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0/16 12:41:14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도서] 기독교의 탄생(La naissance du Christianisme)


나자렛과 예루살렘에서 활동한 유대인 예수에 대한 신앙은 초기에 다양했습니다.

각자 예수를 믿는 방식이 달랐는데, 어떻게 하나의 오피셜 신앙이 탄생하게 되었는가.  

이에 대한 설명을 하는 좋은 책을 발견했습니다. 일단 주문했는데 오는데 4~6주 걸린다고 하네요... 

프랑스어로 된 책이라서 그런지.... 영어권 책은 최대 7일인데 불어권은 4~6주... 이런.


t%C3%A9l%C3%A9chargement-4.jpg


목차가 아주 흥미로워 보여서 일단 목차만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장. 예수의 유산과 예루살렘

1. 돌아오지 않는 예수, 재림하지 않는 왕국: 그러나 그의 뜻은 계속되고

2. 방랑하는 선교

3. 정착한 집단과 부활한 예수에 대한 숭배

4. 가족인가 또는 제자들인가?


2장. 이스라엘 밖에서의 선교

1. 헬레네인들 그리고 일반인들에 대한 선교의 시작

2. 사도 바울 이전의 교회 중심지

3. 사도 바울과 율법수호의 문제

4. 세대교체 (서기 60~70년) 그리고 복음의 탄생


3장. 제국 안에서의 교회

1. 1세기 경 예수신앙의 확산

2. 교회의 내부 조직과 기구의 발전

3. 타인에 대한 보살핌


4장. 권력 앞에서의 교회

1. 서기 80년까지의 경과

2. 제국은 사탄인가: 요한 묵시룩

3. 지엽적 탄압

4. 무엇이 기독교로 사람들을 이끌었나


5장. 다른 믿음들, 다른 희망들

1. 유대기독교(Judeo-Christianism)은 존재하는가

2. 기독교: 구 기독교와 신 기독교

3. 급진적 운동으로서의 기독교: 마르키온

4. 위대한 신의 아들: 영지주의

5. 정치적 운동으로서의 기독교: 변증론자들

6. 철학으로서의 기독교

7. 카리스마에 의지한 기독교?: 산악주의자들

8. "이단"의 발명

9. 예수신앙의 영속과 일관성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리옹의 이레네우스


6장. 공식적 신앙의 탄생: 신약성경의 탄생

1. 네 가지 복음들

2. 부정된 기록들, 삭제된 기억들

3. 사도 바울의 편지 묶음

4. 사도들의 기록은 예수에 대한 믿음을 보장하고..."무라토리아의 흔적"


결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타마 싯다르타
19/10/16 13:13
수정 아이콘
예수신앙이 예수가 죽은 뒤에 더 크게 번성한게 사람들이 예수의 부활을 목격했기 때문인거죠?
jjohny=쿠마
19/10/16 13:22
수정 아이콘
정확히 말하면 '예수의 부활에 대한 증언'이 있었다고 표현하는 게 좋고 (예수의 부활을 실제로 목격했다는 건 기독교 내부의 신앙고백이니까)

기독교 교세가 본격적으로 흥하기 시작한 건 시대가 좀 지나고 로마제국의 상황과 관련이 있다는 게 통설인 것 같습니다. 로마제국이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기독교의 자리가 생겨났다든가, 로마제국으로부터 기독교가 공인을 받았다든가 하는 등...
잉크부스
19/10/17 06:58
수정 아이콘
복음서중 하나인 마가복음에서의 예수 부활 후 기록은
초기성경에는 없는 후대에 추가된 창작임일 가능성이 명백하며 성경연구계의 주요 학설입니다. 초기 성경에는 마가복음이 16장 8절에서 끝나요. 한글 번역 성서에도 보시면 각주가 있습니다.

16장 8절.. 두 마리아는 너무 두려워 예수의 부활 사실을 아무에게도 전하지 않았죠..
20060828
19/10/16 13:15
수정 아이콘
책 소개 늘 흥미롭게 잘 보고 있습니다.
aurelius
19/10/16 16:23
수정 아이콘
오 감사합니다 :)
덴드로븀
19/10/16 13:53
수정 아이콘
프랑스어도 하시는거였습니까...
aurelius
19/10/16 16:24
수정 아이콘
프랑스어는 영어보다는 좀 못하고 독해와 현지인과 시사 관련 중급 정도 의사소통은 가능한 정도입니다.
19/10/16 14:37
수정 아이콘
와 프랑스어까지 .............. 책 소개 항상 잘 보는데 aurelius님의 식견은 어디까지인지 계속 궁금해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207 [일반] [잡글] 진격의 거인과 일본의 패전 의식 [45] aurelius14730 19/10/22 14730 14
83206 [일반] 두번째 삼국시대. [16] Love&Hate16450 19/10/22 16450 38
83205 [일반] 자연선택설이 아닌 인간선택설? [31] VictoryFood11137 19/10/22 11137 1
83204 [일반] 요즘 배달대행의 음식 빼먹기에 대해 이야기가 많네요 [99] Cand17496 19/10/22 17496 2
83203 [일반] 정시 확대와 함께 같이 이루어져야 할 것들 [91] 아유9487 19/10/22 9487 4
83202 [일반] [단상] 한국과 일본이 바라보는 미국/서구 [108] aurelius15227 19/10/22 15227 30
83201 [일반] 아들과 놀기! 이런저런 로보트 장난감 평가 [44] 하나둘셋9670 19/10/22 9670 6
83200 [일반] (삼국지) 두기, 윗사람에게 아부하지 않는 당당함 [28] 글곰9720 19/10/22 9720 39
83199 [정치] [단독] 도넘은 공기업 정규직화…이번엔 건보 1600명 [481] 미뉴잇23169 19/10/22 23169 0
83198 [일반] [역사] 메이지 유신을 만든 4명의 영국인 [14] aurelius9026 19/10/22 9026 12
83197 [일반] 쓰레기 대학원에서 정승처럼 졸업하기 2 [6] 방과후계약직7305 19/10/22 7305 4
83195 [정치] 이준석이 말하는 주류 정치인들이 홍콩 시위에 침묵하는 이유 [228] 나디아 연대기26269 19/10/21 26269 0
83194 [일반] 골프 백돌이를 왠만큼 벗어났음을 느끼며 [46] 목화씨내놔9873 19/10/21 9873 4
83193 [일반] 나는야 러익점. 중증 게이머에게 러블리즈를 전파하다. [57] 트린8834 19/10/21 8834 2
83192 [일반] [단상] 왜 갑신정변은 실패할수밖에 없었나? [29] aurelius10910 19/10/21 10910 13
83191 [정치] 일반적인 형사재판의 절차 [26] 烏鳳11331 19/10/21 11331 0
83190 [정치] 검찰이 조국 부인 정경심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 [73] 덴드로븀17610 19/10/21 17610 0
83189 [일반] 내 몸에 생긴 불청객을 내보내며(feat.요로결석) [37] 길갈9247 19/10/21 9247 5
83188 [일반] [역사] 러일전쟁에 대한 짧은 이야기 [12] aurelius10424 19/10/21 10424 21
83187 [일반] (삼국지) 서서, 밑바닥에서 출발한 자의 노력 [37] 글곰10222 19/10/21 10222 43
83186 [일반] (스포)브레이킹 배드 엘 카미노(브레이킹 배드 그 이후 이야기) 후기 [33] 삭제됨9298 19/10/20 9298 0
83185 [정치] 與지지율 떨어져도 한국당 지지율은 그대로 [120] 나디아 연대기18713 19/10/20 18713 0
83184 [일반] 수능 감독에 대해서... [46] 아유12473 19/10/20 12473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