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1/12 00:29:32
Name 나디아 연대기
Link #1 https://www.yna.co.kr/view/AKR20191111172200004?input=1195m
Subject [일반] 홍콩 활동가 "한국 시민·대학생 성원 큰 힘…계속 지지해달라" (수정됨)
[라이 부의장은 " 경찰의 폭력 문제를 미국이나 영국에 가서 이야기하면 경찰권의 문제지 민주의 문제라고 하지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무기를 쥔 이가 권력을 남용하면 어떻게 민주를 저해하는지 한국은 잘 알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한국은 사회운동의 경험과 자원이 많다"며 "인권문제에 관심이 있는 한국 변호사나 한국의 의사들, 기자들이 홍콩의 단체들과 연대를 하면 좋을 것 같다"고 제안했다.]

얀 호라이 홍콩 운동가가 며칠째 방한해서 활동중인데 한국 정치권,정부의 지지는 쉽지 않다는것을 알고 있고 시민단체.언론,시민들에게 관심을 가져달라고 하고 있습니다.  지금 포탈뉴스, sns에서 상황을 알수있어서 생략하지만 지금 홍콩상황이 너무 않좋깁 합니다.

대표적으로 경찰이 홍콩중문대에서 최루탄을 쐈는데 데모시스토당에서 지금 1987년 연세대 상황이라고 알리고 있습니다.


이미지




며칠전 kbs에서 단독으로 익명의 홍콩경찰하고 인터뷰를 해서 경찰의 내부사정과  홍콩경찰의 성폭행 사실을 정보를 알아내서 해당 kbs영상에서는 많은 홍콩인들이 한국방송에게 고맙다고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지금 홍대역입구,대학가에서 홍콩연대시위를 하고 있는데 중국유학생들이 많이 반발을 하고 있지만 한국내에서 충돌이 없길 바랍니다.  이미 캐나다에서 친중국vs반중국 화교들이 서로 싸우고 있는데 불안하긴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클랜드에이스
19/11/12 00:46
수정 아이콘
여긴 한국이니 중국애들이 연대시위및 집회에 대해서 간섭하는 꼴을 보고 싶진 않네요.

국가적으로는 당연히 홍콩을 지지하기 어렵겠지만 이렇게 시민단체 레벨에서 지지하는 움직임은 더 커졌으면 좋겠습니다.
그랜즈레미디
19/11/12 08:45
수정 아이콘
시민단체 지지도 일정 수위가 올라가면 정부가 막을 겁니다.
들깨수제비
19/11/12 09:49
수정 아이콘
일정 수위가 폭력성을 띄는 것을 말한다면 그럴 수 있지만, 지지세력이 커지는 거면 막을 수 없습니다. 한국당이 집권하면 그럴 수 있겠지만요
Quarterback
19/11/12 07:44
수정 아이콘
홍콩 학생 시민들을 지지합니다
아유카와마도카
19/11/12 07:48
수정 아이콘
세드엔딩을 향해 달려간다는걸 알면서도 멈출수 없는 기차를 보는 기분
오호츠크해
19/11/12 09:36
수정 아이콘
어쩔 수 없이 해야하는 일도 있는 법이지만 이번 홍콩 사태는 정말 모르겠네요...
19/11/12 09:48
수정 아이콘
내일 홍대가는데 홍콩지지시위 있나 봐야겠네요
졸린 꿈
19/11/12 10:42
수정 아이콘
광복홍콩 시대혁명!
홍콩의 민주주의를 지지합니다
홍콩 사람들이 안다치길 바랍니다
metaljet
19/11/12 10:57
수정 아이콘
그런데 한국 현실은 광군제 직구 신기록 수립중
자본주의는 정치 이데올로기를 이깁니다. 그게 공산주의건 민주주의건 간에...
흑태자
19/11/12 13:21
수정 아이콘
홍콩을 지지한다고 서쪽은 쳐다도 안봐야 되는건 아닐뿐더러

자본주의가 정치 이데올로기를 이긴다면
중국 공산당이야 말로 조만간 패배할 대상 그자체 아닌가요?

자본주의하고 자본은 다른건데요

전세계에서 탑급으로 시장경제를 억압하는 국가가 중국이고
아시아 시장경제의 상징 중 하나가 홍콩인데요
metaljet
19/11/13 09:28
수정 아이콘
관건은 보복으로 중국 공산당이 우리 각자에게 얼마나 경제적 불이익을 줄건가에 달려 있는거죠.
그 의지와 영향력 범위내에서는 한국 정부나 기업은 물론이고 시민단체, 언론마저도 안전하지가 못합니다.
덕분에 일본불매와는 달리 사드보복때도 우리는 칭따오 맥주 조용히 잘만 마셨죠. 앞장서 나섰다간 위험하니까요.
흑태자
19/11/13 10:20
수정 아이콘
그말씀이 틀리다는게 아니라,
'자본주의는 정치 이데올로기를 이긴다'는 말이 틀리다는겁니다.

자본의 힘 그자체와 자본주의를 헷갈리시는 듯 합니다.
중국이 하는건 자본을 앞세운 정치이데올로기 휘두르기지 자본주의가 아니죠.

정치이데올로기가 자본주의를 이기고 있습니다.
metaljet
19/11/13 10:27
수정 아이콘
네 자본의 힘(그리고 인간의 원초적 욕망)은 정치 이데올로기를 이긴다. 바로 그런 뜻이었습니다. 그냥 ~ 주의로 끝나는 각운을 맞춘 거죠
윤지호
19/11/14 09:3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정치권이나 정부의 지지대신 시민들의 관심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 같아요

일단 보는 눈이 많으면 만분의 하나라도 도움이 되지 않겠습니까
19/11/12 14:16
수정 아이콘
눈앞에서 시위대가 집압당하고, 총소리를 100미터 앞에서 듣고 출근한 어제였습니다.
이번에 죽은 청년의 이야기를 들으니 더 답답하고 안타깝더라구요.
이번 사태는 홍콩이 처한 특이한 상황에,
너무도 작은 한 도시에서 미래가 희박한 젊음과,
그것마저도 빼앗아가려는 욕심이 모두 더해져서
최악의 상황으로만 가고 있는 듯 합니다.
삶을 위해 이곳에 있지만, 어제 이후로 너무도 신경이 곤두서 있어 두통이 다시 도지고 있네요.
멀리서라도 홍콩의 불우한 젊음들을 위해 응원해주세요.
감전주의
19/11/12 17:58
수정 아이콘
홍콩에게 자유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781 [정치] 인헌고 사건에 대해서 학생과 교사의 양측 입장에서 생각해 봤습니다 [162] 플레스트린20994 19/12/17 20994 0
83779 [정치] 선거제도 이야기(1) -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특징과 레소토의 시행착오 [28] Justitia10982 19/12/17 10982 0
83778 [일반] 엑소의 으르렁 [7] 표절작곡가8060 19/12/17 8060 5
83777 [정치] 인헌고 사태가 결국 보복성 징계 사태로 번졌습니다. [88] 마빠이21803 19/12/17 21803 0
83776 [일반] 프로파이터와 싸울일이 있다면 도망가세요. [127] 삭제됨21423 19/12/17 21423 22
83775 [일반] 시대전망(3) [6] 성상우6868 19/12/17 6868 2
83774 [일반] [더빙] 다크나이트 - 조커의 회의장 난입 [1] 유머게시판6797 19/12/17 6797 1
83773 [정치] 건보 보장률 70% 공약 [133] 맥스훼인16980 19/12/17 16980 0
83772 [일반] 노바투스 이야기 [11] 삭제됨7286 19/12/17 7286 15
83771 [일반] [촉한사영] 제갈량과 후계자들 (6) -끝- [26] 글곰9616 19/12/17 9616 46
83770 [일반] [팝송] 카밀라 카베요 새 앨범 "Romance" [7] 김치찌개6925 19/12/17 6925 0
83769 [일반] 프로 격투 선수와 다수의 일반인이 붙으면 어떻게 될까? [52] 가스불을깜빡했다11184 19/12/17 11184 2
83768 [일반] 진짜 사람이 사람을 만드는거 같습니다. [20] 김아무개14637 19/12/16 14637 7
83767 [일반] [삼국지]하늘은 현인을 가엽게 여기니 -1- [2] Sinister7951 19/12/16 7951 5
83766 [정치] 국민참여재판서 무죄 평결받은 강간 피고인 '징역 3년' [226] 사악군32036 19/12/16 32036 0
83764 [일반] [단상] 진정한 미국의 시대가 이제부터 시작하는거라면? [43] aurelius14572 19/12/16 14572 15
83763 [일반] (삼국지) [촉한사영] 제갈량과 후계자들 (5) [29] 글곰9619 19/12/16 9619 23
83762 [정치] [부동산] 12.16 부동산 대책이 나왔습니다. [307] 회색사과22656 19/12/16 22656 0
83760 [일반] 동아시안컵을 통해 본 벤투 감독이 황인범을 중용하는 이유? [22] 개념은?9317 19/12/16 9317 2
83759 [일반] 환경문제의 기술적 해결책 [30] 헤물렌7275 19/12/16 7275 4
83758 [일반] 우리 사랑스런 테디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19] BPeep10757 19/12/16 10757 9
83757 [일반] 다크나이트 마지막 장면까진 아니고 조커의 마지막 장면 더빙입니다! [3] 유머게시판8197 19/12/16 8197 2
83756 [일반] 대형마트의 종이박스가 내년에도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89] VictoryFood12712 19/12/16 12712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