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7/19 15:16:50
Name probe
Subject [일반] 뚜루뚜루, 죠스가 나타났다?

<JTBC> 해안가까지 다가온 상어…대피는 어떻게?

...어제(8일) 제주 함덕해수욕장에 상어가 출몰해 피서객들이 대피...가장 흔한 종인 흉상어과에 포함되는 것으로 추정...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846677



얼마 전 지구 온난화의 영향 덕분인지, 우리나라에서도 참치가 잡힌다는 유게글이 올라왔었죠.

지난 주 제주 함덕해수욕장에서 약 1.6m 크기의 흉상어가 목격되어 관광객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습니다.
사망 사고를 일으킨 적은 없지만, 사람을 공격한 사례는 보고된 바 있는 종류라고 하네요.

 


링크를 보면 관광객 한 명이 찍은 영상이 나옵니다.

카메라 앵글이 수면 바로 위에 있는데, 서핑보드를 타고 따라다니면서 찍은 영상입니다.
돌고래인지 상어인지 궁금하셨다고 합니다.
(남자들이 빨리 죽는 이유?)




약 60여년 간 전 세계적으로 상어가 인간을 공격한 사례는 약 2,800여건이고, 이 중 사망까지 이른 사례는 약 500여건입니다.  연평균 10건 미만에 불과하지요.

대충 확률을 때려보니, 사람이 일평생 상어에 물려 죽을 확률은 1000만분의 1쯤 될 듯 싶습니다.  번개맞아 죽을 확률보다 낮습니다.


그에 비해 인간에 의해 희생되는 상어 숫자는 연간 약 1억 마리로 대개는 샥스핀 용도로 활용됩니다.

상어 세계에 호러 크리쳐물이 있다면, 주인공은 단연 인간일 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어에 대한 공포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퍼져 있습니다.  상어공포증(Selachophobia)을 가진 사람이 미국 인구의 25%라고 하네요.


진화적으로 볼 때는 아마도 eaten alive, 산 채로 먹히는 데 대한 공포감과 물에 대한 공포감이 결합한 결과가 아닐까 싶고, 문화적으로는 역시 죠스를 대표로 하는 영화 산업의 영향이 크지 않을까 싶습니다.


죠스 영화가 대부분 대놓고 B급인데 반해, 얘들은 그나마 웰메이드 크리쳐물입니다.  죠스1 / 언더워터 / 47M / 베이트 / 샤크나이트 / 딮블루씨
크리쳐물이라기인 뭐하지만 더 리프 / 오픈워터도 유명하죠.




사실 이성적인 인간이라면 상어공포증이 있는 건 이상합니다.  번개공포증 가진 사람이 없듯 말입니다.


https://www.instiz.net/pt/4614383




곧 휴가철이 다가오네요.
해변으로 휴가 가신다고 하셨었죠?
안녕히 다녀 오세요.



뚜............루...뚜.............루




from 수영장 안에서 놀다 말고 가끔 사주경계하는 1인으로부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루오스
19/07/19 15:17
수정 아이콘
주먹으로 코를 팍!
19/07/19 16:41
수정 아이콘
다소 비겁한 분이군요
스팸계란간장밥
19/07/19 15:18
수정 아이콘
아기상어 뚜루뚜루뚜루
19/07/19 16:43
수정 아이콘
상어 세대차..

올드비 : 뚜루뚜루
뉴비 : 뚜루루뚜루
최초의인간
19/07/19 17:43
수정 아이콘
이거 리얼 크크
그리고 많이 올드하신 분들 중에는 '뚜루루뚜루'를 제대로 리듬타서 발음하시는 분이 거의 없..
스팸계란간장밥
19/07/19 20:47
수정 아이콘
ㅠㅠ
고기덕후
19/07/19 23:28
수정 아이콘
후후 젊은 30대입니다
이브나
19/07/19 15:31
수정 아이콘
천둥번개 치는 밤에 벌벌 떠는 사람들이 적지 않는 것을 볼 때 번개 공포증이 아주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19/07/19 16:46
수정 아이콘
네.. 디스이즈피지알!
루트에리노
19/07/19 15:40
수정 아이콘
상어공포증은 뭐 비행공포증 비슷한거 아닐까요
그런 일은 일어날 일이 없지만 일어나면 손쓸 수 없이 당하기만 해야 하니...

통계적으로 비행기가 "집"보다도 안전하다고 하던데, 별로 중요한 일은 아니듯이요
19/07/19 16:50
수정 아이콘
네.. 디스이즈피지알(2)!!

따지고 보면 모든 공포'증'이 그렇죠.
실제 위험보다 과장된 공포감.

위험도로 따지면 모기, 개는 일단 미뤄놓고,
사자나 호랑이보다 수십배 낮은 확률인데도
상어에 대한 두려움은 뭔가 다른 데가 있는 거 같애요.
닭장군
19/07/19 15:55
수정 아이콘
뚜룩뚜룩뚥
19/07/19 16:51
수정 아이콘
제 3 지대가 나타났다!
19/07/19 16:17
수정 아이콘
1억마리요? 그렇게 많이 상어가 죽는다구요?
찾아보니 정말인가보네요.
100 Million Sharks Killed Every Year :
https://www.nationalgeographic.com/people-and-culture/onward/2013/03/01/100-million-sharks-killed-every-year-study-shows-on-eve-of-international-conference-on-shark-protection/
19/07/19 16:45
수정 아이콘
중국인만 15억이죠..
상어용 크리쳐물 주인공의 국적은 중국.
조유리
19/07/19 16:25
수정 아이콘
물속에서는 행동이 제약되다보니까 큰 가오리만 만나도 무섭긴 하더라구요.
1.6m짜리 상어 만나면 안 쫄 수가 없을듯..
19/07/19 16:53
수정 아이콘
5M 짜리 백상아리 만나면 심장마비 올 듯..
19/07/19 16:27
수정 아이콘
뚜뚜루
김피곤씨
19/07/19 17:56
수정 아이콘
뚜루뚜.. 빠라빠라?!
조용히살자
19/07/19 18:23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상어한테 물리면 로또라도 사야한다는거죠???
19/07/20 23:21
수정 아이콘
로또 될 운을 상어에게 물리는 데 썼기 때문에 안됩니다
공발업나코템플러
19/07/20 07:30
수정 아이콘
상어가 워낙 무서운 이미지고 실제로도 위험하지만 개체수가 적고 등지느러미를 내놓고 다닐 때가 많아서 그나마 포착하기 용이하죠.
제가 볼땐 다가왔는지조차 모르게 다가와 독침을 쏘는 해파리가 더욱 위험한 것 같습니다. 개체수도 엄청나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962 [일반] [소설] 대한(KOREA)형 황제 모델 [11] 잰지흔5595 19/07/25 5595 1
81961 [일반] [PHP] 옛날 php에게 곶통 받아봅시다. - 1 [18] 삭제됨5999 19/07/24 5999 3
81960 [일반] 뻘글) 앵무새와 다른 동물의 공동생활 [19] 라이츄백만볼트9123 19/07/24 9123 6
81958 [일반] '가습기 살균제' 8개월 재수사 마무리..총 34명 기소 [25] 캐모마일8766 19/07/24 8766 1
81957 [일반] 한국(KOREA)형 주류모델(3) [49] 성상우8596 19/07/24 8596 15
81956 [일반] 여러분들의 워너비 몸매는 누구인가요? [96] 삭제됨11820 19/07/24 11820 0
81955 [정치] 일본 상품 불매로 반사적 피해를 보시는 분들이 걱정됩니다.. [240] 마법거북이19352 19/07/24 19352 26
81954 [일반] 돈은 나를 자유롭게 한다. [30] KBNF9614 19/07/24 9614 10
81953 [정치] [속보]러시아 "中과 연합훈련..영공침범 의도없다 믿어달라" [516] 한국화약주식회사26062 19/07/24 26062 41
81952 [일반] 유전자 도핑 (Gene Doping) [20] 모모스201314730 19/07/24 14730 4
81950 [일반] [9] 백일휴가를 앞둔 류이병의 은밀한 고민 [5] goldfish4865 19/07/24 4865 2
81949 [일반] 혹시 저처럼 돈 욕심 크게 없으신분 계신가요? [166] 허스키18224 19/07/24 18224 3
81947 [정치] [단상] 영공침범 러시아 군용기에 대한 경고사격. 대담하지만 훌륭한 조치 [72] aurelius13540 19/07/23 13540 23
81946 [정치] 회원 진선미의 추천도서, <<인도 수구세력 난동사>>(1) 진선미7869 19/07/23 7869 2
81945 [일반] 하이퍼루프 관련 소식 [28] 타카이10928 19/07/23 10928 0
81943 [일반] 유전자치료제, 바이오의약품, 바이오시밀러 [15] 모모스201313653 19/07/23 13653 11
81942 [정치] [기사] 軍, 호르무즈 파병 방안 검토 착수… 靑은 긍정도 부정도 안해 [61] aurelius14206 19/07/23 14206 8
81941 [일반] 장기(將棋)에 대하여 [23] 성상우7442 19/07/23 7442 6
81940 [일반] [속보]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 독도 인근 영공을 침범하여 합류비행…軍, 경고사격으로 대응 [71] 修人事待天命15139 19/07/23 15139 5
81939 [일반] 인터넷, 이제 인공위성으로! [30] 타카이9541 19/07/23 9541 0
81937 [일반] 여론참여심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3] 5008 19/07/23 5008 1
81936 [일반] [팝송] 캣피쉬 앤 더 보틀맨 새 앨범 "The Balance" [1] 김치찌개5783 19/07/22 5783 1
81934 [정치] 한국군이 항공모함을 건조하기로 하였답니다 [178] Misaki Mei17634 19/07/22 1763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