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0/12 19:06:10
Name Leeka
Subject [일반] 사람들이 생각보다 잘 모르는 집값 상승율 공식 (수정됨)
부동산에 관심있는분들은 대부분 아는 내용이긴 한데..

관심이 없는 분들은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아서..


간단한 문제입니다.


300세대가 살고 있는, 집값 1억의 아파트가 있습니다.

이 아파트가 이번에 3개 세대가 1억 2천만원에 매매가 성사되었네요.


그럼 집값 상승율은 몇%일까요?


20%라고 대답하셨으면 오답.

0.2% 라고 대답하셨으면 정답입니다.


300세대 * 1억 = 300억 의 집값이
297세대 * 1억 + 3세대 * 1.2억 = 300억 6천만.. 이 되어서 0.2%의 상승률이 나오게 됩니다.



현실에서는 '샘플로 아파트를 표본추출하고 (한국감정원 기준 월간 아파트 15,588호)
매매가 기반으로 계산 + 매매가 너무 없으면 호가도 일부 반영한 뒤(이건 주관이 들어감)
+ 기하평균 + 제본스 지수 등등...을 거쳐서 복잡한 공식을 통해 만들기 때문에 위에 간략한 예시하고는 다르게 나오긴 합니다만
1억이 1억 2천되면 20%가 오른거 아냐?..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아서..  이해를 돕기 위해 만든 예시라고 보시면 됩니다.


결과적으로 집이라는게 '매달 모든 아파트가 거래가 있고 이런게 아니다보니'..   현재 통계 방식에서 보이는 상승률은 높게 나오지 않습니다.

바꿔말하면 '현 통계방식에서는 거래가 많을수록 수치 변동이 커지기 쉽습니다. (상승장이든, 하락장이든.. 거래가 많을수록 반영이 잘되고 수치가 높게 잡힙니다.)

그래서 똑같이 집값 상승률이 0.1%라도
거래건수가 100건과 1000건이면.. 전자가 실제 개별 집값은 더 많이 오른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최근 6~7월에 집값 상승율이 엄청나게 튄 이유중 하나는. '거래가 너무너무많아서' 도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반영이 뻥뻥 되버려서...
반대로 집값 상승율은 '표본 주택' 을 거래가 안되는 집 위주로 잡아버리면..  아에 안잡히기도 합니다..


그래서 한국 감정원이나 kb나.. 마음먹으면 현실과 괴리되는 통계를 쉽게 만들 수 있는... 지표기도 한데요.
표본주택 조정만으로 상승율을 높일수도, 내릴수도 있는게 사실이고.
둘다 모든 주택을 표본으로 삼고있지 않은게 현실이기도 하고
거래가 없는 주택은 호가를 반영하느냐 / 주변 시세 연동시키느냐.. 같은것은 또 조사원 재량이다보니..


덧붙이자면 kb부동산 지표가 주류로 쓰이는 가장 큰 이유는
'kb 시세로 주택담보대출' 이 나오기 때문..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택공사 보증인 보금자리론 같은 대출도.. '시세를 kb시세' 로 보고 돈을 빌려주기 때문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0/12 19:07
수정 아이콘
장관님 일산사셔서 일산 부동산가서 일산 집값만 보고 다니시나본데 서울 부동산좀 돌아다니게 해야한다고봅니다.
샤한샤
20/10/12 19:11
수정 아이콘
일산조차도 08년 버블시기 집값을 씹어먹었습니다
창릉이라는 초대형 악재를 끼고도...
20/10/12 19:12
수정 아이콘
킨텍스쪽말고 딱히 오른데가 있나 싶은데 어디가 그리 올랐나요?
샤한샤
20/10/12 19:29
수정 아이콘
후곡 백마 학원가 낀 단지들 다 08년 가격 뚫었어요
그와 별개로 킨텍스 14억은 말이 안된다고 생각...
20/10/13 01:20
수정 아이콘
저도 원시티쪽은 과하다 생각이 들긴합니다. 백마/후곡쪽은 몇달전에 봤을때 몇천정도 올랐길래 별볼일 없네 했는데 또 몇달사이에 그만큼올랐네요 크크
카미트리아
20/10/12 20:33
수정 아이콘
탄현도 올랐습니다...
AngmaArimo
20/10/13 08:49
수정 아이콘
두산을 망하게 한 그곳도 올랐어요...
그래서 지금 두산에서 회사물량 전세세입자 다 내보내고 해당 물량들 거둬들이고 있습니다.
(전세 재계약 안해주는 형태로...어차피 회사가 집주인이라서...집주인이 들어와 사는거가 되는거니...)
그리고 다 매매로 돌릴 예정이에요.
Sardaukar
20/10/12 19:54
수정 아이콘
장관이 일산보고 물이 안좋아졌다고 시민 비하하는데라서 서울 더 잘 아실듯
L'OCCITANE
20/10/12 19:59
수정 아이콘
이 말 듣고도 또 뽑아준 게 레전드죠
Brandon Ingram
20/10/12 20:32
수정 아이콘
장관님 장관에서 짤리면 아무것도아닙니다... 의문의 4선행이라니 크크
L'OCCITANE
20/10/12 20:42
수정 아이콘
다시보니까 글을 이상하게 썼군요
민주당 뽑아준 게 이해가 안간다는 말이었는데 의문의 4선의원이 됐네요 크크크
번개크리퍼
20/10/12 21:00
수정 아이콘
1기신도시인 분당과 비교하면서 집 값 안오른다고 아우성이었는데 이제사 겨우 집 값이 오르는데 왜 안 뽑아주겠습니까?
L'OCCITANE
20/10/13 10:06
수정 아이콘
제가 거주민인데 죽어라 안 오르던 집값이 슬슬 오르니까 기분이 딱히 좋진 않고 말세라는 생각만 듭니다 크크
당장 선거할 때만 해도 일산 실거래가 폭락! 이런 뉴스가 심심찮게 보이기도 했고 오를 기미 보인 건 얼마 안됐으니까요
맥스훼인
20/10/12 20:13
수정 아이콘
집값 안 오르기로 유명했던 두산위브조차도 1억쯤 올랐다고 들었습니다..
20/10/13 01:29
수정 아이콘
실거래는 찍힌거 없고 탄현 제니스는 비슷한 시기 분양한 아파트들 오른거 생각하면 1~2억 올라봤자 오른건가 싶습니다.
20/10/12 19:17
수정 아이콘
오 배우고갑니다. 그럼 거래에서는 단기적 상승이 있어도 현 통계 방식으로는 거래로 이전 시세가 갱신될때까지 고정되는 효과가 있겠네요
이렇다고 한다면 거래가 없는 집의 경우에도 시세 변동에 따른 추정 보정값이 들어가야 할 것 같은데 맞을까요?
20/10/12 19:19
수정 아이콘
그걸 kb랑 한국감정원이 각자의 방식으로.. 표본 산출할때 추정해서 하고 있습니다.
+
주기적으로 거래가 아에 없어도.. kb시세에서 주변 단지 시세 기반으로 보정을 합니다..
antidote
20/10/12 23:17
수정 아이콘
아파트가 주식처럼 매매가 잦게 일어나는 자산이 아니다보니 상대적으로 무겁게 움직이는 건 맞습니다만
현실적으로 단지 전체가 한꺼번에 매물로 나올일은 분양 외에는 사실상 없는데도 거래량을 반영해서 시세를 계산하는건 가격 움직임이 느려보이게 만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실제로 눌러 앉는 매물이 언제 나올지 모른다는걸 생각하면 매물로 거래되는 물건 기준으로는 최신 매매가가 가장 시세에 가까울 것인데도 말이죠.
20/10/12 19:40
수정 아이콘
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10/12 19:45
수정 아이콘
오 이간 처음 알게된 사실이네요. 추천
맥스훼인
20/10/12 20:14
수정 아이콘
아마 예전에 여기서 어떤분은 보정이 들어가는게 어떻게 통계로서 의미가 있냐고 하는데.. 그냥 시장가 기준으로 계산하면 훨씬 많이 올라야 정상인 지표죠..
도날드트럼프
20/10/12 21:09
수정 아이콘
엇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첨 알았네요
antidote
20/10/12 23:14
수정 아이콘
둘 다 정확하지는 않아도 KB가 그나마 둘 중에서는 약간 더 믿을만 합니다. 이쪽은 말씀하신대로 대출이 걸려있어서 은행이 담보가치 하락이나 담보가치 판단 실패로 인해서 손해 보는 수준으로 고평가는 안하면서도 이자받아서 이득 볼 수 있는 수준으로 보정은 합니다.
여당이 자주 써먹는 한국감정원 가격이야말로 그냥 되도않는 공식으로 산출한 시세고 상승률 낮은것처럼 보이게 만들려는 착시효과를 내기 위해서 쓰는 마사지 통계용 지표죠.
한국안망했으면
20/10/13 02:25
수정 아이콘
돈이걸려야 진짜죠
사실 kb시세도 실시세보다는 보수적으로 움직이긴하지만
하우스
20/10/13 07:04
수정 아이콘
사실 천세대 넘는 대단지여도 실거래가 딱 1세대만 신고가 찍으면 그냥 그 가격이 시세가 되죠
아이우에오
20/10/13 08:47
수정 아이콘
글쵸. 매물 10개 나와있는데 1-2개가 좀 비싸게팔렸다? 나머지 매물 싹 거둬들이고 호가 올려서 팝니다. 그게 사람 심리죠.
20/10/13 09:19
수정 아이콘
실제로 겪어보니 참.. 사람마음이라는 게 그래요. 인테리어 엄청 고급스럽게 된 집이 9.9억에 거래됐는데 물건 들어가고 다시 나오니 나머지 같은 평수 집들 호가가 10억이 넘네요.
아이우에오
20/10/13 09:21
수정 아이콘
지금은 실거래 하나뜨면 그게 바로 기준가가 되버리더라구요.. 매물자체가 없어서
20/10/13 10:14
수정 아이콘
그게 신고가의 함정인데..
임대차3법덕에
입주가능 물건이 프리미엄이 더 붙고있어서
입주가능으로 사면 신고가 그냥 찍히고
그게 다시 기준가가 되는 구조를 지금 타고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758 [일반] [미국] 美국토안전부, 11월 대선은 역사상 가장 안전하고 공정한 선거 [37] aurelius12818 20/11/13 12818 2
88757 [정치] 11/30일부터, 주택 구입용 신용대출 관련 추가 제한이 들어갑니다. [307] Leeka17072 20/11/13 17072 0
88756 [일반] 기억에 남는 내 인생 최고의 남성보컬 BEST 20 꼽아봤습니다. [32] 삭제됨19966 20/11/13 19966 7
88755 [일반] 대단한 이매뉴얼 3형제와.. [7] 아난8653 20/11/13 8653 0
88754 [일반] 또다른 조두순, 출소 8일만에 재범. [178] Leeka17846 20/11/13 17846 5
88753 [일반] 다른 사이트에서 이렇게 필터링 처리가 부실한 건 처음이네요. [15] 애플댄스9873 20/11/13 9873 1
88752 [정치] 트럼프의 소송이 승리하기도 하는군요. [25] 후마니무스12406 20/11/13 12406 0
88751 [일반] 고요한 택시 이용기 [14] 퀘이샤12819 20/11/13 12819 19
88750 [일반] 8촌이내의 근친혼이 위헌인가에대해 헌재에 올라왔네요. [289] 키토19546 20/11/13 19546 0
88749 [일반] 그럼에도, 남겨진 자들을 위한 연가 [2] 침착해7597 20/11/12 7597 5
88747 [일반] [미국] 트럼프 국방부 숙청에 대한 주요 인사 반응 [31] aurelius13281 20/11/12 13281 1
88746 [정치] 민주당 정권 미국과의 외교 해결법 [31] 양말발효학석사9715 20/11/12 9715 0
88745 [정치] 秋 曰 : 피의자가 악의적으로 폰비번을 숨기면 법으로 까봅시다. [157] 덴드로븀15986 20/11/12 15986 0
88744 [일반] 나이 마흔, 준비되지 않은 이별을 대하는 자세 [42] 지니팅커벨여행14470 20/11/12 14470 52
88743 [정치] 법원 "국가, '간첩조작' 피해자 유우성씨에 배상하라" [157] Cafe_Seokguram14947 20/11/12 14947 0
88742 [정치] 수사지휘권으로 본 정부와 검찰의 관계 변화 [69] 아이요10635 20/11/12 10635 0
88741 [일반] 바이든 인수위, 호주-일본-한국정상과의 통화내용 발표 [151] aurelius21471 20/11/12 21471 1
88740 [일반] 구글포토 무제한 용량 정책 폐기되네요..... [63] 귱귱이15112 20/11/12 15112 2
88739 [정치] 문재인의 검찰개혁. [180] 플라22361 20/11/11 22361 0
88738 [일반] 중국문화 소개 채널에서 한국식 쌈을 먹은 것은 문화 도둑질이다? [89] 와칸나이15043 20/11/11 15043 0
88737 [정치] [유머] 추미애 : 소년원 세배돈은 특활비가 아닌 불우이웃돕기 성금 [120] VictoryFood14577 20/11/11 14577 0
88736 [일반] 딥 페이크 음악의 출현 [33] 아난11989 20/11/11 11989 0
88734 [일반] 애플의 괴물 신제품 M1 코어와 I9-9980의 비교 벤치가 등장했습니다. [85] 강탈18079 20/11/11 1807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