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1/13 09:58:16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단문] 일본과 인도의 오랜 관계
최근 일본과 인도가 더욱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일본은 인도태평양전략의 핵심파트너로 인도를 택했고, 인도 또한 이에 기꺼이 호응했습니다. 양국간의 경제협력은 상당한 수준이고, 여기에 더하여 미-일-인 3국 정상회담도 개최된 바가 있습니다. 당연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합종연횡의 일종입니디만, 일본과 인도 간의 관계가 생각보다 역사가 깊더군요.

1893년, 청일전쟁 발발 이전

일본은 최초의 뭄바이-고베 정기항로를 개설하게 됩니다.
당시 일본은 근대적 면직물 공장을 만들고 있던 참이었고, 이를 위해 인도산 목화가 필요했습니다.
이때 창설된 회사가 그 유명한 미쓰이 상사입니다. 
하지만 당시 인도의 목화무역은 영국의 대기업들이 독점하고 있었던 상황이었고
영국 해운회사를 이용하여 일본까지 목화를 운반하려면 꽤 비싼 수수료를 지불해야 했습니다. 
이를 우회하기 위해 미쓰이 상사는 인도의 상인그룹 타타(이들은 지금도 인도 최대 재벌그룹 중 하나입니다)와 손을 잡고
영국 기업들을 패싱하는 방법을 고안하게 됩니다. 
이로써 뭄바이 목화수출의 절반 이상이 일본으로 향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1900년대 초에 이르면 일본의 대일본수입의 80%가 목화였을 정도 

일본은 인도에서 목화를 수입하고, 이를 가공하여 면직물을 만들고 이를 다시 중국시장에 수출하였습니다. 
일본이 기를 쓰고, 심지어 무력으로라도 중국시장을 더 확대하려고 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었죠. 

아무튼 일본은 다른 한편 인도의 내셔널리스트들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결국 제2차 세계대전까지 그런 관계가 이어졌습니다.

심지어 도쿄재판에 판사로 참석했던 인도인 판사는 승자들의 정의라며 이를 비난했었죠. 

세계대전 후 독립인도와 전후일본의 관계는 정상화되었고, 
일본의 고도경제성장 시기, 일본은 인도에 많은 투자를 했습니다. 

그리고 그런 우호적 관계, 특히 타타재벌그룹과의 오랜관계는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과 인도의 관계를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을 거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년배
19/11/13 10:28
수정 아이콘
일본이 아시아의 대표 였던 기간이 길기도 하고 2차대전 당시 인도는 영국 식민지라 인도 독립세력 중 일부가 일본에 협력하기도 하고 해서... 우리와 중국 같이 일본에 딩한 것만 있는 나라 빼고는 아시아 나라들간의 관계는 나쁜 편이 아니죠.
개발괴발
19/11/13 10:31
수정 아이콘
아마 그 인도 판사 아저씨는 한국/중국/대만/필리핀에서 일본이 무슨 짓을 했는지 몰랐거나
알고도 정치적 스탠스로 그런 이야기를 했겠지만...
참 거시기하긴 하군요 그 에피소드는.
모리건 앤슬랜드
19/11/13 12:06
수정 아이콘
그거 이상으로 대영제국도 인도에서 별에 별 짓거리를 다 했으니까요.
개발괴발
19/11/13 13:3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정치적 스탠스라고 말씀드렸어요.
영국이 그런 짓을 했다고 해서 일본애들 잘못이 없어지는건 아니지만
전승국인 영국이 더 싫으니까 그렇게 말했을 거라는거죠.
19/11/13 10:39
수정 아이콘
한국-베트남처럼 일본이 동남아에서 푸시하는 나라가 인도인가요?
이정재
19/11/13 10:41
수정 아이콘
일본이 동남아 푸시하는 나라는 태국...
aurelius
19/11/13 10:41
수정 아이콘
엄밀히 말하면 인도는 남아시아입니다. 한국이 베트남에 대해 레버리지와 일종의 깊은 관계가 있듯이 일본은 인도와 관계가 있지요.
나무늘보
19/11/13 10:41
수정 아이콘
미미한 지식입니다만
일본이 동남아국가중 가장 푸시하는 나라는 태국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웅이
19/11/13 10:54
수정 아이콘
태국에 굴러다니는 차들이 체감상 8할은 도요타고 1할은 혼다인것같더라구요. 한 맥락일까요
동년배
19/11/13 15:02
수정 아이콘
일본차가 많은건 일본 진출 역사가 깊기도 하지만 태국이 자동차가 영국-일본 같이 좌측 통행이어서어요.아직 국민소득상 다른나라 중고차 수입 많이 해야하는데 이러면 거리상 무조건 일본 중고차를 많이 수입합니다. 비슷한 이유로 베트남은 한국 중고차 많이 들여옵니다.
솔로15년차
19/11/13 12:37
수정 아이콘
일본이 푸시하는 나라는 '동남아 전체'죠. 베트남은 한국이 푸시하면서 일본과의 연계가 줄어든 거고요.
루크레티아
19/11/13 10:48
수정 아이콘
당장 인도 독립의 3대 거두로 추앙 받는 찬드라 보스가 일본 주도 대동아회의 참석자죠. 게다가 [임팔작전]의 주도자이기도 하고요.
닭장군
19/11/13 10:49
수정 아이콘
아아... 그립읍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9/11/13 11:34
수정 아이콘
만화 시마과장 시리즈 보면 일본이 인도에서 한국의 삼성-엘지에 쳐발리는 상황으로 묘사되면서 안타까워 하는 모습이 나오던데..
솔로15년차
19/11/13 12:38
수정 아이콘
경제적으로 따지면야 소니는 삼성-엘지에 전 세계적으로 처발리는 중이죠.
19/11/13 13:41
수정 아이콘
제가 평상시 관심이 없었던 주제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글을 자주 올려줘서 고맙습니다
푸른등선
19/11/14 11: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댓글에 약간 관련없는 사족을 붙이자면 솔직히 2차대전 당시 동남아시아인들에게 ‘조선인’은 일본에게 핍박받는 피침략민이 아니라 일본군의 선봉부대 같은 이미지였죠. 중국이나 필리핀이나 태국과는 전혀 다른 이미지...싱가폴 초대 총리가 자기가 처음 본 조선인은.. 하면서 그런 식으로 촌평을 한 걸로 알아요. 실제로 그래서 전후 보상도 받을 수 없었다는.... 가끔은 궁금합니다. 동남아시아, 남아시아인들이 바라보는 20세기의 한국인의 솔직한 인상이 무엇이었을까 하는...우리야 수천년 역사상에 절대로 남을 침략한적 없고 일방적으로 얻어맞기만 한 착한(?) 민족이라는 식으로 (정작 고구려의 정복전쟁이나 세종의 4군6진 개척은 ‘확장’이라는 용어로 자랑스럽게 가르치면서) 국정교과서에서 신나게 배워왔는데 정작 조금만 밖으로 나가도 딱히 그게 아니었을 수도...하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736 [일반] 애즈원 (스크롤주의) [37] Ace of Base16093 19/12/13 16093 3
83735 [일반] 남자의 교육열을 보고 슬픔을 느꼈습니다. [111] 그랜즈레미디16721 19/12/13 16721 10
83734 [일반] 요기요와 배달의 민족이 합병합니다. [89] Leeka15078 19/12/13 15078 2
83733 [일반] (삼국지) [촉한사영] 제갈량과 후계자들 (3) [21] 글곰10500 19/12/13 10500 26
83732 [일반] 한국(KOREA)형 음식모델(7) [7] 성상우7182 19/12/13 7182 2
83731 [일반] [11] 32년간의 성탄절. [2] 아이유_밤편지7962 19/12/13 7962 7
83730 [정치] 40년 전이 아닙니다. 오늘 일입니다. [333] 넵튠네프기어자매25990 19/12/12 25990 0
83729 [정치] 록밴드 U2 만난 문재인 대통령 "여성들을 위한 '평등' 메시지에 감사" [199] 나디아 연대기20774 19/12/12 20774 0
83728 [일반] 도덕적 판단들의 상대성 또는 인공지능의 윤리 [17] 아난7726 19/12/12 7726 0
83726 [일반] 베트남,필리핀,인도네시아 사람들도 한국 무비자 입국 가능해집니다. [73] 검은안경12943 19/12/12 12943 4
83723 [정치] 망할수밖에 없었던 문재인정부의 부동산정책 [185] Gloomy21338 19/12/12 21338 0
83721 [일반] [11] 나의 성탄절 [2] 김홍기7300 19/12/12 7300 6
83720 [일반] 겨울왕국2 OST show your self 기타커버입니다. [2] 커버홀릭5947 19/12/12 5947 1
83719 [일반] 작은 세력이 성공하는 비결 [3] 성상우8070 19/12/12 8070 2
83718 [정치] 2011~2018 정당별 국회의원 재산 추이 [35] LunaseA14481 19/12/12 14481 0
83717 [정치] 유승민의 변혁, 신당명 '새로운보수당'으로 [155] 及時雨15277 19/12/12 15277 0
83716 [일반] 우주소녀에서 시작되는 인디 탐험 [9] 밤의멜로디9400 19/12/12 9400 4
83714 [일반] (삼국지) [촉한사영] 제갈량과 후계자들 (2) [20] 글곰10062 19/12/12 10062 29
83713 [일반] 김장시즌입니다! 김냉을 청소합시다!! [17] 비싼치킨8857 19/12/12 8857 11
83712 [일반] 아아...... 한국남자는 끝났습니다. [501] 이르25684 19/12/12 25684 64
83711 [정치] 서울 아파트값 이야기.. [233] 맥스훼인17166 19/12/12 17166 0
83710 [일반] [팝송] 웨스트라이프 새 앨범 "Spectrum" [13] 김치찌개7622 19/12/12 7622 1
83709 [일반] 외국인 입대를 허용하는 상상을 해봤습니다. [44] 어제와오늘의온도10200 19/12/11 1020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