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2/21 01:02:22
Name Leeka
Subject [일반] LH 공실임대 주택 14,229가구. 전세형 임대로 공급 & SH 공실 임대 5,556가구 조건 상향

1. LH의 공실 임대 주택 14,229가구 (경기·인천 4,554가구, 지방 9,745가구) 가
소득조건 제한 없이, '전세형 임대로' 공급된다고 합니다.

14,229가구의 구체적인 위치와 평형, 임대료는
https://apply.lh.or.kr
에서 자신이 가고 싶은 지역등을 중심으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2. SH의 공실 임대 주택 5,586가구의 경우. 일단 이번달까지는 한번 더 기존 조건으로 모집하며
그래도 모집이 되지 않을 경우. 내년부터는 '소득제한을 풀고 모집한다고 합니다'



입주 기간은 기본 4년, 연장 2년 해서 최대 6년까지 입주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전세형 임대란? [시중 전세가의 80% 수준인 임대료를 최대 80%까지 보증금으로 돌려 월 임대료를 최소화해 전세와 유사하게 공급하는 공공임대]
입니다.


단, '소득조건 제한' 이 없어진 상태로 모집하는 것일 뿐
'경쟁 발생 시에는 소득이 낮은 사람 우선이며'
'임대료의 경우에도 소득이 높으면 낮은 사람보다는 더 지불' 해야 합니다.



전체적으로는 '아직도 안나간 임대주택'.  이면 뭔가 이유가 있을거라고 생각되긴 합니다만
필요하신 분들은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항아저씨
20/12/21 01:08
수정 아이콘
보증금 대출은 개인적으로 하면 되는건가요? 주택담보대출은 안되고 신용으로만 가능한 입주조건인가요?
20/12/21 01:11
수정 아이콘
주택담보대출이라는건.. '집을 살때' 받는거지.. 임대할때 받는게 아닙니다..

전세형 임대는 전세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12/21 01:15
수정 아이콘
6년이 맥스인게 아쉽네요
20/12/21 01: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항상 좋은 부동산 정보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입주 신청은 내년 1월 18일부터 20일까지 사흘간 진행된다고 합니다.
봄날엔
20/12/21 01:21
수정 아이콘
모든 부동산 정책이 자산으로 가르는 게 아니라 소득으로 가르는 거라 아쉽네요.
금수저 저소득층만 이득 보는 정책들
봄날엔
20/12/21 01:23
수정 아이콘
이번 정부 들어 고소득이든 저소득이든 투자하거나 로또 안 되면 집 못사는 건 똑같은데 왜 차별하는지;;
20/12/21 07:22
수정 아이콘
금수저+저소득+임대주택 거주
하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거의 유니콘급일 거 같은데요.
봄날엔
20/12/21 08:54
수정 아이콘
굳이 그럴 필요가 없으니 그러지 않겠지만
그러는게 가능하냐 불가능하냐 가 더 중요한 거 같습니다.
무무보리둥둥아빠
20/12/21 01:22
수정 아이콘
2020년동안 1년 내내 신혼부부 매입임대 정시 수시로 모집 받고서 아.직.도 안.나.간 매입임대 물건들입니다....
안나간건 다 이유가 있죠;;; 아예 새로운 물건이 리스트업 되지 않는 이상은 크게 좋은 물건은 없으실거에요
20/12/21 01:24
수정 아이콘
저도 그럴 것 같은데 그런 김에 보증금/월차임이라도 좀 깎아주면 좋겠네요
무무보리둥둥아빠
20/12/21 01:27
수정 아이콘
네 그런거라도 있으면 진짜 없던 메리트도 생기겠죠,
시중 전세가의 80% 수준의 보증금+월임대료 책정이라는건데
대체 근처 어디 집의 전셋가의 80% 수준으로 잡아서 저 금액이 나온건지도 설명이 있으면 사람들 결정하기도 참 좋을텐데 말이에요.
20/12/21 01:27
수정 아이콘
근데 저도 다시 생각해보니 소득기준 풀어주는 대신 보증금/월차임 깎는 일은 없겠군요 크크
저도 방금 내년에 다닐 직장 근처의 지방 임대주택 봤는데 위치가 안 좋아서 바로 마음 접었습니다
무무보리둥둥아빠
20/12/21 01:30
수정 아이콘
사실 이미 저소득층 기준 안에 들어와 있다거나 신혼부부시라면 그냥 내년 1월에 있을 신혼부부 매입임대를 노리는게 훨~~씬 낫습니다 (시중 70%수준)
이건 위의 조건에 해당 안되시는 분들에게 임대한다는건데..... 위의 조건에 해당이 안되는데 과연 들어가려는 해당사항의 사람이 있을지가 먼저 의문이네요
공항아저씨
20/12/21 01:34
수정 아이콘
보증금이 비싸다..
라프텔
20/12/21 01:56
수정 아이콘
최대 6년이라니 별로네요.
오늘하루맑음
20/12/21 02:10
수정 아이콘
공실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공공임대10년짜리 아파트 거주 중인데 모두 50.0m2 이상이라 공실이 없더군여
다니 세바요스
20/12/21 07:41
수정 아이콘
최대 6년이라.. 메리트가 하나도 없는데 이건
이민들레
20/12/21 08:25
수정 아이콘
소득제한을 왜자꾸 넣는건지..
하우두유두
20/12/21 08:3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일단 공급이니 환영합니다. 이제 기한내에 조건걸고 모집하고 차츰 조건완화해서 모집하는식으로 경매유찰처럼 모집했으면 좋겠어요.
20/12/21 09:18
수정 아이콘
정말 말씀하신 대로 모든 임대주택에 일괄적으로 단계별로 기간을 정해서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12/21 09: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 매입임대만 전세형으로 돌리는 건 아니고 건설임대(아파트) 종류도 시행할 겁니다. 영구는 몇 년씩 줄 서서 들어가는 곳이라 공가가 많이는 없을 거고, 국민은 주로 교통이 불편해서 비인기였던 단지들이 나올 거고(인기단지는 2~3년씩 기다렸다가 들어가는 상황이니 이번 전세형에 해당 없을 것입니다), 행복주택은 주로 청년/대학생용의 면적 좁은 세대에 공가가 좀 있을 것입니다.
- 장기공가의 사유는 유형/지역마다 꽤 다른데, 매입임대야 그야말로 건물 단위로 환경이 다 다르니 개별적으로 확인해볼 수밖에 없고(이건 다른 분들 말씀대로 '장기공가에는 이유가 있다'는 생각으로 침착하게 살펴보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건설임대들은 시 단위 정도만 되어도 면적이 좁은 세대 또는 교통이 상대적으로 불편함(도시철도에서 멀고 버스노선이 많지 않음) 등 그냥 뻔한 이유인 경우가 많습니다. 자차 있으면 별 문제 없는 괜찮은 곳도 꽤 있어요.
- 거시적으로 보면 현 상황에 대한 대책으로서 내놓은 것을 수치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일방적이고 독단적인 무리수이자 오래도록 남을 혼란인데, 실거주가 필요한 개인 입장에서는 꽤 좋은 기회라 봅니다. 자차가 있으면 선택권도 꽤 넓어질 거고요. 기왕 벌어진 일이니 임대주택에 대한 편견을 없애는데 도움이나 되었으면 좋겠네요.
김연아
20/12/21 10:00
수정 아이콘
경쟁 시 저소득 우선인건 이해하는데, 왜 임대료까지 더 내야하는 거죠?;;;
코코볼
20/12/21 10:34
수정 아이콘
이거 서울은 없는거죠?
모나크모나크
20/12/21 12:05
수정 아이콘
소득 높으면 임대료 더 내는 건 무슨 논리죠?? 소득이 높으면 집에서 똥을 더 싸는 것도 아니고... 이미 소득세 더 많이내는 걸로 끝 아닌가 싶은데...
20/12/21 16:17
수정 아이콘
이 문제는 돈을 더 내는 게 아니라 보조해주는 금액이 줄어드는 것으로 봐야합니다. 임대주택이라고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게 아니기 때문에 동일지역 동일면적 민간임대차 시세보다 저렴한 금액만큼이 국고로 '보조'되는 셈입니다. 따라서 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의 몇 퍼센트에 해당되는지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서 저소득자에게는 더 많이 보조(=임대료가 민간보다 많이 저렴해짐)하고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득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그보다 덜 보조(=임대료가 민간보다 조금 저렴해짐)하는 식…일 겁니다. 저도 공고문을 대충 읽어본 거라 정확하진 않은데 원리적으로는 대충 그런 식이겠죠. 소득구간에 따라 임대조건이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는 기존에도 있긴 했습니다. 제 추측으로는 아마 기존 임대주택 임차인에 대한 역차별을 막기 위해 구간적용 조건을 붙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모나크모나크
20/12/21 16:44
수정 아이콘
좀 더 버는 사람이 들어와서 살 수 있게 문은 열어놓되 임대료를 좀 더 받아서 그 유리함을 조금 없애겠다 이런 건가보네요. 복지측면에서 보면 틀린 말이 아니군요. 뭔가 좀 마음이 편안하진 않은데;; 수긍은 가네요. 걍 제가 좀 더 못된 인간이 됐나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511 [정치] (짧은 생각) 정치인들은 왜 노장이 많을까요 [32] 올해는다르다8853 20/12/23 8853 0
89510 [일반] 외진으로 변경한 1개월 [33] 한국화약주식회사7593 20/12/23 7593 18
89509 [정치] 정경심 오늘 1심 선고...법원의 첫 결론은?(선고결과 추가) [316] Cafe_Seokguram22405 20/12/23 22405 0
89508 [일반] <원더우먼 1984> 후기 - 약 스포? [22] aDayInTheLife7578 20/12/23 7578 2
89507 [정치] K방역 성공 경험에 얽매이면 지금 유행 못 막는다 [36] AndroidKara8635 20/12/23 8635 0
89506 [정치] K-방역의 현실? 코로나 감염된 공무원, 징계성 직위해제 [91] Rumpelschu13882 20/12/23 13882 0
89505 [정치] 정은경 청장을 해임하자는 국민의 힘 의원 [217] 나주꿀17332 20/12/23 17332 0
89504 [정치] [단상] 광화문 시대를 열겠다는 문재인은 어디에 있나? [135] aurelius13824 20/12/23 13824 0
89502 [정치] 백신·치료제 확보도 못했는데…이인영 또 "北과 나누고싶다" [116] VictoryFood13965 20/12/23 13965 0
89501 [정치] 나경원 게임끝...이 아닌 게임 시작이 될 문서가 공개됐네요. [133] PUM14384 20/12/23 14384 0
89500 [일반] 소개팅 까였는데 현타오네요... [58] 전설의황제17567 20/12/23 17567 19
89499 [정치] 골든타임 놓친 백신TF의 속사정 [167] 맹물18746 20/12/23 18746 0
89498 [정치] 나경원 소견서를 둘러싼 논란, 표창장 수준의 검증이 필요할까? [128] 이카루스8811430 20/12/23 11430 0
89497 [일반] (약스포) 스위트홈을 굳이 보기로 할 때 유의할 점. [36] OrBef11845 20/12/23 11845 2
89496 [일반] 서양인 중국사학자의 삼국지인물사전 제갈량 항목 [6] 현아추8198 20/12/23 8198 2
89495 [일반] 일본은 언제부터, 얼마나 백신을 확보했나 [44] Dresden15997 20/12/23 15997 15
89494 [일반] 영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 새 변종 (발췌 번역) [10] 아난8774 20/12/23 8774 4
89493 [일반] 백신도입 일정이 보도되었습니다. [128] 아케이드16984 20/12/23 16984 9
89492 [정치] 靑"문대통령, 4월부터 백신확보 지시, 백신정치화 중단하라" [175] 니가가라하와��16884 20/12/23 16884 0
89491 [일반] [성경이야기]지도자 훈련을 받는 요셉 [9] BK_Zju10507 20/12/22 10507 21
89490 [정치] 트럼프, 백악관 퇴거 거부… 별도 ‘집권 2기’ 취임식하나 [25] 블랙번 록9416 20/12/22 9416 0
89489 [일반] 원더우먼1984 내일 개봉(예고편 모음) [7] 빵pro점쟁이6991 20/12/22 6991 2
89488 [정치] 금일 백신 관련 청와대 및 여당 측 주요 발언 [112] aurelius16105 20/12/22 1610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