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30 14:49:20
Name Leeka
File #1 0003065703_002_20201230121151075.jpg (60.5 KB), Download : 64
Subject [일반] 미분양 주택, 11월 기준. 17년만에 최저치 기록



역대 최저
2002년 4월 - 17,324 가구
2003년 5월 - 22,579 가구


역대 최고점
2009년 3월 - 165,641가구

가 매달 미분양 주택 수치인데요
(통계는 2000년부터 작성이 시작되었습니다.)



2020년 11월에 23,620 가구를 기록하면서 '17년 만에 최저치' 를 기록했습니다.

역사적으로는 위에 적은 기록처럼 2002년 4월,  2003년 5월에 이어서 '3번째로 낮은' 수치입니다.


참고 지표를 보면 알겠지만. 2010년대 들어서는 '아무리 낮아도 4만 가구 이상' 은 미분양이 항상 있었고
2019년 12월 기준으로도 48,000여 가구가 미분양이였습니다만

20년에 집값이 폭등하면서.  미분양된 아파트가 엄청나게 줄었습니다.


사실 유머로 소비되던.. 두산건설을 몰락시킨 일산의 그 아파트마저 10년만에 미분양을 끝냈다는 점에서..
덤으로 과거와 다른 점이라면..  향후 몇년간은 '공급이 계속 우하향' 하고 있기 때문에..   미분양 기록이 갱신될 확률이 높아질 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삼성전자
20/12/30 14:54
수정 아이콘
불과 2~3년전만 해도 서울 동작구 신축 아파트가 미분양으로 남아있던걸 목격했었죠. 고분양가 논란으로...
Grateful Days~
20/12/30 15:15
수정 아이콘
트레지움 말씀이신가용..
미뉴잇
20/12/30 15:17
수정 아이콘
아마 이수역 리가 같은데요. 당시 7억 언저리였을거에여
Grateful Days~
20/12/30 15:20
수정 아이콘
아.. 그거일수도..
삼성전자
20/12/30 15:30
수정 아이콘
둘다 아닙니다.
옥동이
20/12/30 14:54
수정 아이콘
경기가 좋다고 해야할지 .....
덴드로븀
20/12/30 15:12
수정 아이콘
코로나19는 2020년초부터 시작이었고, 저 통계도 올해 기준이죠.
실물경기나 체감경기가 좋아졌을리는 없고,
그저 우리같은 사람들의 기준보다 돈많은 사람들이 아주 많고, 그사람들이 자신의 재산을 열심히 부동산에 넣고 있다고 보는게 맞겠죠.
20/12/30 16:30
수정 아이콘
가계대출이 매년 최대치를 갱신하고 있죠. 그돈이 다 어디로 가겠습니까? 그리고 가계가 은행에서 대출 받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담보는 부동산이죠
티모대위
20/12/30 15:45
수정 아이콘
우리가 함부로 껴들기 힘들어진 시장이 흥하고 있다...
그안에 있는 사람들은 돈을 벌고 있다...
이렇게 요약을..ㅠ
20/12/30 14:56
수정 아이콘
이 지역은 아파트 공급이 확 줄어서 한때 미분양관리지역이었는데, 미분양이 급격히 해소되어 한자리수가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집값도 신축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상승하기 시작했죠.
물론 수도권 분들의 관심이 이 지역으로 쏠린 것도 집값 상승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기기괴계
20/12/30 14:58
수정 아이콘
세종 0호!
미뉴잇
20/12/30 14:58
수정 아이콘
지금 추세면 내년에는 미분양 아파트가 더욱 더 줄어들겠어요
20/12/30 15:09
수정 아이콘
거의 3~4년 동안 쉬지않고 계속 오르고 있는데
그것도 상승률 기록을 매번 경신하면서...

이렇게 계속 오르는 자산이 있을 순 없으니
빠지긴 빠질텐데
이리보고 저리봐도 빠질 이유가 없어보이긴 하네요.

흠...
비바램
20/12/30 15:13
수정 아이콘
시장 경제에서는 갈만큼 가면 내려오겠지만..
어금니와사랑니
20/12/30 15:23
수정 아이콘
KB기준으로 보면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이 M2 증가량과 큰 차이가 안납니다. 그냥 화폐 팽창으로 화폐 가치가 X가 되었다는 해석이 더 맞을거 같습니다.
브리니
20/12/30 15:17
수정 아이콘
공급 수도 있어야 하지 않나싶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105 [정치] 계속되는 4인가구 만점 통장 청약 실패. [95] Leeka13380 21/01/21 13380 0
90095 [정치] 2021년.. 법인 양도세 중과로 인한 물량의 효과는? [16] Leeka7686 21/01/20 7686 0
90078 [정치] 임대차 3법(실제론 2법만 먼저) 의 나비효과는 어땠나? [33] Leeka9200 21/01/19 9200 0
90071 [일반] 12년간 공사한 동부간선도로 개통 결과 [89] Leeka17468 21/01/18 17468 4
90020 [일반] 에어팟 맥스 사용 1일차 후기 [27] Leeka9797 21/01/14 9797 0
89985 [정치] 문재인 정부 4년간, 예상보다 더 적었던 주택 공급 [62] Leeka11815 21/01/12 11815 0
89983 [정치] 동부구치소 형·구속집행정지 된 확진자, 다시 동부구치소 수용 [72] Leeka10980 21/01/12 10980 0
89927 [일반] 반포레미안원베일리 분양가가 평당 5668만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47] Leeka11307 21/01/08 11307 2
89896 [정치] 홍남기, 4억 떨어졌다는 '반포자이' 전용 84㎡…30억 신고가 경신 [39] Leeka11571 21/01/07 11571 0
89837 [정치] 전국 오피스텔, 전월셋값 큰 폭으로 동반 상승 [39] Leeka10402 21/01/04 10402 0
89824 [정치] 서울 아파트값, 다주택자가 적어질수록 더 많이 올랐다. [47] Leeka12059 21/01/04 12059 0
89813 [정치] 공실률 0%로 집계되는 부동산 통계의 문제점 [24] Leeka8496 21/01/03 8496 0
89781 [정치] 5인이상 금지인데, 황운하 국회의원. 6명이서 회식 [144] Leeka16928 21/01/02 16928 0
89724 [정치] 서울시 6억이하 아파트, 6개월 사이 30%가 사라졌다. [69] Leeka10176 20/12/30 10176 0
89713 [일반] 미분양 주택, 11월 기준. 17년만에 최저치 기록 [16] Leeka7925 20/12/30 7925 1
89698 [정치] 문재인대통령 : 변창흠 비판받을만 해, 집값 안정시켜달라 [101] Leeka14141 20/12/29 14141 0
89661 [정치] 변창흠 국토부장관 청문보고서가 채택되었습니다. [128] Leeka12766 20/12/28 12766 0
89644 [일반] 정부 통계 기준. 올해 집값이 가장 오른 지역들은? [36] Leeka9841 20/12/27 9841 2
89627 [일반]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1/4일부터 접종 시작, 일본 외국인 입국 금지 [46] Leeka11549 20/12/27 11549 2
89603 [일반] 내년부터 오르는 부동산 관련 세금/제한 조건 정리 [69] Leeka10499 20/12/26 10499 9
89598 [일반] 보금자리론 기본 금리가 1월에 추가 인상됩니다. [16] Leeka9001 20/12/26 9001 5
89575 [정치] 올해 아파트 증여수, 압도적인 차이로 역대 1위 기록 [44] Leeka9794 20/12/25 9794 0
89554 [정치] 주간 아파트 매매가, 전세가 상승률 역대 1위와 동률 기록 [21] Leeka7307 20/12/24 730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