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0/30 12:31:02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1692906253
Subject [일반] 저도 보고 쓰는 날씨의 아이 후기(스포?)

<너의 이름은.>의 경우 말 그대로 뜬금없이 날린 홈런에 가까운 느낌이었습니다. 생각해보면 포스트 하야오에서 흥행 성적이란 측면은 호소다 마모루가 조금 더 앞선 측면이 있었거든요. 그걸 한방에 뒤엎어 버린 작품이 <너의 이름은.>이었습니다.


이 작품의 성공 이후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신작 <날씨의 아이>가 개봉했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정식 개봉을 할까, 개봉을 한다고 해도 와이드 개봉을 할까, 란 걱정 내지 의문이 들었는데 일단은 전국적으로 개봉한 모양새더라고요. 아침에 보고 왔습니다.


신카이 마코토의 최고 장점은 역시 작화입니다. 미묘한 색의 변화, 약간은 수채화 같은 느낌의 풍경과 배경. 특히나 이번에는 비가 내리는 도시가 중심이라 이 희미하게 번져나가는 빛의 묘사가 굉장히 인상적이었습니다. 저는 솔직히 전작에서도 느꼈는데 인간을 지우거나 아예 먼 화면에 밀어 넣고 배경 중심의 묘사를 보는 게 훨씬 눈이 즐거운 거 같아요.

두 번째 장점은 음악입니다. 이번에도 Radwimps가 참여한 사운드트랙이 좋습니다. 굳이 따지면 전작이었던 <너의 이름은.>의 사운드 트랙을 더 즐겨 들을 것 같긴 하지만 이번 영화에도 꽤 자주 플레이할만한 음악들이 들어 있어요.


문제는 전작의 그림자가 너무 짙게 드리워져 있다는 점이겠죠. 그러니까 전작과 되게 유사한 흐름을 지니고 있어요. 소년이 소녀를 만나고, 재난을 겪고, 이를 초현실적 설정을 통해서 돌파한다. 이 구조에서 중요한 흐름을 따지자면 소년이 소녀를 만나는 지점과 이 모든 고난을 돌파하는 지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정을 쌓아올린 다음, 터뜨려버리는 구조인 셈이겠죠.

그런데 일단 기초 공사가 너무 비슷해요. 전반부에 깔아놓는 복선이나 장면들이 전작에서 그대로 본 것 같은 기시감이 조금 듭니다. 구도 자체가 유사하다 싶은 순간들이 있었습니다. 문을 들어서는 장면, 이세계로 넘어가는 장면, 낙하 장면 등등등이요.

두 번째는 감정이 정리되지 않았던 점이 있는 것 같은데, 이건 전작 얘기를 조금 더 해야 할 것 같네요.

<너의 이름은.>은 판타지였습니다. 그러니까 현실은 그러했지만, 그러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하는 판타지요. 2011년 지진이라는 재난 앞에서 그랬다면 어땠을까를 그리는 판타지였고, 결국 영화의 주된 감정은 애절함과 그리움이 묻어 나왔습니다. 이 에너지가 동력 삼아서 후반부의 돌파가 그렇게 강렬했던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런데 이 영화의 재난은 중반부까지 임팩트가 작고, 영화의 주된 감정도 조금은 산만합니다. 기본적으로 소년과 소녀의 이야기가 힘을 100% 받는 느낌도 아니고,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가 조금씩 끼어들면서 쌓아올려야 할 감정이 조금은 부족해요. 덕분에 후반부 돌파의 에너지도 조금은 미묘하게 부족합니다. 결정적으로 모든 에너지를 소모하지 못해서 뚫어내지 못하는 엔딩의 느낌도 듭니다.


자 여기서 조금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대한 재난이 지나갔습니다. 전작은 그 재난이 아예 일어나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에 가까운 판타지였습니다. 이번 영화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은 계속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영화의 엔딩에서 이야기의 책임은 서로 상충되는 두 대사로 정리됩니다. [너네 탓 아니야], 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이 세계를 택했다]라고. 아저씨가 되어버린 어른 세대는 그 탓이 너희가 잘못한 게 아니라고 말하는 것과 주인공의 청소년 세대는 그래도 이 상황을 택했다고 말하는 거죠. 어쩌면 감독은 조금은 다른 뉘앙스의 응원을 하고 싶어 했던 건 아닐까 싶어요. 약간은 순응하고, 약간은 자포자기에 가깝지만, 그래도, 너희들의 잘못은 아니니 여기서 부대끼며 살아가 달라고. 그런 응원을요.


저에게 이 영화가 별로였냐 물으면 그건 아닌 것 같다,라고 대답할 거 같아요. 그런데 만약 이 영화를 보고 싶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전작을 보라고 대답할 것 같아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0/30 13:00
수정 아이콘
저는 시사회로 봤었는데 소년에게서 광기가 느껴졌습니다
조커인줄 알았어요
aDayInTheLife
19/10/30 14:09
수정 아이콘
흐흐흐흐
terralunar
19/10/30 17:00
수정 아이콘
다 내려놓고 눈은 즐거웠다 그럼 된거야 하려는데 자꾸 발목을 붙잡는 불꽃놀이...아앗
aDayInTheLife
19/10/30 18:28
수정 아이콘
3D+셀 애니 느낌이 약간 튀긴 하더라고요. 야예 정적인 배경일때보다 좀 장면이 튀는 느낌이.
19/10/30 19:30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 개봉첫날 봤는데
그냥 비추입니다
영화관에서 본 영화중에 손꼽힐정도로 별로더라구요

참고로 너의이름은은 너무 재밌게 봤고 블루레이도
샀습니다......
aDayInTheLife
19/10/30 19:49
수정 아이콘
너의 이름은.이 떠오르는 지점이 많더라고요. 저는 비추까진 아닌데 아쉽다 싶긴 했습니다.
바람돌2
19/10/30 21:53
수정 아이콘
날씨의 아이를 봤는데 먼가
너의 이름은을 본 느낌이 듭니다

전 재밋었지만 그만큼 전체적인 뼈대가 너무
비슷했어요
aDayInTheLife
19/10/30 22:38
수정 아이콘
저도 그랬던거 같아요. 나쁘진 않았는데 기시감이 많이 들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400 [정치] [논점]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계인 [67] aurelius9603 19/11/13 9603 0
83399 [일반] 헌법을 알아보자 (법률유보와 법치주의) [13] 사악군7205 19/11/13 7205 14
83398 [일반] [단문] 일본과 인도의 오랜 관계 [17] aurelius9842 19/11/13 9842 5
83397 [정치] [단상] 자유한국당 홍콩 관련 논평에 대하여 [69] aurelius12230 19/11/13 12230 0
83396 [정치] 자유한국당: 한국은 홍콩이 될수도 있다. [326] 나디아 연대기19170 19/11/12 19170 0
83395 [정치] 홍정욱 딸 3(~5)년, 추징금 18만원(...) 구형. [84] 츠라빈스카야15465 19/11/12 15465 0
83394 [정치] 자유한국당 교육정책비전이 발표되었습니다. [67] coyner11753 19/11/12 11753 0
83393 [일반] 완성형이론 [4] 성상우6745 19/11/12 6745 1
83392 [일반] [단상] 일본근대사를 배워야 하는 이유 [59] aurelius15807 19/11/12 15807 21
83391 [일반] 아간 재판 이야기 [23] 삭제됨8417 19/11/12 8417 17
83390 [일반] 감성을 위해 너무 많이 남발한 실패 - <날씨의 아이> 스포있는 리뷰 [27] anything8666 19/11/12 8666 5
83389 [일반] 휴대폰 업그레이드 되더니... 오타가 줄었네요 [13] 김아무개10881 19/11/12 10881 1
83388 [일반] 홍콩 활동가 "한국 시민·대학생 성원 큰 힘…계속 지지해달라" [16] 나디아 연대기10783 19/11/12 10783 7
83387 [일반] 간접연관이론 [5] 성상우7235 19/11/11 7235 0
83386 [일반] 태연과 아이유 그리고 헤이즈와 백예린 [74] 야생의숨결19298 19/11/11 19298 6
83385 [일반] 방어의 계절입니다 묵은지를 준비합시다 [53] 비싼치킨14611 19/11/11 14611 33
83384 [일반] 딱하니 가진 재능은 없는데 성실한 학생 [78] OrBef23604 19/11/11 23604 55
83383 [일반] [역사] 1877년 조선 외교관의 일본시찰 [40] aurelius14349 19/11/10 14349 13
83381 [일반] 병원에서의 선교행위 이래도 되는건가요? [74] 중년의 럴커16523 19/11/10 16523 26
83380 [일반] 수능중심이면 일반고가 더 좋습니다. [89] 펠릭스30세(무직)14048 19/11/10 14048 15
83379 [일반] 한국의 이미 높고, 앞으로 더 높아질 평균수명에 대해 [63] 데브레첸16549 19/11/09 16549 4
83378 [일반] 예비고사의 추억(2) [7] 이순6887 19/11/09 6887 3
83377 [일반] 서서히 밝혀지고 있는 데스 스트랜딩이라는 게임의 목적. [54] 삭제됨19076 19/11/09 19076 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