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9/28 10:53
(수정됨) 하지만 에너지 밀도를 고려하면 현재로선 리튬을 대체할만한게 없다는거...쩝...
어찌보면 에너지 밀도가 높기때문에 최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해놓고하는데도 발생하는 문제일수밖에 없는거같기도 하고... 나트륨으로 대체하고자 하는건 리튬이 매장량이 많지 않은 물질이라는거지...안정성은 더 안좋으면 안좋지 좋은 축은 아니고...
19/09/28 11:25
이런글은 엘쥐화학과 샘송sdi 쉬케어구노메이션이 싫어 합니다.
그리고 우리 정부도 싫어할 것이므로 참사가 나기 전까지는 언론도 잠잠할 것입니다. 본문의 말씀대로 ESS는 정말 자주 터져나가고 있죠. 식당 LPG가스통처럼 별도의 공간에서 관리하는게 맞아 보입니다
19/09/28 11:31
스마트폰부터 해서 어지간한 소형 이차 전지가 들어가는 제품이라면...거의다 리튬 이온 혹은 리튬 폴리머라고 보시면 대충 맞아요...
19/09/28 11:31
(수정됨) 양과 확률의 문제죠 휴대폰도 다 리튬배터리고...
물론 제조사 입장에서도 억울한 측면이 있는게 정품 충전기가 아니면 과전류를 낼수 있고 그러면 리튬배터리는 터질수 있어서요 안정성은 기존의 배터리보다 불안정한것은 사실이지만 핸드폰 수준에서는 사고확률이 상당이 낮은게 사실입니다. 아직 대용량에서의 안정성은... 똑같은 사고가 나도 더 크게 터진다는 문제가 있을꺼고 말이죠
19/09/28 11:30
항공기건은 좀 말이 안되는게.. 아이폰에 들어가는 배터리 보면 알겠지만 배터리 자체가 외곽이 얇은 파우치로 보호하는 구조입니다. 보통 내장형 폰들은 다 저런 형태이고 착탈식 배터리의 경우가 보통 두꺼운 캔으로 감싸져있죠. 무슨말이냐면 내부가 잘못되서 발화까지 간다고해도 아이폰 배터리의 경우는외곽 파우치가 얇기 때문에 내부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그냥 찢어지면서 압력과 열을 배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폭발까지 일어나는 경우는 구조상 거의 있을수가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파일럿의 아이폰 배터리가 잘못됬다고 해도 그게 어떻게 항공기 사고까지 연결이 될 수 있을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하다못해 바로 확인이 어려운 화물칸에 있던 배터리에서 문제가 생겨 불이 옮겨 붙여졌다고 하면 차리리 납득이 갑니다만, 저런 경우에 파일럿의 아이폰 배터리 문제로 추락까지 이어졌다는건 납득이 어렵네요
19/09/28 12:12
요즘들어 USB-PD 니 퀵차지니 각종 고속 충전 기기 들이 쏟아져 나오는 걸보면 더 걱정입니다.
비호환 기기를 서로 연결했을때 보호장치가 항상 완벽하게 동작할까요? 안전한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19/09/28 13:12
전동휠체어 같은 경우도 아직은 가격때문에 납배터리를 쓴게 많지만 너무 무거운 무개 등의 문제로 점차 리튬배터리로 가고 있거든요.
이건 장애인 생명과 직결된 문제라서 더 심각하게 느껴집니다.
19/09/28 14:14
어느정도 카더라라고 하더라도 주의해야하는건 팩트같아요
저도 어느 순간부터 휴대폰조차 충전 안하면서 잡니다 부모님들은 거실에서 충전시켜놓고 자는데 이것도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