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1/01 08:02:05
Name jozefow
Subject [일반] 2, 4, 6 이야기
간단한 게임으로 얘기를 시작해 봅시다. 숫자 세 개를 차례로 말할테니 그것들이 어떤 배열 규칙을 가지고 있는지 한 번 맞춰 보세요. 2, 4, 6 이제 당신이 이것과는 다른 숫자 배열을 말하면 그게 맞고 틀린 지를 말해줄텐데, 가령 4, 6, 8 이면 오케이, 8, 6, 4 이면 땡. 기회는 4번. 사람들은 아마도 시시하다는 듯이 6, 8, 10. 8, 10, 12. 10, 12, 14 등을 언급한 후, '짝수를 순서대로' 를 외칠 것입니다.

하지만 땡! 답은 '숫자를 점점 크게 하기' 입니다. 사람들은 썰렁한 테스트라 흥분하겠지만, 정작 문제는 다른 곳에 있습니다. 4, 6, 8 이 통과된 후 이 가설을 검증(정확한 표현으로는 반증)하기 위해 4, 6, 7. 4, 5, 8 등의 숫자를 시험해야 하지만 실제 그렇게 하는 이들은 드뭅니다. 사람들은 그저 4번의 기회를 자신의 가설을 입증하는 데만 모두 써버립니다.

그래서 멍청한 당신. 무릎꿇고 반성하라는 얘기가 아닙니다. 오히려 답을 틀린 이가 제정신을 갖춘 사람이며, 맞춘 이는 무언가 이상한 인종일 수 있습니다. 한 번 우리 일상생활을 둘러보세요. 당신은 도서관이나 PC방의 의자에 앉을 때 혹시 이 의자가 그저 내 눈에만 비치는 환상일까 염려되어 항상 손으로 만져본 후 거기에 앉는 이를 어떻게 생각하나요? 혹은 물체는 알려진 바와 다르게 위로도 솟을 수 있다는 신념을 지니고 빌딩을 오르내리며 공을 떨어뜨려 보는 이는 어떤가요?

요는 (흔히 지적되는 바와 달리) 우리가 지닌 소위 말하는 편견, 고정관념이라는 것이 우리 개체에게 큰 이익이 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어쩌면 (그 이득에 비하면) 그로 인해 치뤄야할 대가는 미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항상 사물의 양면을 보자는 구호는 언제나 구호로 끝나는 게 아닐까요?

사람들이 지금처럼 계속 의자에 고민없이 앉고, 동시에 2, 4, 6 테스트도 쉬이 패스하게 하는 방법은 뭘까요? 잘 모르겠습니다. 여하튼 저는 제 망상속에서 정당 하나를 창당한다면, 매 회의 때마다 전체 의견이 수렴되는 방향과 반대로 딴지를 거는 안티(?)맨 직책을 여럿 만들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토리북
20/11/01 09:50
수정 아이콘
무슨 얘기하시는지는 알겠지만 예제가 좀...
6810 다음으로 81012, 101214 테스트하는 건 수리탐구 능력이 부족한 거 아닐까요;
20/11/01 12:08
수정 아이콘
당연히 6, 8, 10 다음으로 반증의 사례를 시험할 거 같은데, 사람들이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제가 이 예시를 본게 아마 캐롤 타브리스의 '여성과 남성이 다르지도 똑같지도 않은 이유(The mismeasure of Woman, 스테판 제이 굴드 책 제목을 패러디한 듯) 에서였는데요. 꽤 유명한 심리학 실험이었다고 적혀있었습니다.

어쨌건 숫자 예시는 님 말씀처럼 조악했던 거 같구요. 아래 아난 님 글과 댓글을 읽으면서 '온라인에서 토론이란 역시 그냥 자기 입장 내세우면서 자기만족하는 거구나' 라는 느낌이 들어 이 글을 적어봤습니다. 평소 중국 위구르 문제 관련해서 제가 가진 생각은 다른 분들과 다르지않지만, 그래서 정보? 로서 가치는 아난님의 글이 수십배 높은 거 같은데, 비아냥까지 해야하나 싶더라구요.
기술적트레이더
20/11/01 13:40
수정 아이콘
테스트에 대한 답변의 사례가 통계자료로 나온건가요?
자신의 가설 확인을 위해 기회를 쓰는건 당연한거고 위배되는 조건도 시험해볼 것 같은데...
그리고 테스트가 수리학적 문제인데 저런 답을 내놓고 좀 더 다양한 답을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해서 멍청하다고 하는데 문제가 멍청이같단 생각은 안해보셨는지...
20/11/01 13:56
수정 아이콘
테스트에 대한 답변의 사례가 통계자료로 나온건가요 => 논문이니 그렇겠죠. 저는 저 책에서 이런 연구논문이 있었다 는 대목을 읽었던 거구요.

자신의 가설 확인을 위해 기회를 쓰는건 당연한거고 => 처음에 아 이건 '짝수를 순서대로' 라는 가설이 떠올랐으니 처음에 6, 8, 10 이라든지 10, 12, 14 라든지 를 부르는 건 당연하죠. 그리고 그 다음 수순으로 위배되는 조건도 시험해볼 거 같은데, 대부분 사람들이 그렇게 안 하더라는 내용이었습니다.

테스트가 수리학적.. => 저는 저 문제를 못 맞춘 이들이 멍청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본문을 제가 좀 이상하게 적었나 봅니다. 그리고 지금 끄적이고 보니 문제가 좀 조악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제 예전 기억으로 옮긴 거라, 제대로 적은 건지도 아리송하네요.
F.Nietzsche
20/11/01 13:59
수정 아이콘
그런 기법이 이미 있죠. devil's advocate라고...
20/11/01 14:18
수정 아이콘
문구는 가끔 들어봤는데 그 의미는 부끄럽게도 이제 확실히 알게 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751 [일반] 고요한 택시 이용기 [14] 퀘이샤12797 20/11/13 12797 19
88750 [일반] 8촌이내의 근친혼이 위헌인가에대해 헌재에 올라왔네요. [289] 키토19522 20/11/13 19522 0
88749 [일반] 그럼에도, 남겨진 자들을 위한 연가 [2] 침착해7594 20/11/12 7594 5
88747 [일반] [미국] 트럼프 국방부 숙청에 대한 주요 인사 반응 [31] aurelius13273 20/11/12 13273 1
88746 [정치] 민주당 정권 미국과의 외교 해결법 [31] 양말발효학석사9712 20/11/12 9712 0
88745 [정치] 秋 曰 : 피의자가 악의적으로 폰비번을 숨기면 법으로 까봅시다. [157] 덴드로븀15969 20/11/12 15969 0
88744 [일반] 나이 마흔, 준비되지 않은 이별을 대하는 자세 [42] 지니팅커벨여행14462 20/11/12 14462 52
88743 [정치] 법원 "국가, '간첩조작' 피해자 유우성씨에 배상하라" [157] Cafe_Seokguram14932 20/11/12 14932 0
88742 [정치] 수사지휘권으로 본 정부와 검찰의 관계 변화 [69] 아이요10632 20/11/12 10632 0
88741 [일반] 바이든 인수위, 호주-일본-한국정상과의 통화내용 발표 [151] aurelius21454 20/11/12 21454 1
88740 [일반] 구글포토 무제한 용량 정책 폐기되네요..... [63] 귱귱이15111 20/11/12 15111 2
88739 [정치] 문재인의 검찰개혁. [180] 플라22345 20/11/11 22345 0
88738 [일반] 중국문화 소개 채널에서 한국식 쌈을 먹은 것은 문화 도둑질이다? [89] 와칸나이15042 20/11/11 15042 0
88737 [정치] [유머] 추미애 : 소년원 세배돈은 특활비가 아닌 불우이웃돕기 성금 [120] VictoryFood14577 20/11/11 14577 0
88736 [일반] 딥 페이크 음악의 출현 [33] 아난11987 20/11/11 11987 0
88734 [일반] 애플의 괴물 신제품 M1 코어와 I9-9980의 비교 벤치가 등장했습니다. [85] 강탈18079 20/11/11 18079 1
88733 [일반] 주연테크 모니터 교환기... [15] 메디락스10414 20/11/11 10414 6
88732 [일반] 왜 저전력피씨라도 싸구려 파워서플라이는 권장하지 않는가 [65] Lord Be Goja12440 20/11/11 12440 19
88731 [일반] [미국] 트럼프, 국방부 인선 대거 교체 [112] aurelius15995 20/11/11 15995 1
88730 [정치] 최근엔 김포 부산 브동산이 핫한듯 합니다. [88] 끄엑꾸엑13150 20/11/11 13150 0
88729 [정치] 선명해지는 윤 대망론. 윤석열, 차기 대선주자 1위로 우뚝 [441] 청자켓23566 20/11/11 23566 0
88728 [일반] 내 편과 네 편을 가를 때 흔히 하게 되는 실수 [62] OrBef13276 20/11/11 13276 59
88727 [정치] 웃픈 모 사이트의 소모임 폐쇄 사태 [284] 어서오고19829 20/11/11 1982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