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26 01:17:47
Name Leeka
File #1 0004473384_001_20201226010714514.jpg (13.8 KB), Download : 84
Subject [일반] 보금자리론 기본 금리가 1월에 추가 인상됩니다. (수정됨)


-> 보금자리론 기본 금리 변화.
(내년 1월부터는,  10년 상환일 경우 2.25% ~ 30년 상환이면 2.60% 의 기본 금리가 적용됩니다.)


보금자리론의 경우 10년~30년 상환 중 선택할 수 있는데요

10년 상환이 기본 금리가 가장 낮으며, 30년 상환이 기본 금리가 가장 높습니다.
현실에선 거의 다 30년을 선택하기 때문에.  30년 금리 기준으로

11월 -> 2.35%
12월 -> 2.50%
1월 -> 2.60%

의 30년 기본 금리가 나오게 됩니다.


물론! 보금자리론의 국민 콤보인
아낌e보금자리론 (인터넷으로 신청 시 금리 0.1% 인하)
+ 복주머니 쿠폰 (모바일 앱 설치 후 쿠폰 등록시 0.02% 인하) 를 통해 0.12%는 상시로 낮출 수 있는 만큼. 이걸 적용하게 되면

11월 -> 2.23%
12월 -> 2.38%
1월 -> 2.48%

의 30년 고정 금리가 나오게 됩니다.

(추가 우대를 받을 수 있는 항목이 있다면.. 금리를 더 내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 팁이라면
'보금자리론의 대출 금리는' 대출 신청자를 최대한 배려해서 정해지는데요.

대출 신청일~대출 승인일'  사이의 금리 중 '가장 낮은 금리' 로 적용
됩니다.

ex) 11월에 대출 신청 해서, 1월에 승인이 될 경우.  2.23%가 적용됩니다.
ex2) 12월에 대출 신청 해서, 2월에 승인이 될 경우.  12월과 2월 중. 가장 낮은 금리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보금자리론으로 조만간 주택 매매 예정이 있으신 분들은
'일단 빠르게 신청 신청'.. 먼저 넣으시길 추천 드립니다.

신청일로부터 '20일 이후~70일 이내' 에 대출 실행일이 정해지면 되는 만큼. 참고하셔서 금리 절약을 해보세요. 


계산 편의상 보금자리론의 최대 한도인 '3억'을 빌렸을 경우. 금리가 0.1% 오르면 한달에 25,000원의 이자를 추가로 납부하게 됩니다.
(실제로는 매달 원금을 갚아나가기 때문에..  30년 내내 매달 25,000원을 더 내진 않고 서서히 줄어듭니다.) 




보금자리론은 '1인가구 기준'
만 30세 이상 + 연 소득 7천 이하 + 구입 주택 6억 이하라면

체증식(만 40세 이하만) + 30년 고정 금리 + LTV 70%(최대 3억 제한) + 고정금리
4가지를 다 적용해주는 마지막 카드라서..

(고정금리의 경우. 3년뒤에 금리가 더 내려가면 주담대 갈아타기를 하면 되서
주담대의 경우엔 왠만하면 고정금리가 무조건 좋습니다...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인애플빵
20/12/26 01:22
수정 아이콘
코로나 시국이 끝날때 까지는 금리 인하가 없을꺼라는 대다수 예상중인데 특정 분야긴 하지만, 보금자리론에서는 금리를 오히려 올리는군요
이렇게 되면 주식을 사야.....
유리한
20/12/26 01:23
수정 아이콘
85m2 제한만 없으면 진짜 좋은데..
20/12/26 01: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금자리론 기본형은 제한 없는데요...

85 제한이 붙는 경우는
1. 우대금리 적용
한부모가구 · 장애인가구 · 다문화가구 · 다자녀가구 (각 항목별 0.4%p), 신혼가구(0.2%p) 금리우대 가능 (우대금리 중 택 2, 최대 0.8%p를 한도로 중복적용 가능)

2. 신혼부부로 연 소득 제한을 7천이 아니라 8,500만~1억으로 올릴때

2가지 경우에 한해서만 적용되고
본문에 적은 기본 옵션 (연 소득 7천 이하에 우대금리 안받음. ) 으로 할땐 85 제한 없습니다..
유리한
20/12/26 01:54
수정 아이콘
앗 그렇네요 크크 감사합니다.
아직 혼인신고 안했는데 와이프 단독명의로 6억 미만 아파트를 ltv 풀로 3억 한도 가깝게 뽑고 남은건 제 신용대출로 영끌하는게 가능한거죠?
둘이 합산하면 부부합산 소득이 오바되는지라..
20/12/26 02:27
수정 아이콘
다른건 다 이해되는 부분인데 다자녀가구가 85m2 제한 되는 건 좀 아이러니 하네요. 우대금리에 대한 억제기라면 그나마 이해되는 부분이긴 한데..
20/12/26 10:41
수정 아이콘
우대금리에 대한 억제기는 맞습니다.

대신
* 미성년 자녀 3명 이상인 다자녀 가구의 경우 면적제한을 받지 않음
가 있어서.. 실제론 '2자녀' 일때만 면적제한에 걸리긴 합니다.
카와이캡틴
20/12/26 01:31
수정 아이콘
내년 7월말에 대출 받아야 되는데.... 오른 금리로 받게 생겼네요 ㅠㅠ
20/12/26 02:23
수정 아이콘
우대금리 하나도 못 받는데 기본금리라도 제일 쌀 때 받고 들어와서 다행이다 싶어요.
금리가 오르는 이유는 정부에서 대출 억제하는 영향이 제일 크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기준금리가 낮은데도 왜 대출금리가 올라요? -> 대출수요가 많아지면 그렇게 되는 부분도 있다고 하더군요.
AttackDDang
20/12/26 04:05
수정 아이콘
거치가 아니고 상환이 맞습니다. 이자만 갚는프로그램은 이제 보금자리론에는 존재하지않습니다.
20/12/26 10:42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알라딘
20/12/26 07:33
수정 아이콘
허엇..역으로 오르는군요. 0.1%만 올라도 2억기준 연 30만원은 차이나던데.
태바리
20/12/26 09:17
수정 아이콘
보금자리론 3년 되자마자 11월에 금리 낮은 곳으로 갈아탄게 정말 다행이네요.
이민들레
20/12/26 09:50
수정 아이콘
그놈의 소득제한..ㅠ
Equalright
20/12/26 10:37
수정 아이콘
소득제한이 아니라 건물 금액을 늘려야됨..
Rumpelschu
20/12/26 11:30
수정 아이콘
1인 7천 2인 8.5천이면 결혼하지 말고 살란거죠...
소이밀크러버
20/12/26 11:36
수정 아이콘
아 망했네요. 잔금일 5월로 계약했는데 에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949 [일반] 대화면 타블렛 사용후기들(서피스, 아이패드프로, 갤럭시탭까지) [86] 나주꿀17974 21/01/09 17974 4
89948 [정치] 국민의힘 김웅 의원 필리버스터 영상 요약 [63] sakura19188 21/01/09 19188 0
89947 [일반] 자동차세 연납 신청·접수…9.15% 할인 [16] 피쟐러11442 21/01/09 11442 6
89946 [일반] 안 팔리던 중국 비행기 이야기 [28] 피알엘11550 21/01/09 11550 2
89945 [일반] 한강이 꽁꽁 [20] 及時雨9258 21/01/09 9258 9
89944 [정치] 한 국회의원의 백신 인식에 대한 실망 [88] 여왕의심복18789 21/01/09 18789 0
89941 [일반] 유료화 임박 웹툰 추천-극야 [23] lasd24112812 21/01/09 12812 3
89940 [일반] 결혼을 앞두고 머리가 터져 버릴것 같습니다. 조언 좀 부탁 드립니다 [130] 관상송21483 21/01/09 21483 6
89939 [정치] 중대재해기업처벌법에서 뺄 단어는 무엇이었을까 [43] 일간베스트10776 21/01/09 10776 0
89938 [일반] 한국(KOREA)무술에 대한 생각(8) [14] 성상우7968 21/01/09 7968 3
89937 [일반] [팝송] 제가 생각하는 2020 최고의 앨범 Best 15 [10] 김치찌개10454 21/01/09 10454 11
89936 [일반] [성경이야기]모세의 실패와 기회를 놓친 이집트 사람들 [8] BK_Zju12606 21/01/08 12606 9
89934 [일반] 날씨가 무척 춥네요. [22] 만우9511 21/01/08 9511 1
89933 [일반] 추운데 예쁜 하늘 [6] 及時雨7394 21/01/08 7394 7
89932 [일반] 번역]인스타그램은 당신의 남성성을 거세하는가? [44] 나주꿀17293 21/01/08 17293 18
89931 [일반] 코스피 3000 기념 재미로 보는 월간 차트 분석 [31] 가라한10078 21/01/08 10078 2
89930 [일반] 올 한 해 주식시장은 어떻게 될까요? (+주식 예탁금 추세) [62] 렌야12391 21/01/08 12391 0
89928 [정치] 한 국회의원의 글에 대한 아쉬움 [146] 여왕의심복19819 21/01/08 19819 0
89927 [일반] 반포레미안원베일리 분양가가 평당 5668만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47] Leeka11933 21/01/08 11933 2
89926 [일반] 왜 부끄러움은 개신교인들의 몫인가 - <뉴스앤조이> 기사 [82] bifrost11563 21/01/08 11563 12
89925 [정치] 미국 공화당 지지자들의 우경화 [39] 추천9461 21/01/08 9461 0
89924 [일반] 2021년을 살아가는 F-35 소소한 이야기 [29] 피알엘8962 21/01/08 8962 14
89923 [일반] 당신의 식당은 안녕하십니까 [19] 숨결8774 21/01/08 8774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