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1/27 13:16:08
Name Leeka
Subject [일반] 전용면적 기준, 평당 1억이 넘는 아파트들은?

2020년 기준, 전용면적(3.3 당 1평) 기준으로 평당 1억이 넘는 아파트는 68개 라고 합니다.


평당 가격 순위로는 (2020년 신고가 기준)

1위 - 개포주공 1단지 -> 평당 1억 8086만원
2위 - 아크로리버파크 -> 평당 1억 4472만원
3위 - 래미안대치팰리스 -> 평당 1억 3776만원
4위 - 잠실 리센츠 -> 평당 1억 3734만원


순이라고 하며

지역 별로는

서울시 강남구 -> 38개
서울시 서초구 -> 23개
서울시 송파구 -> 5개
서울시 용산구 -> 1개
서울시 성동구 -> 1개

의 아파트가 평당 1억을 넘겼다고 합니다.

역시 강남 - 서초 - 송파..  3대장은 3대장인가 싶은 생각이.. 같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수미산
21/01/27 13:19
수정 아이콘
리센츠는 초소형이라 가능한가봅니다.
21/01/27 13:21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소형 평수가 있는 곳이.. 평당 가격은 높게 잡히기 좋죠.... (대형일수록 평당 가격은 내려가니까..)
분란유도자
21/01/27 13:20
수정 아이콘
2023년에 공급한다했으니 앞으로 3년간은 불장 지속될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어디에 부동산이 있느냐가 아니라 부동산이 있는 사람 없는 사람으로 나눠질것 같아요. 이번에 청약 되었으면

청합기
봄날엔
21/01/27 13:21
수정 아이콘
개포주공은 재건축때문에 저런 건가요?
21/01/27 13:22
수정 아이콘
넵.. 재건축 프리미엄.. 이라 그렇습니다.

재건축 프리미엄 빼면 아리팍 - 래대팰 - 리센츠.. 가 평당 가격 1~3위 라고 보셔도.
봄날엔
21/01/27 13:2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리아
21/01/27 13:21
수정 아이콘
성동구는 트리마제?
용산구는 챌리투스?
네이버후드
21/01/27 13:28
수정 아이콘
아크로 포레스트 일거 같은데요
동네노는아이
21/01/27 16:06
수정 아이콘
성동구는 왠지 한강맨숀 재건축 같아요. 2채 받는 평형은 저가격 나가는듯
양념반후라이
21/01/27 13:21
수정 아이콘
뭐 이리 많아... 했더니 전용면적 기준이군요
그런데 리센츠가 엘스보다 비싼건 의외네요
하우두유두
21/01/27 13:43
수정 아이콘
15억이 안되서요
봄날엔
21/01/27 13:22
수정 아이콘
올해 하나 사고 싶은데 살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제발 우주의 기운이 와주길
CapitalismHO
21/01/27 13:41
수정 아이콘
리센츠 평당가 이상하지 않나요? 리센츠소형이라고 해봐야 평당7000~8000수준인데 저건 너무 높습니다. 리센츠 초소형은 13평인데 이게 18억이 나갈수가 없어서... 직방기준으로 매매가 쓱 봤는데 실제로 비싸야 10억안팍이고요.

그건그렇고 아선보다 엘스가 평당가가 비싼건 충격적이네요. 신축파워가 진짜 어마무시하긴 한가 봅니다.
피식인
21/01/27 13:44
수정 아이콘
전용면적 기준이라고 하네요.
CapitalismHO
21/01/27 13:46
수정 아이콘
아 그러게요. 글을 대충읽었네요 흐흐
21/01/27 13:56
수정 아이콘
리센츠가 연식이 15년 다되가는데 신축으로 쳐주나요?
신축이 워낙 부족해서 그런건가..
CapitalismHO
21/01/27 14:41
수정 아이콘
재건축된 아파트기도 하고, 구축/신축을 나눠서 부동산 투자를 논할때 줄곧 신축으로 분류했기 때문에 관습적으로 준신축(?)정도로 쳐주는 느낌입니다. 신축이라 하기는 사실 연식이 상당해졌죠. 크크
21/01/27 15:43
수정 아이콘
주차장과 엘베 연결, 대부분의 주차장이 지하에 위치, 2000년대 중반이후 건설한 아파트는 내부 수리만 하면 신축과 큰 차이 없는 생활이 가능하기는 합니다. 08년 이전 이 시기 아파트는 전실이나 광폭베란다 덕도 보기 때문에 신축 못지 않은 장점이 있는 경우도...
21/01/27 13:47
수정 아이콘
근데 평당 1억이 중요한지 모르겠네요. 요컨데 한남 나인원이나, 더힐 같은 경우는 평당 1억이 안된다고 되있지만, 초고급 아파트니까요. 청담쪽 빌라에도 그런데가 많구요. 이런식의 가격 경쟁은 별 의미도 없고 가쉽 이상도 아닌데 굳이 글로 나와야 하는 이유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안필드원정출산
21/01/27 14:12
수정 아이콘
저도 사실 평단가는 그다지 정보로서 가치가 높지 않은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면적이 다른 주택을 동일한 기준으로 볼 수 없죠. 가장 많은 국민평형 전용면적기준 84~85로 좁혀서 비교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어차피 한남더힐, 나인원 대형평형 가격 관심없잖아요. 대부분.
Cafe_Seokguram
21/01/27 14:31
수정 아이콘
그렇죠...

좀 더 팩폭하자면...한남더힐, 나인원 대형평형 가격이야 관심을 가질 수도 있죠.
다만 우리 국민 대부분이...거기 거주할 수 있는 소득이나 자산이 없죠...
여수낮바다
21/01/27 16:12
수정 아이콘
이재용 재산이 어쩌니 하는 건 애초에 오를 수 있는 나무도 아니었고 앞으로도 그럴 곳이라면,

개포주공 래대팰 리센츠 등은 4년 전만 해도 어지간한 흙수저도 노오력해서 충분히 얻을 수 있는 자산이었는데 최근 몇년 사이 그게 불가한 자산이 되어 버렸다는 차이가 있지요.

즉 최근 4년 사이 급격한 자산의 빈부차 악화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곳들입니다.
metaljet
21/01/27 14:08
수정 아이콘
저층 재건축은 평당가 의미없고 차라리 대지지분으로 하셔야...
샤한샤
21/01/27 15:08
수정 아이콘
청실은 대체 왜 저렇게 비싼지 모르겠어요
대치동 반경 수 km내에 유일한 신축이라는것 ??
대치동에 향후 십년간 신축공급 없을것 같으니까 그 프리미엄으로 가는건가...
자연스러운
21/01/27 17:29
수정 아이콘
땅이비싸지 건물은별로 안비싸요
마르키아르
21/01/27 18:4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아크로는 왜 저렇게 비싼지 모르겠더군요 -_-;;

좋은 아파트 중에 하나라는건 당연한데..,

뭔가 가장 비싼 아파트가 되기엔 부족해 보이는데 말이죠.;;;
동네노는아이
21/01/28 09:18
수정 아이콘
이번 피디 수첩 보니까 뻥튀기 시켜논것도 크드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481 [정치] 실거래가 신고 시점을 등기 이후로 하는 법안 발의. [43] 맥스훼인9058 21/02/18 9058 0
90462 [일반] 10년간 서울의 인구는 감소, 세대수는 증가. [10] Leeka8566 21/02/17 8566 1
90449 [정치] 2/19일부터,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에서는 전/월세를 줄 수 없게 됩니다. [83] Leeka11788 21/02/16 11788 0
90446 [정치] 압구정 신현대아파트. 한달만에 14억 증가? [52] Leeka12266 21/02/16 12266 0
90438 [일반] 애플워치, 실제 사용자 1억명 돌파 + 애플 4분기 실적 [44] Leeka11199 21/02/15 11199 6
90432 [정치] 민간택지 85~90% 분양가에 걸리지 않는 분상제 지역 정리 [9] Leeka8172 21/02/15 8172 0
90427 [정치] 임대차3법 이후, 서울아파트 반전세 증가 [44] Leeka11024 21/02/14 11024 0
90370 [정치] 성남시 분당구 '서현공공주택지구 취소' 행정소송, 주민 승소 [46] Leeka10914 21/02/10 10914 0
90363 [정치] 정부의 공급 대책에 왜 시장의 반응이 시큰둥한가.. [58] Leeka9942 21/02/10 9942 0
90357 [정치] HUG, 22일부터 분양가를 주변시세의 85~90%로 변경 확정 [63] Leeka12350 21/02/09 12350 0
90348 [정치] PD수첩에서 취재한 반포 재건축 이야기 [20] Leeka15073 21/02/08 15073 0
90318 [정치] 변창흠 국토부장관은 대중교통 요금을 알고 있을까요? [194] Leeka15813 21/02/06 15813 0
90300 [정치] 경기도 아파트 상승률. 통계작성 이후 최고 수치 기록. [31] Leeka9668 21/02/04 9668 0
90295 [정치] 공매도, 5/2일까지 연장. 5/3일부터 부분 재개 확정 [44] Leeka11400 21/02/04 11400 0
90290 [정치] 아파트가격 상승, 4~5분위 아파트들이 이끌었다. [18] Leeka8485 21/02/03 8485 0
90274 [정치]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세가 4억 돌입.. 임대차법 이후 6천만원 올라. [79] Leeka11986 21/02/02 11986 0
90268 [정치] 2019년 12월 부동산 정책을 예견했던 블라인드 글과 잡담 [100] Leeka16901 21/02/01 16901 0
90212 [일반] 2020년 백화점 매출 순위가 공개되었습니다. [62] Leeka12305 21/01/28 12305 3
90206 [정치] 수도권 아파트 주간 상승률, 통계작성 이례 신기록 갱신 & 전국 신기록 동률 기록 [18] Leeka6608 21/01/28 6608 0
90187 [일반] 전용면적 기준, 평당 1억이 넘는 아파트들은? [27] Leeka8471 21/01/27 8471 0
90171 [일반] 현재 경기도 지역별 대장 아파트 가격을 알아보자 [144] Leeka18074 21/01/25 18074 3
90120 [정치] 신용대출 한도가 다시 줄어들고 있습니다. [102] Leeka14150 21/01/22 14150 0
90111 [정치] 수도권 아파트 주간 상승률. 통계작성이래 신기록 갱신 [154] Leeka15317 21/01/21 1531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