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1/10 23:48:25
Name 김홍기
Link #1 https://www.bok.or.kr/portal/bbs/P0000528/view.do?nttId=10062116&menuNo=200434
Subject [일반] 2021년 세계경제 향방을 좌우할 7대 이슈
이미 보신분도 계시겠지만 한국은행에서 따끈따끈한 보고서가 하나 나왔습니다. 총 30페이지정도 되는데 중간중간에 좀 어려운 내용도 있지만 각각의 이슈에 대해서 좋은 분석들을 보여줍니다. 다만 분량이 30p밖에(?) 되지 않으니 각각의 거대 이슈에 대한 심층적인 내용은 따로 찾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 피지알에도 투자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공유합니다. 먼저 보고서의 초록을 가져와 보겠습니다. 전체 보고서는 링크에 가시면 pdf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2021년에도 성투하세요. 화이팅!




  1.[ 백신 상용화] 최근 주요국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고 있어 백신 상용화 시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도래

    -백신 공급계획 등을 감안할 때 선진국을 중심으로 2021년 하반기중 집단면역에 가까워질 것으로 예상되나 백신접종 거부감, 일부 백신의 출시 지연 가능성 등은 코로나19 조기 종식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소지



  2.[바이드노믹스 본격화] 바이든 신정부 출범 이후 재정지출 확대, 증세, 다자주의 및 친환경을 골자로 하는 바이드노믹스가 본격 추진

    -대규모 재정지출 및 인프라 투자, 세계무역 환경의 불확실성 완화 등이 글로벌 경제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3.[중국의 성장전략 전환] 중국은 14차 5개년(2021~25년) 경제사회발전계획에 따른 쌍순환 성장전략을 통해 거대 내수시장의 잠재력을 활용하여 기존 수출중심 성장 패러다임으로부터의 전환을 모색

    -쌍순환 정책의 영향으로 중국의 글로벌 공급망 참여가 축소될 가능성이 있으나 글로벌 소비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은 확대



  4.[글로벌 패권경쟁 상시화] 미국의 對中 정책이 원칙에 기반한 견제방식으로 전환되면서 미·중간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

    -미국 대외정책의 불확실성은 완화되겠으나 미국의 對中 견제가 심화되며 패권경쟁의 부정적 영향이 확대될 소지



  5.[유럽내 경제 불균형 및 정치갈등 심화 가능성] 코로나19 사태로 유럽내 경제력 격차가 심화되는 가운데 회원국간 경제·정치적 갈등이 확산될 가능성

    -난민문제, 기후변화 등 회원국간 의견이 대립되는 현안을 중심으로 갈등이 고조될 여지



  6.[글로벌 경기회복 불균형] 백신보급 시기, 재정여력 등에 따라 국가간 경기개선세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코로나19의 충격이 서비스업 및 저소득층에 집중되면서 국가내 부문간에도 차별화가 뚜렷해지는 모습

    -선진국·신흥국간 불균형 확대가 세계경제의 회복을 제약하는 가운데 국가내 계층간·산업간 불균형 심화로 코로나19 충격이 고착화될 가능성



  7.[기후변화 관련 국제적 대응 노력 강화] 신 기후체제(2021년~)가 출범하는 가운데 바이든 신정부 들어 미국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기조 전환이 예상되는 만큼 환경규제, 투자확대 등 국제사회의 대응이 한층 강화될 전망

    -각국 정부가 친환경 기술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새로운 산업 및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강화되고 친환경 기술발달이 촉진





[종합평가]2021년 세계경제는 글로벌 경기회복 불균형 심화 등 일부 부정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백신 상용화, 미국 신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등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성장세가 확대될 전망

그러나 팬데믹 종식 지연, 미·중 갈등, 글로벌 경기회복 불균형 등 다양한 이슈들이 영향을 주며 세계경제가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도 상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홈런볼
21/01/11 00:52
수정 아이콘
당장 내일 주가가 어찌될지 궁금하네요.
오늘 슈카월드 방송을 보니 미국이 천문학적인 돈을 풀거고 그러면서 달려약세와 채권가격 하락으로 우리 증시쪽으로 돈이 몰릴 것으로 예상하는 것 같더라고요. 더불어 지금 개미들의 주식 예탁금이 엄청나다네요.
지금 많이 오르긴 했는데 내일 좀 더 들어가볼까 생각중입니다.
과열은 맞는 것 같은데 당분간은 버블이 더 커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지금의 주식 분위기는 2017년 말 비트코인과 분위기가 매우 흡사한 것 같습니다.
그때 어르신들이 업비트 계좌트고 객장에서 직원에게 뭘 사면 좋겠느냐고 물었는데 직원이 리플사라고 했더니 코인러들이 비웃었죠.
그리고는 리플이 거짓말같이 떡상하는게 한두달이 채 안 걸렸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요즘 어르신들도 주식계좌 만들려고 증권사가 눈코뜰 새 없이 바쁘다고 하는데 지금 분위기가 그 때랑 똑같은 것 같아요.
어찌될지는 아무도 예상 못하지만 당분간은 더 오르길 기대해봅니다.
김홍기
21/01/11 01:07
수정 아이콘
내일 주가는 저도 알고싶어요 크크 그 누가 알겠습니까.. 지수의 방향도 중요하지만 이럴땐 종목에 좀더 집중해보면 좋을 듯합니다.
메디락스
21/01/11 11:19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인데 댓글이 너무 없네요. 댓글보다 추천이 많네요
21/01/11 11:40
수정 아이콘
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서지훈'카리스
21/01/12 04:36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올해 포인트들에 잘 공감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124 [일반] 뇌가 지금같은 대접을 못받았을 때... [21] 우주전쟁10829 21/01/22 10829 4
90123 [정치] '검찰 계좌추적' 주장 유시민 "의혹 사실 아니었다" 사과 [247] 텅트20874 21/01/22 20874 0
90122 [일반] 인도네시아 군사독재정권이 동티모르에서 자행한 학살 및 파괴와 그 반인류적 범죄를 방조한 미국 [14] 아난10535 21/01/22 10535 5
90121 [일반] 사회, 직장생활 어떤 마음가짐으로들 일하시나요? [50] likepa10850 21/01/22 10850 10
90120 [정치] 신용대출 한도가 다시 줄어들고 있습니다. [102] Leeka15219 21/01/22 15219 0
90119 [일반] 뉴에그 Z590 메인보드 등록 [3] SAS Tony Parker 7458 21/01/22 7458 0
90118 [일반] 인텔의 자체 생산발표와 삼성전자 [28] 맥스훼인12572 21/01/22 12572 1
90117 [일반] 외국어(원어)와 한국어, 여러분은 평소에 어떤 표현을 선호하시나요? [68] 삭제됨9211 21/01/22 9211 4
90116 [일반] (유게 410987번 글 관련) 백제 멸망 당시 상황은 어떠했는가? [23] 고기반찬11662 21/01/22 11662 50
90115 [일반] 30대 후반...결혼을 앞둔 돈없는 남자의 이야기 [84] 좋구먼21151 21/01/22 21151 37
90114 [일반] 일본 동요대회 은상 노노카와 가수 태연과 이상한 사람들 [57] 판을흔들어라13691 21/01/21 13691 3
90113 [정치] 서울시장 보궐선거 예비후보들이 결정된것 같습니다. [108] 덴드로븀17599 21/01/21 17599 0
90111 [정치] 수도권 아파트 주간 상승률. 통계작성이래 신기록 갱신 [154] Leeka16057 21/01/21 16057 0
90110 [정치] 국회의사당 폭도들의 계급구성 (축약 번역) [17] 아난12058 21/01/21 12058 0
90109 [일반] 엑스와 동그라미를 그리는 방법 [44] 리니시아11684 21/01/21 11684 10
90108 [일반] 대군사 사마의의 이 장면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글을 써봅니다. [31] 성아연13373 21/01/21 13373 41
90107 [일반] '이제 다 와간다.' - 3차 유행 후 올해 상반기 전망 [80] 여왕의심복19299 21/01/21 19299 195
90106 [정치] 공매도 재개, 6월부터 '제한적 허용'으로 가닥 [41] 맥스훼인11254 21/01/21 11254 0
90105 [정치] 계속되는 4인가구 만점 통장 청약 실패. [95] Leeka14809 21/01/21 14809 0
90104 [정치] 조 바이든이 공식적으로 미 대통령에 취임했습니다. [36] 우주전쟁12232 21/01/21 12232 0
90102 [일반] 사교육의 미래는 어찌될런지 [43] 비후간휴11736 21/01/21 11736 3
90101 [정치] 방송인 김어준씨 집합금지 위반과 선거법위반 수사(with TBS) [140] 판을흔들어라18551 21/01/20 18551 0
90100 [일반] 오늘부터 우리는 불꽃의 그레이트 티쳐 열혈경파물 노래 모음 [20] 라쇼16531 21/01/20 16531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