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1/12 09:26:58
Name 아난
Subject [일반] 학문의 자유에 관한 공개 서한 (번역) (수정됨)
https://sites.google.com/view/open-letter-stock-freedom/home

Open Letter Concerning Academic Freedom
January 2021

학문의 자유에 관한 공개 서한
2021년 1월

A number of academic philosophers have taken the unusual step of publishing an “Open Letter Concerning Transphobia in Philosophy,” singling out Professor Kathleen Stock of the University of Sussex for condemnation. The reason? Professor Stock’s writing, speaking, and political activity regarding proposed changes to the UK Gender Recognition Act and more general issues of sex and gender.

많은 학계 철학자들이 서섹스 대학교의 캐슬린 스톡 교수를 비난을 위해 거명하면서, "철학에서의 트랜스포비아에 관한 공개 서한"을 발표하는 드문 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이유? 영국의 젠더 인정법 변경안 및 섹스와 젠더의 보다 일반적인 쟁점들에 관한 스톡 교수의 집필, 강연, 정치활동.

The signatories dislike Professor Stock’s views and actions in this area, and that is their right. What disturbs us is that they think this sort of public singling out and vilification is an appropriate way of expressing their dislike. [It also appears that the writers got a number of things wrong about Professor Stock’s views, something others already have addressed in detail.]

(그 공개 서한의) 서명자들은 이 분야에서 스톡 교수의 견해와 행동을 혐오합니다. 그것은 그들의 권리입니다. 우리를 곤혼스럽게 하는 것은 그들이 이런 공개적인 거명과 비방이 그들의 혐오를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작성자들은 스톡 교수의 견해에 대해 많은 것들을 잘못 알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이 이미 자세히 지적했습니다.]

The signatories suggest that this goes beyond disagreement with or a dislike of Professor Stock’s views. The letter implies that Professor Stock is one of those academics who are “using their academic status to further gender oppression”; that she is “harming” trans people; and that her work “contributes” to discrimination and violence directed towards trans people. No evidence of any kind is offered in support of these allegations. Undoubtedly, some people feel offended by what Professor Stock has written and said, but this is true of a great deal of what philosophers write and say. Many devout Christians will be offended by those arguing for abortion rights, and those who favor affirmative action are likely dismayed by arguments against it.

(본 공개 서한의) 서명자들은 이것이 스톡 교수의 견해에 대한 이의제기나 혐오를 넘어서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서한은 스톡 교수가 "학문적 지위를 이용해 젠더 억압을 촉진하고 있는" 학자들 중 한 명임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그녀가 전환자들에게 "위해"를 가하고 있다는 것. 그녀의 저술이 전환자들을 향한 차별과 폭력에 "공헌"했다는 것. 이 단정들을 뒷받침할 어떤 종류의 증거도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틀림없이, 어떤 사람들은 스톡 교수가 쓰고 말한 것에 기분이 상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철학자들이 쓰고 말하는 것 상당수에 해당합니다. 많은 경건한 기독교인들은 낙태 권리를 주장하는 이들에 의해 기분이 상할 것입니다. 그리고 어퍼머티브 액션을 지지하는 이들은 아마 그것에 대한 반론에 낙담할 것입니다.

Much academic research, including philosophy, engages with difficult and controversial subjects, and it is critical that this work be brought to bear on matters of real, imminent public concern. Sex-specific intimate spaces, athletics, medical services, and prisons have long been the norm in our societies and are represented in the very infrastructure in which we conduct our daily lives. Significant changes to these practices and norms are the kinds of things that our professional scholars must be able to discuss, without constant threat of public vilification.

철학을 포함한 많은 학술 연구가 난해하고 논쟁적인 주제들과 씨름하고 있는데, 이 연구가 실제적이고 절박한 공공 관심사들과 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합니다. 섹스 특이적인 친밀공간, 육상경기, 의료서비스 및 교도소는 오랫동안 우리 사회들에서 규범이었으며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는 바로 그 인프라스트럭처에 구현되어 있습니다. 이 관행들과 규범들의 중요한 변경은 우리 전문적 학자들이 항상적인 공개적 비방 위협을 받지 않으면서 논의할 수 있어야 하는 종류의 것들입니다.

It cannot become our standard that where analysis and discussion of matters of public concern may cause offense,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consequences of engagement are so costly that few will be willing to do the work. It cannot become our standard that the mere allegation of harm caused by some writing or speech, in the absence of any specific evidence to that effect, is sufficient to trigger such consequences. And it cannot become our standard that the mere fact that someone who causes harm agrees with something said or written by an academic is sufficient to saddle that academic with responsibility for that harm.

공공 관심사들의 분석과 논의가 공격을 야기할 경우, 관여의 사회적 및 제도적 귀결들의 비용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커서 극소수만이 그 연구를 하고자 하게 되는 것이 우리의 표준이 될 수는 없습니다. 어떤 저술이나 발화에 의해 야기된 위해의, 아무런 구체적 증거의 뒷받침도 없는 단순 단정이 그러한 귀결들을 유발하는데 충분하다는 것이 우리의 표준이 될 수는 없습니다. 위해를 야기하는 누군가가 한 학자가 말하거나 쓴 무엇인가에 동의한다는 단순한 사실이 그 학자에게 위해의 책임을 묻기에 충분하다는 것이 우리의 표준이 될 수는 없습니다.

The Open Letter Concerning Transphobia in Philosophy is the latest depressing example of an increasing inclination in the Academy to adopt precisely these kinds of standards. The effect can only be to discourage those whom we employ to research, think, write, and speak about these issues from doing so and to deprive students of a diverse and intellectually rigorous education. This will neither benefit our laws, regulations, and public policies nor improve the education that students receive.

그럼에도 학계 내에서 바로 이러한 종류의 표준을 채택하고자 하는 성향이 증대하고 있으며 철학에서의 트랜스포비아에 관한 공개 서한은 그 성향의 가장 최근의 우울한 예입니다. 그 효과는 이 쟁점들에 관해 연구, 사유, 집필 및 발언하라고 우리가 고용하고 있는 이들이 그리 하는 것을 힘들게 하고 학생들에게서 다양하고 지적으로 엄격한 교육을 받을 기회를 박탈하는 것 뿐입니다. 이것은 우리의 법률, 규제, 공공 정책에 이롭지도 않고 학생들이 받는 교육을 개선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
위 공개 서한에서 비판되고 있는 "철학에서의 트랜스포비아에 관한 공개 서한"은

https://sites.google.com/view/trans-phil-letter/

입니다. 이 공개 서한이 나오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영국의 젠더 크리티컬 페미니스트들의 대표격인 철학자 캐슬린 스톡이 엘리자베스 여왕이 주는 대영제국 훈장 Officer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 (OBE) 을 받게 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시상 이유는 "생물학적 섹스와 젠더에 관한 철학적 문제들을 다루는 그녀 자신의 현재 연구를 포함해 논쟁적인 관념들을 논구할 학문의 권리를 공공적으로 방어함으로써 고등교육에 기여"했다는 것입니다.

서명자들이 꽤 많은데, 3분의 1만 철학 교수들이고 나머지는 학부생을 포함한 학생들입니다. 뻔히 예상될 수 있는 것인데, 교수들이든 학생들이든 대다수가 트윗질을 열심히 하는 이들입니다. 교수들 중에서는 9명만 미국 최상위 20개 철학과에 정년보장을 받고 재직중인 이들입니다. 교수들 총 숫자가 350명 내외이니 대략 2.6%정도입니다. NYU, Rutgers, Harvard, Berkeley, UCLA, Columbia, Texas, Brown, Notre Dame, Arizona 등에서는 서명자가 없고 (영국의) Oxford 와 Cambridge 에서는 단 한명의 교수도 서명하지 않았습니다.

위 공개 서한에 서명한 이들의 면면에 대해서는 아직 나온 글이 없는데, 피터 싱어와 티모시 윌리엄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두 사람은 철학자로서의 학문적 업적이 최고 수준이라고 평가받는 이들입니다.  

"철학에서의 트랜스포비아에 관한 공개 서한" 작성자들은 위 공개 서한에 언급되어 있는 대로 '스톡의 견해에 대해 많은 것들을 잘못 알고' 있습니다. 스톡은 영국 젠더 인정법에 반대하지 않습니다. 스톡이 반대하는 것은 법적 젠더를 결정하는데 self-identification 을 허용하자는 젠더 인정법 수정안입니다. 그 수정안이 통과되면 남근 등등 명백한 남성 표현형적 특징들 male phenotypic features 을 지닌 이들도 self-identification 만으로 법적으로 여성이 되어 여성에게 여성이기 때문에 보장된 모든 법적 권리를 누릴 수 있게 됩니다. 스톡이 트랜스 여성들이 여성 록커 룸이나 보호처 같은 곳들에서 배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는 것도 사실이 아닙니다. 스톡은 현재의 영국 젠더 인정법을 찬성하는데, 그 법은 트랜스 여성이 여성 전용 공간을 이용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즉 스톡은 '전통적' 의미의 트랜스 여성이 (생물학으로) 타고난 여성과 법적으로 동일한 젠더임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스톡이 반대하는 것은 self-identification 만으로 법적인 젠더를 결정할 수 있게 하자는 젠더 인정법 수정안입니다. 물론 이 반대는 학문과 표현의 자유에 전적으로 부합하는 것인데다 조리있고 점잖게 논변된 것이어서 논문이나 그에 준하는 글들과 말들로만 상대해야 하는 것입니다.    

'스톡이 생산하고 증폭시키는 것 같은 담론이 성전환자들이 생명을 구하는 치료를 받는 것을 제한하는 구실을 하면서 성전환자들에게 위해를 가하고 있다'는 주장도 얼토당토 않습니다. 최근 영국 법원이 성별 불쾌감(性別不快感, gender dysphoria)을 느끼는 16세 미만자들의 사춘기억제제 복용을 제한하는 결정을 내린 것    

https://sites.google.com/view/open-letter-stock-freedom/home

등을 염두에 둔 발언인 것 같은데, 이 결정에 스톡의 저술이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는 없으며 - 물론 사춘기억제제가 생명을 구하는 약인 것도 아닙니다 - 설사 미쳤다고 하더라도 그 결정 배후에 있는 논거를 학술적으로 잘 비판하면 될 일이지 안 그래도 힘든 사람들을 더 못살게 구는 나쁜 인간이라고 손가락질하면서 저 인간 상 주면 안 된다고 나대며 떠들어댈 일이 아닙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spublica
21/01/12 10:22
수정 아이콘
젠더 이데올로기스트(?)라고 불러야 하나요? 그들이 가진 어떤 피해의식 같은게 있는 것 같습니다. 트랜스 여성과 일반 여성이 동등한 지위를 지닌다면 더 이상 문제될 게 없는 것 같습니다. self-identification을 인정하자는건 사회적 젠더(social gender)만을 허용하고 생물학적인 성(biological sex)을 철폐하자는 이야기인것 같은데, 참으로 급진적이긴 합니다. 결국 유전자 영향을 받는게 성적인 성향일텐데요. 그걸 철폐해서 얻는 이득이 무엇인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124 [일반] 뇌가 지금같은 대접을 못받았을 때... [21] 우주전쟁10829 21/01/22 10829 4
90123 [정치] '검찰 계좌추적' 주장 유시민 "의혹 사실 아니었다" 사과 [247] 텅트20874 21/01/22 20874 0
90122 [일반] 인도네시아 군사독재정권이 동티모르에서 자행한 학살 및 파괴와 그 반인류적 범죄를 방조한 미국 [14] 아난10531 21/01/22 10531 5
90121 [일반] 사회, 직장생활 어떤 마음가짐으로들 일하시나요? [50] likepa10850 21/01/22 10850 10
90120 [정치] 신용대출 한도가 다시 줄어들고 있습니다. [102] Leeka15219 21/01/22 15219 0
90119 [일반] 뉴에그 Z590 메인보드 등록 [3] SAS Tony Parker 7457 21/01/22 7457 0
90118 [일반] 인텔의 자체 생산발표와 삼성전자 [28] 맥스훼인12571 21/01/22 12571 1
90117 [일반] 외국어(원어)와 한국어, 여러분은 평소에 어떤 표현을 선호하시나요? [68] 삭제됨9210 21/01/22 9210 4
90116 [일반] (유게 410987번 글 관련) 백제 멸망 당시 상황은 어떠했는가? [23] 고기반찬11662 21/01/22 11662 50
90115 [일반] 30대 후반...결혼을 앞둔 돈없는 남자의 이야기 [84] 좋구먼21149 21/01/22 21149 37
90114 [일반] 일본 동요대회 은상 노노카와 가수 태연과 이상한 사람들 [57] 판을흔들어라13691 21/01/21 13691 3
90113 [정치] 서울시장 보궐선거 예비후보들이 결정된것 같습니다. [108] 덴드로븀17599 21/01/21 17599 0
90111 [정치] 수도권 아파트 주간 상승률. 통계작성이래 신기록 갱신 [154] Leeka16057 21/01/21 16057 0
90110 [정치] 국회의사당 폭도들의 계급구성 (축약 번역) [17] 아난12057 21/01/21 12057 0
90109 [일반] 엑스와 동그라미를 그리는 방법 [44] 리니시아11684 21/01/21 11684 10
90108 [일반] 대군사 사마의의 이 장면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글을 써봅니다. [31] 성아연13373 21/01/21 13373 41
90107 [일반] '이제 다 와간다.' - 3차 유행 후 올해 상반기 전망 [80] 여왕의심복19299 21/01/21 19299 195
90106 [정치] 공매도 재개, 6월부터 '제한적 허용'으로 가닥 [41] 맥스훼인11253 21/01/21 11253 0
90105 [정치] 계속되는 4인가구 만점 통장 청약 실패. [95] Leeka14809 21/01/21 14809 0
90104 [정치] 조 바이든이 공식적으로 미 대통령에 취임했습니다. [36] 우주전쟁12232 21/01/21 12232 0
90102 [일반] 사교육의 미래는 어찌될런지 [43] 비후간휴11736 21/01/21 11736 3
90101 [정치] 방송인 김어준씨 집합금지 위반과 선거법위반 수사(with TBS) [140] 판을흔들어라18551 21/01/20 18551 0
90100 [일반] 오늘부터 우리는 불꽃의 그레이트 티쳐 열혈경파물 노래 모음 [20] 라쇼16531 21/01/20 16531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