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6/24 04:37:53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스포)나의 아저씨 다 봤네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19/06/24 08:19
수정 아이콘
딴 한드는 몰라도 이건 감성이 핵심인데 말입니다.......
전직백수
19/06/24 08:51
수정 아이콘
222...
서쪽으로가자
19/06/24 08:51
수정 아이콘
조연들 얘기는 저도 재미가 떨어지긴 했는데, 스토리 상 필요한 면도 있었습니다.

지안이가 상속포기나 요양원 얘기 모르는건 저도 의아하긴 했지만 한편으론 정작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것은 제대로 파악 못하고, 응당 그러려니 생각하고 살고 있는 상황, 주변에 그런걸 조언해줄 사람도 없는 (이선균 대사로도 나오죠) 상황을 그리기 위해서가 아닐까 싶어요.
나무자전거
19/06/24 09:14
수정 아이콘
곁다리 커플 이야기가 좀 집중이 안되더라고요
영화감독동생과 헬로비너스 나라와의 러브라인, 잘나가는 수재였지만 중이 된 친구와 술집운영하는 정희
뭘 말하는지 대충은 알겠는데 굳이 그렇게 많은 분량을 할애했어야 했나 싶기도하고
결론적으로 그래서 뭐? 이런 감정이 들더라고요
19/06/24 14:59
수정 아이콘
정희 이야기는 동감.
아무리 좋게 봐줘도 알콜중독으로 입원해야하는 술집주인이죠. 더욱이 이쁜 주인에게 아무도 찝적대지 않는 놀라운 세계관.
19/06/24 09:21
수정 아이콘
재미는 있었는데 또 보라면 보고싶진 않아요!
또보고싶은거라면 음... 허준!?
돼지도살자
19/06/24 10:03
수정 아이콘
곁다리 이야기랑 그 사채업자 2세는 좀 비중줄였으면 하는 느낌이 있었는데 크크
조선소일용직노동자
19/06/24 10:18
수정 아이콘
아재들의 동화같은 드라마!!!!
애플주식좀살걸
19/06/24 10:37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이야기가 꼭필요했나 하면서 봤는대
중요한 이야기말고 주변의 여러 이야기들도 있는게
사람사는 이야기 같아서 괜찮았어요
지안도 남의 도움을 아예 못받고 안받는 캐릭터라면 그런 시스템을 찾지 안았다고 생각들기도 하고요
맥주귀신
19/06/24 11:00
수정 아이콘
오 저랑 완전히 똑같이 느끼신듯.
나라 진짜 좋아하는데 진짜 처음나올때부터 올스킵
정희 얘기도 비슷하고
스토리 자체를 중요하게 여기는것도 비슷하고

재밌게 본 드라마 어떤게 있으신가요? 크크
한드 미드 전부다 해서요
19/06/24 11:14
수정 아이콘
전 모든 이야기가 다 좋았습니다. 나라쪽 이야기도 우울한 드라마 분위기에 감초역할 잘해줬다고 생각되고요.
정희 이야기는 사실 좀 지루하긴 했으나 배우들이 연기를 잘해서 구슬픔이 잘 전달됐다고 생각합니다.

저한테는 인생드라마였고, 이 후 이선균이 너무나 좋아졌습니다.
뚜루루루루루쨘~
19/06/24 11:22
수정 아이콘
10화 이후로는 종종 보곤 있습니다.
이 드라마를 보고 편안함에 이르렀습니다. 좋아요!
기승전정
19/06/24 12:03
수정 아이콘
지안이의 상속포기나 요양원 이야기를 해보자면, 이선균 대사에도 나오죠.
그런걸 조언해주거나 이야기를 해줄 수 있는 어른이 옆에 하나도 없었죠.
나중에 무죄로 나오지만 현행범으로 소년원에 들어갔었고, 고등학교도 제대로 나오지 않은
-확실하지 않은데 아마 검정고시- 고작 20살짜리 여자아이가 상속포기니 요양원에 관한건 알기가 힘들죠.
하루하루 사는게 빡빡한 보통의 여자아이인데요.
퀵소희
19/06/24 15:57
수정 아이콘
드잘알? 현잘알? 이시네요. 뭐라도 정보가있고, 그 정보를 얻을 시간이나 루트가 있어야 받을수있는 혜택도 받을수 있죠. 드라마속 지안이는 그런걸 알수있는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상속의 경우는 1~2 금융권이면 모를까 극중 광일이 같은 사채업자에게 법적 상속포기가 통할런지 저도 현실에서 건드린적이 없어 모르겠네요.
아웅이
19/06/24 12:05
수정 아이콘
초반 3화정도까지 지나치게 어두운 분위기만 빼면 참 좋은 드라마였다고 생각해요.
알파카
19/06/24 13:17
수정 아이콘
복지사각지대라는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 당사자들에겐 정보는 한정적일 수 밖에 없어서 스스로 찾아오기보다는 관련종사자들이 발굴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궁디대빵큰오리
19/06/24 13:28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하시네요
그래도 재밌게 봤었습니다
강미나
19/06/25 08:27
수정 아이콘
부모 다 죽고 빚 물려받았을 때 이지안은 드라마 시작때보다 훨씬 어린 보통 아이였어요. 상속포기는 기한 넘어가면 못하고요.

그리고 세대분리해서 부양의무자 빠지고 할머니 요양원 모시는 건 사실 이선균이 아는 게 설정붕괴에 가까운 겁니다. 일반인은 거의 몰라요.
그래서 이선균 전에 네 명이나 도와준 적이 있었지만 아무도 그에 대해선 조언해준 적이 없었던거고요.
물론 자기가 근처 주민센터 가서 물어보면 되는데, 이지안에게는 인간 불신이 있죠. 그게 복지사각지대로 작용한거고.
구름과자
19/06/25 09:10
수정 아이콘
저는 오히려 주변인물들의 이야기에 시간을 많이들여서 더 좋았습니다. 공감되는 내용도 있었구요.

나라가 술집에서 한 얘기중에 '조금 망가져도 괜찮구나' 하며 위안을 찾았다는 얘기는 그시절 꼭 저한테 하는 얘기같아서 좋았습니다.
19/06/25 15:31
수정 아이콘
최근 재미있게 본 드라마 중 하나... 근데 술을 너무 먹더군요. 전체 장면의 1/4은 술집이었던 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752 [일반] 일본이 진정 무서워 하는 것(?) [52] 냥냥이12823 19/07/09 12823 5
81751 [일반]  홍콩 100만 시위 한 달…백기 든 캐리 람 "송환법은 죽었다" [26] 나디아 연대기9878 19/07/09 9878 0
81750 [정치] 국방부 이공계병역특례 축소 강행 소식 [87] 오만과 편견10459 19/07/09 10459 7
81749 [정치] (세계정치?외교?) 그래서 지금 어떻게 해야되나요? [169] 능숙한문제해결사12430 19/07/09 12430 1
81748 [일반] 매춘이 악행인가? [183] polka.12708 19/07/09 12708 39
81747 [일반] [단편] 유튜브 작곡가 K [6] 누구겠소4760 19/07/09 4760 8
81746 [일반] 서울시 교육청, 자사고 대규모 지정취소 [49] 아유9336 19/07/09 9336 0
81745 [일반] 또 하나의 개그 렉서스 김치테러 [22] Jun9118277 19/07/09 8277 4
81744 [일반] 일본 언론에서의 한국 규제 관련 이슈 몰입도 [43] Jun91111432 19/07/09 11432 4
81743 [일반] 수영 400일 후기 [97] zzzzz18831 19/07/09 18831 17
81742 [일반] [9]시청자 한 명의 게임 스트리머 [30] Dunn9295 19/07/09 9295 32
81741 [일반] 일본 불매를 선동해 보는 글 [327] 녹차김밥17086 19/07/09 17086 31
81739 [일반] 성매매 안 하는 남자를 찾아서 [294] 삭제됨22869 19/07/09 22869 22
81738 [일반] 감수성과 통찰 [3] 서양겨자4831 19/07/09 4831 4
81737 [일반] [단상] 나혜석, 그녀를 이제서야 발견했습니다. [20] aurelius8869 19/07/09 8869 2
81736 [일반] 캣맘에 대한 푸념 [81] 밝음의전설11626 19/07/09 11626 24
81735 [일반] [팝송] 마크 론슨 새 앨범 "Late Night Feelings" [1] 김치찌개5090 19/07/09 5090 0
81734 [일반] 오랜만에 고급 치과치료 2시간 받은 후기 [30] 라이츄백만볼트9204 19/07/08 9204 4
81733 [일반] 자실시도 이야기 여담 및 정신병원 이야기 [56] 界塚伊奈帆12968 19/07/08 12968 9
81732 [일반] 군대밥은 왜 맛없을까? [107] reionel13379 19/07/08 13379 13
81731 [일반] [FT] 푸틴과의 90분 단독 인터뷰 [24] aurelius11546 19/07/08 11546 5
81730 [일반] 자살시도. 그 이후 이야기 [29] 界塚伊奈帆9904 19/07/08 9904 13
81729 [정치] 일본 최신 방사능 수치 개인 실측(유튜브) [41] 가라한14549 19/07/08 14549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