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1/14 14:40:14
Name 아난
File #1 13xp_apology_photo2_articleLarge.jpg (63.2 KB), Download : 92
Link #1 뉴욕 타임스
Subject [일반] 필라델피파 시의회의 사과 (수정됨)



필라델피아 시의회가 1985년 5월 13일 무브 분리주의 그룹이 점거한 연립주택 지붕에 필라델피아 경찰이 즉석 폭탄을 투하한 것을 사과했다고 합니다. 지붕에 설치되어 있는 벙커를 파괴할 목적으로 투하된 이 폭탄은 벙커는 파괴못하고 화재를 일으켰고 그 화재로 인해 아이 5명을 포함해 11명이 사망했고 61가구의 주택이 전소되었습니다. 시장을 비롯한, 이 폭탄 투하와 관련된 당시 필라델피아 고위 공무원들은 재판에서 도덕적 비난을 받을 만하고 화재를 즉각 진압하고자 하지 않은 등 무능하고 비열했지만 죄를 저지르지는 않았다는 판결을 받았습니다. 살해를 노려 폭탄투하를 한것이 아니었다는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불이 번지고 있음에도 피신하지 않은 사망자들 자신의 행동도 그 사망에 일조했다고 합니다. 무브는 '자연으로 돌아가자'와 '아메리카를 원주민에게 돌려주어야 한다'는 기치를 내건 운동조직이라고 합니다. 점거 동안 주민들에게 폭언과 위협을 일삼고 오물로 동네를 더럽히고 확성기로 밤새 강연을 틀어대는 민폐를 끼쳤고 참다못한 주민들이 신고를 해 경찰이 출동했습니다. 경찰에 총격을 가하기도 했는데, 경찰은 1시간도 안 되어 여자들과 아이들도 있는 것으로 알려진 건물에 1만여발의 대응사격을 하고도 계속 총격을 받았고 건물 진입에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헬리콥터를 이용한 폭탄 투하는 대치가 하루 온종일 이어진 끝에 내려진 결정입니다. 해동 동네 주민들 대다수는 그때나 지금이나 흑인들인듯 합니다.

35 Years After MOVE Bombing That Killed 11, Philadelphia Apologizes

A police helicopter dropped an explosive charge onto the roof of a rowhouse during an armed standoff in 1985. The resultant fire destroyed 61 homes in a West Philadelphia neighborhood.

https://www.nytimes.com/2020/11/13/us/philadelphia-bombing-apology-move.html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erralunar
20/11/14 14:59
수정 아이콘
상황이 뭐 어째야 자국내 민간주택에 폭탄투하를 결정하게 되는거죠..그것도 80년대에
20/11/14 15: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 폭탄이란 것이 정확히 어떤 종류인지 모르겠는데, 완제품이 아니라 플라스틱 폭탄에 들어가는 녀석을 일부? 섞어 즉흥적으로 만든 것이라 합니다. 그리고 벙커를 폭파하려고 투하했다는데, 벙커라는 것은 사람이 들어가 피신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데, 비어있는 것을 확인하고 투하했다는 것인지.. 올해 일어난 일이라면 적어도 일방적에 가까운 무죄판결을 받지는 않았을것 같네요.
terralunar
20/11/14 15:35
수정 아이콘
화재로 어린이도 죽었다는 것 보면 내부 인원 파악 실패든 혹은 인근 주민 대피 실패든 문제가 없었다고 말할수가 도저히 없겠네요. 그런 급조폭탄이면 폭발력 계산도 힘들었을텐데 그걸 실전에 투입한 것도 문제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910 [정치] 출제자 의도를 분석해야해! [98] 아이요12245 20/11/25 12245 0
88909 [정치] 아청법 개정안 관련 유정주 의원실 입장 관련 [53] laugh11720 20/11/25 11720 0
88908 [정치] 서울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이 미달났습니다. [51] Leeka13825 20/11/25 13825 0
88906 [일반] [시사] 신임 미국 국무장관은 중국을 어떻게 보고 있나? [3] aurelius9196 20/11/25 9196 10
88905 [정치] 내 정치적 식견은 합리적인가? 궁금하면 동료를 돌아보라 [79] 이카루스889941 20/11/25 9941 0
88904 [일반] 네이버 시리즈 연재 무협 간단 리뷰. [35] Getback17203 20/11/25 17203 8
88903 [정치] 아무리 좋은 얘기도 때와 장소가 있는데 말이죠... [48] likepa11879 20/11/25 11879 0
88902 [일반] 컴퓨터 새로 맞췄습니다. [23] 불독맨션7547 20/11/25 7547 1
88901 [정치] 윤석열 법사위 온다니까 산회? 독재모드 On. [173] 플라15926 20/11/25 15926 0
88900 [일반] 약국에게 공적마스크 이후 세금 지원이 이루어 질까? [46] 된장찌개11977 20/11/25 11977 8
88899 [일반] [경제] 위기의 일본 [151] levi713992 20/11/25 13992 0
88898 [정치] [경향단독]윤 총장 비위혐의로 언급한 '울산·조국 사건 대검 보고서'에 ‘물의야기 법관’ 내용 없다 [107] 노르웨이고등어13028 20/11/25 13028 0
88897 [일반] COVID-19 치료제는 본질적인 해결방법이 아니다. [52] 여왕의심복14965 20/11/25 14965 72
88896 [정치] 주택가격전망 CSI 지수 역대 최고치 기록. [102] Leeka12249 20/11/25 12249 0
88895 [정치] 진선미 의원 임대주택 발언이 너무 얼척없네요. [194] 스물다섯대째뺨16372 20/11/25 16372 0
88894 [정치] 아청법에 출판물을 포함하자는 개정안이 발의되었습니다 [228] 크레토스20094 20/11/24 20094 0
88893 [일반] 정책 이야기: 왜 이런 정책이 만들어지는걸까? [7] 댄디팬10158 20/11/24 10158 9
88892 [일반] 공무원 시험의 과목을 바꿀 수는 없을까? [102] 메디락스13460 20/11/24 13460 13
88890 [정치] [전문] 추미애 법무장관, 검찰총장 직무정지 및 징계청구 [421] 이카루스8829772 20/11/24 29772 0
88889 [일반] 브라질리언 왁싱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들? [48] Brasileiro27056 20/11/24 27056 36
88888 [일반]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인도태평양 전략 구호 [21] aurelius13530 20/11/24 13530 10
88887 [정치] 바이든 호의 첫 재무장관은 결국 자넷 옐런이네요. [59] chilling12644 20/11/24 12644 0
88886 [일반] 인류의 적과 맞서 싸우는 애니 노래 모음 [55] 라쇼12895 20/11/24 12895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