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2/17 11:34:13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21_02_17_오전_11.29.49.png (278.6 KB), Download : 57
Subject [일반] 10년간 서울의 인구는 감소, 세대수는 증가.



10년전과 비교시 서울의 인구수는 63만명이 감소했습니다.

그리고 서울의 세대수는 17만 세대가 증가했습니다.


10년전과 비교해서는 좀 덜 드라마틱한데..


최근 3년으로 비교해보면 꽤 드라마틱해집니다.


3년전과 비교시 서울의 인구수는 약 20만명이 감소했는데
서울의 세대수는 약 20만 세대가 증가했습니다.

인구가 줄어드는데 서울 주택이 왜 부족하냐?.. 에 대한 대답으로 '세대가 늘어나니까!' 를 잘 보여주고 있는 지표중 하나가 아닐까 싶고.


세대수의 경우엔 사람마다 예측이 다르지만.. 10~20년은 적어도 세대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추정.. 하며
그 이후는 '더 분리될 세대는 적은데'..   인구 감소는 직격타로 오면서 다시 세대가 줄어들 것으로 보는게 보편적인 예측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지..  세대가 줄어드는게 서울이 줄어드는게 아니라.. 이미 현실에서 나오고 있는것처럼 지방의 세대가 계속 줄어드는 쪽으로 생기지 않을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2/17 11:38
수정 아이콘
인구 줄어드는 것도 서울이 안좋아서 떠난다기보다는 경기도로 밀려나는 것 아닐까요?
이쥴레이
21/02/17 11:41
수정 아이콘
1인가구가 늘어나는 경향도 있고 해서 확실히 대가족은 점점 보기 힘들구나 합니다... 근데 생각보다 세대당 인구차이가 드라마틱하지는 않네요. 흠...
윗분 말처럼 경기도로 밀려나는 경향도 있어서 경기도+인천 인구수 증가랑 세대수 증가도 같이보면 좋은 비교가 될거 같네요.
몽키매직
21/02/17 11:53
수정 아이콘
반대로 해석보면 세대 당 인구가 조금만 감소해도 세대 수 증가량이 어마어마하죠.
세대당 인구 2.0 가정하면 저기서 또 44 만 세대가 늘어납니다.
antidote
21/02/17 11:43
수정 아이콘
서울 경기는 한국 인구 전체를 빨아먹으면서 농촌에 부농만 남는 수준 직전까지는 유지될 것 같은데요.
서울 인구 감소해봐야 결국 집값 감당 못하니 경기로 밀려나는 거라서 중심지구가 다른데로 가는게 아니니 어차피 그사람들 출퇴근하려면 경기도에는 살아야 합니다.
21/02/17 11:44
수정 아이콘
드라마에서 한집에 대가족이 모여 사는거 생각나네요
강가딘
21/02/17 11:54
수정 아이콘
당장 주택가인 저희 동네에 몇년새 다들 단독주택 부시고 원룸 지어서 단독주택이 저희 집 포함 몇집 없다는...
그만큼 1-2인 새대가 늘어났다는 반증이겠죠
21/02/17 11:55
수정 아이콘
전체 합산으로 보면 그런데, 연령별로 보면 굉장히 재미있는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21514410002131

3~40대 인구는 급감. 60대 인구는 급증. 이렇게 되고 있죠.
2010년대 전반부에는 40대 인구의 감소가 매우 미미했으나 2010년대 후반들어서, 특히나 2018년부터 감소가 급격합니다.

이를 두고 많은 사람들은 가격의 상승이 3~40대를 경기도로 밀어냈다고 해석할 것이나,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가격은 그저 그림자고, 본체는 물리적 실체로서의 주택입니다. 집을 열심히 짓지 않았기에 벌어지는 일으로 봅니다.
21/02/17 11:57
수정 아이콘
다 연결되어 있는 이야기죠. 박원순이 굴린 스노우볼...
21/02/17 12:20
수정 아이콘
뭐 본문 해석도 맞지만 상당 부분이 다주택자들 전입해놓은거 아닌가 싶은데
페일에일
21/02/17 13:55
수정 아이콘
청약을 위한 세대분리 /세금에 따른 세대분리로 1-2인이 많아지니 주택 총량이 일정하단 하에 일정기간 추세가 지속되지 않을까싶네요.
수요가 준게아니라 갈데가 없어서 줄어드는상황으로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549 [일반] 자가 / 전세 / 월세 / 무상으로 거주하는 사람은 몇%일까? [6] Leeka7951 21/02/22 7951 2
90462 [일반] 10년간 서울의 인구는 감소, 세대수는 증가. [10] Leeka8568 21/02/17 8568 1
90438 [일반] 애플워치, 실제 사용자 1억명 돌파 + 애플 4분기 실적 [44] Leeka11201 21/02/15 11201 6
90212 [일반] 2020년 백화점 매출 순위가 공개되었습니다. [62] Leeka12306 21/01/28 12306 3
90187 [일반] 전용면적 기준, 평당 1억이 넘는 아파트들은? [27] Leeka8472 21/01/27 8472 0
90171 [일반] 현재 경기도 지역별 대장 아파트 가격을 알아보자 [144] Leeka18074 21/01/25 18074 3
90071 [일반] 12년간 공사한 동부간선도로 개통 결과 [89] Leeka17469 21/01/18 17469 4
90020 [일반] 에어팟 맥스 사용 1일차 후기 [27] Leeka9798 21/01/14 9798 0
89927 [일반] 반포레미안원베일리 분양가가 평당 5668만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47] Leeka11308 21/01/08 11308 2
89713 [일반] 미분양 주택, 11월 기준. 17년만에 최저치 기록 [16] Leeka7925 20/12/30 7925 1
89644 [일반] 정부 통계 기준. 올해 집값이 가장 오른 지역들은? [36] Leeka9841 20/12/27 9841 2
89627 [일반]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1/4일부터 접종 시작, 일본 외국인 입국 금지 [46] Leeka11551 20/12/27 11551 2
89603 [일반] 내년부터 오르는 부동산 관련 세금/제한 조건 정리 [69] Leeka10502 20/12/26 10502 9
89598 [일반] 보금자리론 기본 금리가 1월에 추가 인상됩니다. [16] Leeka9002 20/12/26 9002 5
89533 [일반] 집주인이 거짓으로 갱신거부시, 지불하는 손해배상금을 정부가 감면했다? [6] Leeka7051 20/12/23 7051 3
89443 [일반] 마포구도 20억 시대 합류가 눈앞으로 다가왔습니다. [56] Leeka12055 20/12/21 12055 1
89431 [일반] LH 공실임대 주택 14,229가구. 전세형 임대로 공급 & SH 공실 임대 5,556가구 조건 상향 [26] Leeka11456 20/12/21 11456 5
89378 [일반] 벨기에에서 장관 실수로, 백신 3종 가격이 공개되었습니다. [184] Leeka20474 20/12/18 20474 6
89354 [일반] 규제지역 4단계 등급과, 적용되는 실제 규제들 정리 [46] Leeka10113 20/12/17 10113 3
89321 [일반] 위례 공공분양. 전용 84 기준 2900만원도 예비로 탈락.. [26] Leeka9683 20/12/16 9683 3
89312 [일반] 해운대구 아파트 분양. 258세대중 40세대가 조작 당첨자로 밝혀져 [55] Leeka12512 20/12/16 12512 8
89285 [일반] 결혼 5년차 무자녀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103] Leeka13520 20/12/15 13520 12
89264 [일반] 오늘부터, 국민은행에서 1억이상 신용대출이 금지됩니다. [63] Leeka15513 20/12/14 15513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