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2/17 23:23:49
Name 성상우
Subject [일반] 한국(KOREA)형 제품모델(5) (수정됨)
한국(KOREA)형 제품모델(5)

나는 성장하면서 옷과 의류들에 대해서는 특별히 관심이 없었다. 내가 초등학교를 다닐때에는 학교에서 초등학교선생님들이 고가의 특정 메이커의 의류나 운동화등의 제품을 구입하는 것을 되도록이면 자제하도록 의무적으로 교육하셨다. 그것은 학교에서 국가발전을 위해 생산적인 것을 중시하여 학생들에게 집중적으로 절약교육을 하는 분위기였기 때문이다. 또 어릴 때 동네와 사회분위기는 오직 수출에 전력질주하는 분위기였다. 그때에 새벽마다 잠을 깨우고 기상을 알리며 울려퍼지는 새마을노래와 새벽에 쓰레기차가 올때마다 강하게 들리는 소음들은 그런 현실들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또 텔레비전 및 신문의 정보들과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기전에 영화스크린에서 의무적으로 나오던 뉴스들은 그런 사회분위기들을 잘 나타내었다. 이것은 벌써 25년도 더 지난 이야기이다. 그러므로 지금의 형편과는 많이 다른 환경과 상황이었다. 그런데 나는 초등학교의 선생님이 교육하시는 이야기를 듣고서 고가의 특정 메이커의 의류와 운동화제품등을 사지 않으려고 많이 노력을 하였다. 그래서 나는 초등학교시절에는 고가의 메이커제품을 가져본 적이 없었다. 이후 내가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다닐때도 상황이 거의 비슷했다.

내가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다닐때에 학교에서 교복착용이 의무화되어 있는 형편이었다. 그래서 평일에 학교에서 교복을 입고 주말에 평상복을 입을때는 예전에 구입했던 옷들을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입었다. 또 나는 의류매장이나 의류메이커 대리점등에서 옷을 사입으려는 노력은 그렇게 잘 하지 않았다. 같은 교실에 있을때 주위에 옷을 잘 입는 학급급우들이 여러 명이 있었는데 너무 멋있어 보였고 연예인같이 생각되었다. 같은 교실에서 옷을 잘입는 학급급우들은 학교공부도 비교적 잘하는 편이었는데 또 옷차림에 너무 많이 신경을 쓰는 것이 잘 느껴졌다. 자주 특정메이커 이야기를 하면서 그 메이커를 꼭 구입해야겠다는등의 이야기를 했었다.

그리고 옷을 구입해서 입는 것이 보통에 해당하는 학급급우들과도 비교해봐도 나는 옷이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니었고 옷입는 스타일이 화려하지가 않았다. 나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시절까지는 옷을 잘 입으려는 동기부여가 되지 않았었고 패션스타일에 대해서 나에게 확실하고 확고하게 자극을 준 사람은 전혀 없었던 것이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시절에 여러 가지 패션스타일이 유행을 했지만 나는 관심이 없었다. 내가 대학수학능력시험 즉 수능을 치고서 대구대학교(大邱大學校) 중어중문학과(中語中文學科)를 들어가게 되었는데 그때부터는 상황과 사정이 많이 달라졌다.

대학을 합격하고서 대구대학교에서는 다양한 인간관계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학교의 분위기는 여러 가지 교양과 예의등을 많이 따지는 환경이었다. 그래서 나는 옷차림에 신경쓰려고 많이 노력했지만 여전히 여러 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았다. 먼저 아버지의 사업이 기울어서 집안형편이 많이 어려웠던 것이 크게 작용을 했다. 또 그때 당시에 국가적으로 1997년에 IMF라는 국가부도사태를 맞은 형편이어서 사회와 경제가 어려웠던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대구대학교 중어중문학과 1학년을 마치고 IMF라는 국가부도사태를 피해서 2년간 군대를 다녀왔다. 2년간 군대를 다녀와서 복학하고서 얼마간의 시간이 지난후에 집안형편이 점차로 나아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를 다시 다니면서 패션에 대해서 많이 신경을 쓰게 되었다. 그래도 나는 주위에서 여전히 옷에 신경쓰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듣거나 패션스타일이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계속적으로 들어야 했다. 마흔이 넘은 지금 다시 생각해보면 그때 당시에 더욱 내가 만나는 주위 사람들과의 대인관계를 생각해서 옷차림과 패션등에 신경썼었어야 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한편 나는 예전의 군대생활의 기억을 떠올리며 한국(KOREA)형 제품모델(5)를 구상하였는데 그것은 과학적으로 패션디자인을 해서 보기 좋게 앞뒤로 바꿔서 입는 것이 가능한 상의 즉 윗도리(= 위에 입는 옷)와 하의 즉 아랫도리(= 아래에 입는 옷)를 착안하였다. 내가 군대생활을 할때 여러 가지 환경들과 일들을 겪으면서 군대에서 보급이 나온 런닝셔츠와 전투복등의 상의 즉 윗도리(= 위에 입는 옷)들을 앞뒤로 바꿔서 입는 경우가 어느 정도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런 아이디어를 확장하여 앞뒤로 바꿔서 입는 것이 가능한 상의 즉 윗도리(= 위에 입는 옷)와 함께 하의 즉 아랫도리(= 아래에 입는 옷)도 제작하여 만든다면 새로운 의류시장의 트렌드를 일으킬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런 새로운 의류디자인이 제작되어 출시된다면 한국(KOREA)형 제품모델로서 상당히 패션시장에서 경쟁력이 있고 여러 환경에서 입기에 편리하고 또한 여러 곳에서 유행할수가 있다고 판단이 된다. 내가 한국(KOREA)형 제품모델(5)로 구상한 과학적으로 패션디자인을 하여 보기 좋게 앞뒤로 바꿔서 입는 것이 가능한 상의 즉 윗도리(= 위에 입는 옷)와 하의 즉 아랫도리(= 아래에 입는 옷)로 인해서 한국의 의류문화와 패션경쟁력이 더욱 강화되기를 바라고, 한국상품들이 여러 곳의 해외시장에서 널리 인정받고, 한국상품의 해외수출이 더욱 적극적으로 확대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oconutpineapple
20/05/22 17:15
수정 아이콘
아랫도리는 아래에 입는 옷인데, 위에 입는 옷인 상의라는 명칭과는 반대로 하의라고 할 수 있다고 역사적으로 많은 사람(People)들이 이야
기하고 있었다는 것을 충분히 감안해서 정의(Definition)내린 것이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701 [일반] 던질까 말까에 도전해 보았다~ [14] 표절작곡가6465 20/02/27 6465 4
84700 [일반] [스연] 슈가맨으로 방송 출연한 씨야의 각 멤버 [14] Croove9638 20/02/27 9638 2
84699 [일반] 마스크와 손소독제의 국가 통제가 정당한 절차없이 가능한 일인가요? [150] 마지막좀비13334 20/02/27 13334 4
84698 [일반] [스연] ELRIS(엘리스) 컴백 - "JACKPOT" M/V [9] 피디빈4178 20/02/27 4178 0
84697 [일반] [스연] 2020년 2월 넷째주 D-차트 : 지코 5주 1위, 문별 7위-로켓펀치 17위 진입 Davi4ever3624 20/02/26 3624 0
84696 [일반] [스연] 2020년 2월 셋째주 D-차트 : 여자친구 2위-에버글로우 5위-이달의 소녀 8위 진입 [2] Davi4ever4052 20/02/26 4052 1
84695 [일반] (코로나) 이탈리아, 금일부로 유증상자만 테스트 [136] aurelius18202 20/02/26 18202 7
84694 [일반] 우리의 출산율은 왜 이럴까에 대한 두가지 생각 [118] 도뿔이13680 20/02/26 13680 12
84693 [일반] 중앙임상위원회 브리핑: 발생 60일경에 정점, 경증 환자 자택 치료 기준 마련 예정 [51] SaiNT12045 20/02/26 12045 3
84692 [일반] 내일 오후부터 약국, 우체국에서 마스크판매를 한다는데요. [97] 콜라제로19079 20/02/26 19079 7
84691 [일반] [스연] BTS 제임스 코든쇼 카풀 카라오케 출연 영상 [17] 인사이더6497 20/02/26 6497 4
84690 [일반] 멕시코는 왜 이렇게 되었나? 카르텔판 삼국지 (3) [11] 알테마12221 20/02/26 12221 16
84636 [일반] 소아에서의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정보(2020.2.26) [63] Timeless17981 20/02/24 17981 47
84688 [일반] 누굴 위한 맞춤법인가? [30] 레드빠돌이6102 20/02/26 6102 6
84687 [일반] 일본방송이 보도하는 한국의 코로나 대응 [150] 청자켓17437 20/02/26 17437 15
84686 [일반] [일음] 최근 빠진 두 밴드 [3] salyu5686 20/02/26 5686 3
84684 [일반] [스연] BTS 'ON' 리뷰 영상 추천 [9] 망개떡4553 20/02/26 4553 3
84683 [일반] [외신] 5월까지 코로나 못잡으면 도쿄 올림픽 취소할 수도... [79] aurelius13667 20/02/26 13667 2
84681 [일반] 우리나라가 현재 전염병 관련 정보가 모두 공개되는 이유 [56] 제라스궁5발12981 20/02/26 12981 6
84680 [일반] 코로나 바이러스로 나이롱 환자 줄어 [27] DownTeamisDown9841 20/02/26 9841 0
84679 [일반] 코로나19 추가확진 169명..1000명 넘었네요. [182] Friday16321 20/02/26 16321 2
84678 [일반] 다단계 끌려갈 뻔 했던 이야기 [37] 영소이8832 20/02/26 8832 32
84676 [일반] 멕시코는 왜 이렇게 되었나? 카르텔의 해체와 분화 (2) [11] 알테마11169 20/02/26 11169 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