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1/30 02:38:14
Name 아난
Subject [일반] 100만엔의 여인들 - 짤막한 감상기 (스포일러 약간) (수정됨)
100만엔의 여인들 (일본 드라마 / 넷플릭스)

1
확실히 하렘물이다. 하렘물의 기본 설정은 대개의 남자들이 끌릴 만하다. 어느 정도 밝히고 그리 잘 생기지 않았어도 기본적으로 아주 착한 남주인공 둘레로 제 각각의 매력이 있는 여성들이 모여들기 때문이다. 남자들은 현실에서는 자신과 비슷한? 그런 남자들은 별로 인기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드라마에서는 나이별로 제 각각이어서 여고생에서 30대 콜걸 업체 사장까지 걸쳐 있다. 생김새들도 엄청 다르다. 신기하게도, 다들 한드 여주인공이나 주요 조역으로는 어림도 없을 것 같은 생김새들인데도 보면 볼수록 생김새들도 매력적이고 성미들도 그렇다. 생김새상 가장 즉각적으로 매력을 느끼지 못했던 여인한테조차도 4화부터는 끌리기 시작한다. 이 드라마는 남주인공과 별 관련없는 그녀들 각각의 삶의 면면도 보여주지만 이 드라마의 핵심은 그녀들이 남주인공에게 행복감을 줄만한 행동을 하는데 점차 거리낌이 없어지고 제 각각의 능력이나 언변으로 남주인공을 도와주려고 애쓰는 장면들이다. 힐난하고 쏘아붙이는 사장님조차도 기본적으로 호의가 깔려있다. 아직까지는 가장 적극적이지 않은 여인조차도 조금씩 점점 더 적극적이 될 것 같다. 남주인공은 착할 뿐만 아니라 소설가로서의 재능이 있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한편 그의 불운은 속물들의 작품인 면도 있어서 그 애씀이 마냥 황당하지는 않지만 사실 마냥 황당하다. 하렘물은 판타지이고 이 드라마는 하렘물, 그것도 더 세심한 하렘물이라는 의미에서 그렇다. 더 세심한 하렘물이라는 것이, 그녀들 제 각각의 매력과 제 각각의 호감표현과 제 각각의 조력을 세심하게 보여준다는 것이 이 드라마의 재미이다. 내가 이 드라마에서 재미를 느끼는 것이 소위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비난을 들을만한 것인지, 또는 이 드라마가 페미니스트적 비평을 잘 견뎌낼 수 있을 지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나는 이 여인들이 꽤 당당하다고 느낀다. 그리고 착하고 재능있지만 속물적인 환경이나 우발적인 불운에 결박된 그리 잘 생기지 않은 남자가 여러명의 매력적인 여인들의 호감을 사고 조력을 얻는다는 판타지가 그 자체로 나쁜 것 같지도 않다. 만약 알고보면 이 드라마가 나쁜 드라마라면 이 드라마는 남자로서의 나의 (드라마) 취향의 한계를 보여주는 드라마라는 장점도 갖게 된다. 아, 엄청 귀여운 고양이가 나오기도 한다.  

2
예상 외의 전개 때문에 이 드라마가 확실히 하렘물이라는 첫 문장은 확실히 거짓말이 되고 말았다. 그리고 동일한 이유로 이 드라마를 더 즐길 수도 있게 되었다. 이 드라마는 하렘물적인 요소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하렘물 이상이다. 사실 그 전개 이전에도 이 드라마에는 하렘물적인 요소를 강화하는 것과는 관계가 없는 내러티브 요소가 있다. 사형수인 아버지의 악했던 행위를 둘러싸고 펼쳐지는 주인공의 감정세계와 그 행위에 대해 원한감정을 갖는 이들과 주인공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요소이다. 이 요소는 머물러 있지 않고 반전까지 포함하면서 발전한다. '누가 나를 죽이는지 모르겠다'는 아버지의 말로 표현되는 사형제도에 대한 짤막한 문제제기도 꽤 의미심장하다. 사실 '사형의 주체'라는 제목으로 1000쪽이나 되는 (형)법철학 책이 나와도 하나도 이상하지 않다. 주인공이 마침내 받게되는 가장 권위있는 문학상의 심사자들 중 한명이 주인공의 작품에 대해 하는 칭찬 - '감정을 표현하는 낱말들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지만 작품 자체가 감정을 표현한다. 이것은 새로운 감정이다' - 도 거의 미학적으로 훌륭하다. 그 외에도 대단히 미묘하거나 지적이라기보다는 대중계몽적인 수준이기는 하지만 소설의 재미있음과 작품성에 대해 곱씹어 생각할 만한 화두들을 던져주고 있기도 하다. 일드 좀 본 사람들은 일드가 대놓고 교훈을 주기를 즐겨하며 비주얼이나 스토리가 가장 극단적인 경우에조차도 종종 그리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고 일부 사람들은 그점을 진부하다고 느끼기도 한다. 이 드라마에도 확실히 그런 지점들이 있다. 나는 적어도 이 드라마에서는 그런 지점들이 좋았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키르히아이스
21/01/30 03:44
수정 아이콘
읽으면서 이상하게 어색하다 싶었는데.. 하렘물이라고 쓰려고 하신거죠?
21/01/30 03:56
수정 아이콘
맞아요. 제가 하렘을 할렘으로 알고 있었네요. 게다가 하렘물도 아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548 [일반] 잠수함은 어떻게 물 밑을 보고 다닐까? + 우리에게 핵잠이 필요한 이유중 하나 [41] 나주꿀14801 21/09/29 14801 35
93547 [일반] 오징어게임에서의 깐부 [47] 로드바이크13892 21/09/29 13892 0
93546 [일반] 출생률에 대한 두서없는 사견. [117] 벨로린17822 21/09/29 17822 16
93545 [정치] 고난의 윤석열, 대검 장모 변호문건과 부친 집 매매 [245] 유료도로당24487 21/09/29 24487 0
93544 [일반] 성남시민 초청 힐링 콘서트 [15] 빵pro점쟁이10691 21/09/29 10691 3
93543 [정치] 불공정에 노출될 기회가 많아졌습니다 [61] 삭제됨16678 21/09/29 16678 0
93542 [정치] 나랑 안 놀아주면 아저씨 감옥 간다? [57] 2021반드시합격16721 21/09/29 16721 0
93541 [정치] 10월부터 시행되는 상생소비지원금 정리 [45] Leeka14756 21/09/29 14756 0
93540 [일반] 9월에 찍은 사진들 [23] 及時雨12041 21/09/28 12041 14
93539 [일반] 살살 녹는 업진살 먹으면서 개식용 반대할 수도 있지! [247] 아스라이18903 21/09/28 18903 10
93538 [일반] [역사] 에디슨이 최초가 아니라고? / 전기조명의 역사 [2] Its_all_light83512 21/09/28 83512 7
93537 [일반] 수능의 킬러문항은 불법화되어야 하는가 [121] 나주꿀16252 21/09/28 16252 0
93536 [일반] 혹시 경기도에 거주중인 만19세~34세분들 계신가요?? [69] 대장햄토리21775 21/09/28 21775 7
93535 [일반] 나라가 있어야 문화가 있다 [130] 코와소16177 21/09/28 16177 13
93534 [정치] 국회 세종의사당이 확정되었습니다. [64] Leeka16694 21/09/28 16694 0
93533 [일반] 이제 인간이 설 곳은 점점 줄어드는 것 같네요... [34] 슷하vs슷하13944 21/09/28 13944 0
93532 [일반] 남자의 소득과 결혼의 상관관계? [59] Leeka17606 21/09/28 17606 7
93531 [일반] PGR21의 자유게시판은 조금은 무거운 느낌입니다 [139] 블랙리스트13405 21/09/28 13405 6
93530 [정치] 갈수록 태산인 곽상도 아들 해명 [162] 이른취침19884 21/09/28 19884 0
93529 [일반] E-SPORTS 게임 플레이 환경은 더 개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5] 즈카르야9540 21/09/28 9540 5
93528 [일반] 태어나서 처음으로 정기후원을 시작했습니다. [42] ArcanumToss11770 21/09/28 11770 16
93525 [일반] 탄소중립은 어려운 거지 불가능한 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208] 트와이스정연18916 21/09/27 18916 21
93524 [정치] 남여 젠더갈등, 그 이후는? K 마케이누의 시대가 오는가 [238] 나주꿀25588 21/09/27 2558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