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3/03 08:35:58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토막글] 오쿠보, 정한론에 왜 반대했나? (수정됨)

1873년 오쿠보 도시미치 (사이고와 함께 당시 실권자) 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정한론에 반대했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그저 한 문장으로 그가 반대했다더라 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구체적인 이유를 보니 정말 노련한 정치가였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첫째, 신정부의 성립 이후 제도 변혁과 증세로 국내가 불안정하다. 사소한 일로도 소란이 일어날 수 있다.

둘째, 국가 재정이 매우 어렵다. 대외 정벌을 추진하려면 증세할 수 밖에 없다. 증세하면 인민이 피폐해지고 원한을 갖게 된다. 이를 위해서 지폐를 발행해야 하는데, 이는 물가상승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외채에 의존하게 된다. 

셋째, 부국강병을 실현하는 데는 수년씩 걸린다. 이 시점에서 병력을 동원하면 지금까지의 민생대책은 모두 붕괴되고 만다.

넷째, 전쟁이 벌어지면, 외국으로부터 수입이 늘어 금이 유출된다. 젊은이를 전쟁터로 보낼 경우, 제품의 제조 능력이 하락, 수출이 어려워진다. 함정이나 무기를 외국에서 구입할 경우 재정이 파탄난다.

다섯째, 러시아가 남진을 기도하고 있다. 만약 조선에서 전쟁이 벌어지면 러시아가 어부지리로 덕을 보게 될 것이다.

여섯째, 러시아 뿐만 아니라 영국도 안심할 수 없다. 일본은 이미 영국에 부채를 가지고 있다. 이를 상환하지 못하면, 내정간섭을 초래, 일본은 제2의 인도가 된다.

일곱째, 일본은 영국,프랑스와 대등한 존재가 아니다.현재 그들에게 병력 주둔을 허용하고 있다. 이래서는 독립국가라 할 수 없다. 이 점을 수치스럽게 생각하지 않고, 조선에 무례를 범하는 것은 큰 일은 참고, 작은 일은 참지 못하는 것과 같다.


여기서 인상 깊은 점은 러시아와 영국을 대단히 의식하고 있었다는 점입니다. 증세가 필요하고, 돈이 많이 든다는 이야기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이야기지만, 러시아와 영국의 행보가 우려된다고 말하는 것은 당대 정치인의 평균적 의식으로 보았을 때 아무나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니었죠. 


역시 외교는 내가 무슨 A와 B의 관계에서 어떤 행위를 했을 때 상대방 B의 반응만이 아니라, C와 D 그리고 F의 반응까지 예측해야 하는 기술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ardaukar
20/03/03 08:48
수정 아이콘
1873년에 일본 단독으로 조선을 점령하기에 득보다 실이 많았을 것이란 관측도 있습니다. 일본이 그렇게까지 공업화가 진행되진 않은 시점이었고요.

이후 본문에 언급된 사이고 다카모리가 정한론자 데리고 서남전쟁 한번 하고나니 진짜 전체주의 국가가 되어 달리기 시작하는데..
Liberalist
20/03/03 08:58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일본인들이 유신의 주역이네 뭐네 떠받들어주는 인사들 가운데 그 사람이 진짜로 대단한가 싶은 사람들이 정말 많습니다.
특히 사이고 다카모리 같은 인물은 사카모토 료마 덕분에 가진 역량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평가를 받는 것으로 보여지는 느낌도 있고요.

그렇지만 오쿠보 도시미치, 이토 히로부미만큼은 가진 식견이 확실히 당대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최대치에 이르렀었다고 생각합니다.
오쿠보 도시미치가 암살로 일찍 골로 가지 않고, 이토가 운 좋게 살아남아서 원로 역할을 했다고 가정했을 때의 일제는 정말이지... 아휴;;
20/03/03 09:05
수정 아이콘
우리 모두는 일본어를 쓰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
20/03/03 14:53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 SF의 최고 아웃풋이자, 세계의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서 고루고루 맛을 봐야할 "비명을 찾아서"가 생각나는 말씀이시네요. 생각나는 김에 한번 더 정독하려고 다녀옵니다 크크...
20/03/03 09:14
수정 아이콘
아마 '바람의 검심'에서 오오쿠보 토시미치를 보신 분도 많을 겁니다. 십본도 편 초반, 켄신에게 정부요인이 되라고 설득하러 찾아왔다가 돌아가는 마차 안에서 세타 소지로에게 살해당하는 콧수염이 오오쿠보입니다.
aurelius
20/03/03 13:35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저도 사실 오쿠보 도시미치나 가츠라 코고로의 존재를 처음 알게 된 것도 바람의 검심 덕분이었죠 크크 . 일본근대사 입문을 바람의 검심으로 했습니다 크크
솔로몬의악몽
20/03/03 13:53
수정 아이콘
오쿠보 도시미치가 토막파라서 토막글로 쓰신 것인가요? (매우 재미있는 농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322 [일반] [스연] KBL도 시즌 조기종료 결정...SK-DB 공동1위 [16] 강가딘9438 20/03/24 9438 0
85320 [일반] [스연][로켓펀치] 복면가왕 나간 쥬리-수윤, 근데 형이 여기 왜나와? [6] 어강됴리12028 20/03/24 12028 2
85318 [일반] 2020 도쿄 올림픽, 2021년으로 1년 연기 예정 [47] RFB_KSG16293 20/03/24 16293 2
85316 [일반] [경제]연준 "회사채·지방채 등 매입 통해 380조원 유동성 공급" [68] Binch15132 20/03/23 15132 0
85315 [일반] 끝나지 않은 사랑의 타이밍 - 영화 '결혼이야기' 추천스포리뷰 [25] 치열하게9066 20/03/23 9066 0
85310 [일반]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코로나 확진자 추이 업데이트 [11] 손금불산입15060 20/03/23 15060 2
85309 [일반] [스연] 프로배구, 사상 첫 정규리그 조기 종료..순위는 5R 기준 [19] 강가딘7515 20/03/23 7515 0
85308 [일반] [코로나] 왜 이탈리아 사람들은 마스크를 쓰지 않는가? [12] 랑비11549 20/03/23 11549 0
85307 [일반] [코로나] 중국의 경악스러운 멍청돋는 외교 [39] aurelius16121 20/03/23 16121 6
85306 [일반] 피지알 운영비 소모시키기 이벤트 결과 발표 [15] VictoryFood5349 20/03/23 5349 2
85305 [일반] 요즘 근황 [23] 공기청정기9069 20/03/23 9069 2
85304 [일반] 아래 모선생의 조기 귀환에 우리 아이 보호하기 [28] Timeless7873 20/03/23 7873 15
85303 [일반] [스연]'미스터트롯' 영탁 측 '니가 왜 거기서나와' 사재기 시도 의혹 [7] 별이지는언덕10335 20/03/23 10335 0
85301 [일반] [스연] 심은경, 다카사키 영화제 최우수여우주연상 수상 [16] 빨간당근8585 20/03/23 8585 1
85297 [일반] 조기컴백한 모선생 [36] Lord Be Goja12855 20/03/23 12855 0
85296 [일반] [스연] 전지현 x 김은희 작가의 결과물이 이 작품으로 먼저 공개되겠네요. [24] 아르타니스13838 20/03/23 13838 0
85295 [일반] 코로나 떠넘기기가 이탈리아로 튀었네요 [53] 루트에리노17663 20/03/23 17663 2
85294 [일반] [프랑스] 루이뷔통, 입생로랑 마스크 생산에 동참 [49] aurelius14599 20/03/23 14599 2
85293 [일반] 코로나로 바뀐 일상들 공유해봅시다 [169] 토니파커15698 20/03/23 15698 2
85292 [일반] [스연] 사냥의 시간, 넷플릭스로 단독 공개 [40] 빨간당근13179 20/03/23 13179 2
85291 [일반] [스연] IOC "도쿄 올림픽 연기 포함 세부적 논의 시작" [48] 강가딘13729 20/03/23 13729 2
85286 [일반] [스연] 2020년 3월 넷째주 D-차트 : ITZY, 초박빙 접전 끝에 1위! [4] Davi4ever6624 20/03/22 6624 1
85285 [일반] 고양이 입양한 이야기 3 (사진들) [33] InYourHeart9523 20/03/22 9523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