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9/09 04:09:09
Name 스타슈터
Subject [일반] [10]또 다른 가족 (수정됨)
어려서부터 외국에서 지낸 나에게 추석이란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진다. 싱가폴이라는 중화권 나라에서 지내다보니 추석 (중화권에서는 중추절이라고 부른다)을 지내지 않는 것은 아니었지만, 귀성길이 남달리 멀었던 관계로 실제로 고향집에 가서 친적들과 모인 기억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특히 대학생활을 할때 부터는 기숙사에서 자취를 시작했는데, 알바를 병행하며 간간히 마련한 생활비와 학비로도 벅찬 나에게 비행기표는 사치였기 때문에 추석은 늘 조용하게 혼자서 보내는 날이 되곤 했다.

그래서 난 추석(명절)만 되면 홀로 남겨질 위기를 맞곤 했다. 당나라 왕유(王維)라는 시인이 이런 마음을 아주 잘 표현한 시가 있는데, 그 글귀중 일부를 인용하자면 이렇다:

獨在異鄕爲異客(독재이향위이객)  나 홀로 타지에서 객으로 지내니
每逢佳節倍思親(매봉가절배사친)  매번 명절이 찾아오면 가족들이 배로 그립구나

명절이 오면 사람들은 자신의 집을 찾아 뿔뿔히 흩어진다. 그 와중에 타지에 남은 사람들은 가족을 보지 못해서 그립기도 하고, 주변 사람들도 전부 각자의 고향 집을 찾아 떠나기에 그 공백이 생겨 두 배로 그리운 것이 아닌가 싶다. 길거리로 나가면 왠지 모르게 고요해진 거리는 한복판에 누워서 뒹굴어도 될 만큼 한적해져 있다. 마치 나 빼고는 다 갈 곳이 있는 것 같아서 조금은 쓸쓸해진다.

그래도 다행인 건, 귀향길을 오르지 못한 사람은 존재하기 마련이고 난 그런 사람들과 함께 추석을 보내곤 했다. 그 모임이 끝나면 아이러니하게도 우리가 서로에게 해 줄 수 있는 최고의 격려는 "내년은 이 날엔 보지 말자" 였다. 금의 환향까지는 아니더라도, 집에 가고 싶을 때 집에 갈 수 있을 정도의 여유를 가지게 되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너도, 나도, 집에 가있어야 마땅한 사람이다.

말은 이렇게 하지만 난 추석에 대한 좋은 기억이 더 많다. 가족과 보내는 추석이 가장 좋겠지만, 그런 아쉬움이 들지 않도록 늘 누군가는 나와 추석을 함께 보냈던 것 같다. 밥 한끼 먹으라고 집에 초대해주신 아주머니부터 같이 밤새 문명 멀티플레이 (...) 하자던 친구들까지, 혼자 타지에서 지내는 것이 조금은 덜 서럽도록 적재적소에 온기를 제공해줬던 것 같다. 송편이며 월병(Moon Cake, 중국 추석 음식)이며 한상자씩 챙겨주셔서 내 자취방에 추석 먹거리가 부족했던 적은 없던 것 같다.

遠水不救近火(원수불구근화)  멀리 있는 물은 가까이서 난 불을 끄지 못하고
遠親不如近隣(원친불여근린)  먼 곳에 있는 친척은 가까이 있는 이웃만 하지 못하다

피를 나눈 가족들만이 아니라, 내 옆에 같이 지내는 사람들이야말로 가장 가족같은 존재가 아닐까? 돌아보면 기나긴 타지 생활중에 가족처럼 챙겨주시던 분들이 참 많았던 것 같다. 내가 뭘 잘해서가 아니라 그분들 또한 가까이 있는 이웃을 가족처럼 여겼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그래서 나는 추석이 되면 그 시절의 추억들이 떠오르곤 한다.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는 존재라는걸 참 많이 느끼는 요즘, 추석을 통해 다시 한번 내 인생에 고마웠던 사람들을 돌아보는 계기로 삼고 싶다.

부디 각자의 집에서, 같은 달을 올려다 보며, 그 시절을 회상할 만큼의 여유를 찾았기를 바라며.

zdt3hNs.jpg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9/09 04:39
수정 아이콘
저도 유학 중후반 가장 힘든 시절에 서로 위로하면서 지냈던 친구들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힘든 시절을 같이 보내면 기억에 남기 마련이죠. 모두들 잘 풀려서 말씀하신대로 여유있게 그 시절을 회상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스타슈터
19/09/09 10:56
수정 아이콘
외국에서 오래 지내보면 진짜 친구들이 귀해지더라고요.. 흐흐;
펠릭스30세(무직)
19/09/09 05:59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근데 한국사회에서 추석이 언제나 산케한 명절은 아닌지라 저는 오히려 그런식의 추석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스타슈터
19/09/09 10:59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역으로 덕분에 저는 명절 스트레스를 덜 겪었던 것 같긴 합니다. 흐흐
19/09/09 09:22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잘 읽었어요
19/09/09 10:15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명절은 가족이 모인다는 정서적 공감대가 기본이긴 하지만 점점더 희미해져가고 있죠.
개인적으로는 가족이 아니더라도 정서적 공감대가 있는 분들이 같이 모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스타슈터
19/09/09 11:02
수정 아이콘
사실 누구랑 모이느냐도 중요하지만 좋은 시간을 보내는게 더 핵심이죠!
콰트로치즈와퍼
19/09/09 10:29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이네요. 이번 추석 잘 보내시길.
19/09/09 11:19
수정 아이콘
메리 추석입니다
치열하게
19/09/09 12:21
수정 아이콘
항상 명절은 가족들끼리 시끌벅적해서 타향살이도 안해봐서 그 쓸쓸한 마음은 어떨지 상상이 안가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970 [일반] '개천절'에 쉬며 생각하게되는 유튜브가 글보다 편하게 다가오는 요즘. [41] 캠릿브지대핳생12038 19/10/03 12038 2
82968 [일반] (스포 많음) 조커를 보고.. 약간은 아쉬운 점 [33] 오'쇼바9369 19/10/03 9369 0
82967 [정치] 정경심이 결국 비공개 소환됐네요 [310] 마법거북이19717 19/10/03 19717 0
82966 [일반] 니체 철학을 간단히 알아보자 (3편) [13] 평범을지향7884 19/10/03 7884 10
82965 [일반]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북한 최근잠수함사진들 [70] 처음과마지막13877 19/10/03 13877 2
82964 [일반] 아이고 용왕님 이 무슨 물폭탄입니까 [18] ramram10837 19/10/03 10837 15
82963 [정치]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소비자물가 하락 [116] 홍승식14602 19/10/03 14602 0
82962 [정치] 조선의 전통적 붕당관 [20] 서양겨자7841 19/10/03 7841 0
82961 [정치] 진영 싸움 [101] xnwl14471 19/10/02 14471 0
82960 [일반] 호아킨 피닉스는 조커가 아니다. - 스포있는 <조커> 리뷰. [42] gnadkA14961 19/10/02 14961 11
82959 [일반] 조커 보고 온 후기(스포) [35] aDayInTheLife10332 19/10/02 10332 7
82958 [일반] 북한 SLBM(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발사 + 아베 관련 내용 추가 [83] handmade12487 19/10/02 12487 5
82957 [일반] 한라산에 올라갈 수 있을까요? [33] 해바라기씨8469 19/10/02 8469 6
82956 [일반] 민트초코교에서 나왔습니다. 인터넷을 믿지말고 입맛을 믿으세요! [66] 캠릿브지대핳생7518 19/10/02 7518 15
82955 [정치] 저는 적어도 1달 반 전에는 반공보수의 중년이었습니다. [133] i_terran21471 19/10/02 21471 0
82953 [정치] '표창장 위조의혹' 다룬 PD수첩 "최교일-최성해 총장 교감했을 것" [356] ArcanumToss17589 19/10/02 17589 0
82951 [일반] 요즘 일각에서 K리그에 대한 흥미로운 논쟁이 펼쳐지고 있네요 [129] bifrost11315 19/10/02 11315 1
82950 [일반] 검찰 개혁에 더해 형량 개정도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36] Synopsis7018 19/10/02 7018 6
82949 [일반] [스포] 조커에 대한 불평 [23] 대성당늑돌9645 19/10/02 9645 3
82947 [일반] 와! 조커! (짤막감상평.노스포) [7] 쿠엔틴8545 19/10/02 8545 1
82946 [일반] 조커 보고 나왔습니다. [노스포] [19] v.Serum9808 19/10/02 9808 3
82945 [일반] 돈으로 배우자의 행복을 사는 법 [46] Hammuzzi12810 19/10/02 12810 42
82944 [정치] 문득 대선전날 정몽준의 노무현 지지철회가 정말 잘못한건가 싶어요. [89] 10213915 19/10/02 1391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