 8
91171 [일반] 굿바이 아재버거.JPG [73] insane17033 21/04/02 17033 0
91169 [일반] [기사] 中, 베이징 외신기자 클럽 불법단체 규정 [41] aurelius14963 21/04/02 14963 11
91166 [일반] <자산어보> 후기 - 두 세계가 충돌하는 방식 [9] aDayInTheLife9687 21/04/02 9687 1
91165 [일반]  피지알은 ㅇㅅㅇ하는 사람이 없어서 좋네요 [87] 영소이14502 21/04/01 14502 1
91164 [일반] 화이자 백신 임상 3상 6개월 관찰결과 발표 [45] 여왕의심복16552 21/04/01 16552 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