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30 14:49:20
Name Leeka
File #1 0003065703_002_20201230121151075.jpg (60.5 KB), Download : 82
Subject [일반] 미분양 주택, 11월 기준. 17년만에 최저치 기록



역대 최저
2002년 4월 - 17,324 가구
2003년 5월 - 22,579 가구


역대 최고점
2009년 3월 - 165,641가구

가 매달 미분양 주택 수치인데요
(통계는 2000년부터 작성이 시작되었습니다.)



2020년 11월에 23,620 가구를 기록하면서 '17년 만에 최저치' 를 기록했습니다.

역사적으로는 위에 적은 기록처럼 2002년 4월,  2003년 5월에 이어서 '3번째로 낮은' 수치입니다.


참고 지표를 보면 알겠지만. 2010년대 들어서는 '아무리 낮아도 4만 가구 이상' 은 미분양이 항상 있었고
2019년 12월 기준으로도 48,000여 가구가 미분양이였습니다만

20년에 집값이 폭등하면서.  미분양된 아파트가 엄청나게 줄었습니다.


사실 유머로 소비되던.. 두산건설을 몰락시킨 일산의 그 아파트마저 10년만에 미분양을 끝냈다는 점에서..
덤으로 과거와 다른 점이라면..  향후 몇년간은 '공급이 계속 우하향' 하고 있기 때문에..   미분양 기록이 갱신될 확률이 높아질 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삼성전자
20/12/30 14:54
수정 아이콘
불과 2~3년전만 해도 서울 동작구 신축 아파트가 미분양으로 남아있던걸 목격했었죠. 고분양가 논란으로...
Grateful Days~
20/12/30 15:15
수정 아이콘
트레지움 말씀이신가용..
미뉴잇
20/12/30 15:17
수정 아이콘
아마 이수역 리가 같은데요. 당시 7억 언저리였을거에여
Grateful Days~
20/12/30 15:20
수정 아이콘
아.. 그거일수도..
삼성전자
20/12/30 15:30
수정 아이콘
둘다 아닙니다.
옥동이
20/12/30 14:54
수정 아이콘
경기가 좋다고 해야할지 .....
덴드로븀
20/12/30 15:12
수정 아이콘
코로나19는 2020년초부터 시작이었고, 저 통계도 올해 기준이죠.
실물경기나 체감경기가 좋아졌을리는 없고,
그저 우리같은 사람들의 기준보다 돈많은 사람들이 아주 많고, 그사람들이 자신의 재산을 열심히 부동산에 넣고 있다고 보는게 맞겠죠.
20/12/30 16:30
수정 아이콘
가계대출이 매년 최대치를 갱신하고 있죠. 그돈이 다 어디로 가겠습니까? 그리고 가계가 은행에서 대출 받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담보는 부동산이죠
티모대위
20/12/30 15:45
수정 아이콘
우리가 함부로 껴들기 힘들어진 시장이 흥하고 있다...
그안에 있는 사람들은 돈을 벌고 있다...
이렇게 요약을..ㅠ
20/12/30 14:56
수정 아이콘
이 지역은 아파트 공급이 확 줄어서 한때 미분양관리지역이었는데, 미분양이 급격히 해소되어 한자리수가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집값도 신축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상승하기 시작했죠.
물론 수도권 분들의 관심이 이 지역으로 쏠린 것도 집값 상승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기기괴계
20/12/30 14:58
수정 아이콘
세종 0호!
미뉴잇
20/12/30 14:58
수정 아이콘
지금 추세면 내년에는 미분양 아파트가 더욱 더 줄어들겠어요
20/12/30 15:09
수정 아이콘
거의 3~4년 동안 쉬지않고 계속 오르고 있는데
그것도 상승률 기록을 매번 경신하면서...

이렇게 계속 오르는 자산이 있을 순 없으니
빠지긴 빠질텐데
이리보고 저리봐도 빠질 이유가 없어보이긴 하네요.

흠...
비바램
20/12/30 15:13
수정 아이콘
시장 경제에서는 갈만큼 가면 내려오겠지만..
어금니와사랑니
20/12/30 15:23
수정 아이콘
KB기준으로 보면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이 M2 증가량과 큰 차이가 안납니다. 그냥 화폐 팽창으로 화폐 가치가 X가 되었다는 해석이 더 맞을거 같습니다.
브리니
20/12/30 15:17
수정 아이콘
공급 수도 있어야 하지 않나싶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051 [일반] 백신 접종의 윤리적 딜레마? - 노르웨이 요양병원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사망 논란 [41] 여왕의심복17487 21/01/17 17487 57
90050 [일반] PGR 근본에서 멀어지는 것 같은 이야기 [48] 손금불산입13521 21/01/17 13521 20
90049 [일반] 햇수로 20년이 되었네요 [39] 뚱이12124 21/01/16 12124 12
90048 [일반] 새로운 것들을 보았던 아차산(사진 有) [17] 판을흔들어라9183 21/01/16 9183 5
90047 [일반] 주임원사들이 육군 참모총장을 인격권 침해로 인권위에 진정 [139] VictoryFood16635 21/01/16 16635 8
90046 [정치] 임종석 “최재형 감사원장 도 넘어···전광훈·윤석열과 같은 냄새” [104] 미뉴잇17919 21/01/16 17919 0
90045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12] 공기청정기9020 21/01/16 9020 3
90044 [일반] . [177] 삭제됨21061 21/01/16 21061 0
90043 [일반] 인간과 지옥의 대결 오컬트물 애니 노래 모음 [21] 라쇼14995 21/01/16 14995 5
90042 [일반] 곡학조차 없고 아세만 있습니다 [287] 삭제됨22888 21/01/15 22888 72
90041 [일반] 모더나 ceo 코로나 영원히 안 사라진다 [62] 김경호16985 21/01/15 16985 2
90040 [일반] 개의 자식은 개지만 반려는 사람이더라... [41] 공기청정기12469 21/01/15 12469 10
90039 [일반] 애니송 가수 소개 the peggies [2] 라쇼9119 21/01/15 9119 0
90038 [일반] 현명한 투자자. 투자자를 위한 따끔한 충고와 따뜻한 위로. [19] Neo12328 21/01/15 12328 15
90037 [일반] 홀덤은 스포츠일까요? 아니면 도박일까요? [73] 이츠키쇼난14330 21/01/15 14330 0
90036 [정치] 특등 머저리의 재해석 [58] 맥스훼인12065 21/01/15 12065 0
90035 [일반] 비트코인 비밀번호를 잊어버려서 돈 못 찾은 사람들(뉴욕타임즈 기사 소개) [36] 껀후이16095 21/01/15 16095 3
90034 [일반] MIT 중국계 교수가 중국과의 협업 문제로 체포되었습니다 [11] boslex11574 21/01/15 11574 6
90033 [일반] 엄벌주의에 대해 생각해볼 몇가지 문제 [20] 멍멍이개7660 21/01/15 7660 11
90032 [일반] 갤럭시 버즈 프로 선발대 도착입니다. [40] Red Key11510 21/01/15 11510 0
90031 [일반] 간편식 혜자와 창렬, 창렬과 혜자를 공유해봅시다. [47] 어강됴리12092 21/01/15 12092 4
90030 [일반] 그래픽카드, 관세 이슈로 줄줄이 가격인상 [48] SAS Tony Parker 12799 21/01/15 12799 0
90028 [일반] 만들기 쉽고 먹기 나쁘지 않은 요리 팁 나눠봐요. [157] OrBef17529 21/01/14 17529 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