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5/23 22:37:18
Name 글곰
File #1 20190523_201441.jpg (2.28 MB), Download : 83
Subject [일반] [연재] 제주도 보름 살기 - 첫째 날, 도착 (수정됨)


  아침에 아이를 등교시킨 후 주차장으로 내려갔다. 전날 저녁에 모든 짐을 꾸려 트렁크에 실어놓았기에 따로 준비할 건 없었다. 서울의 서북쪽 끄트머리에서 완도 여객선터미널까지는 다섯 시간 사십 분이 걸렸다. 꼬박 세 시간을 달린 후 휴게소에 들려 이십 분을 쉬고 다시 두 시간 이십 분을 달려 항구에 도착했다. 길고 피곤한 여정이었다.

  비행기로 가면 금방일 거리인데도 굳이 이런 장대한 삽질을 감행한 것은 제주도에서도 익숙한 내 차를 몰고 다니고 싶다는 작은 욕심 때문이었다. 덕분에 완도에 도착할 즈음에 이르러 나는 푹 익은 물김치마냥 지쳐 있었다. 아마도 낼모레면 마흔을 바라보는 나이 탓인지도 모르겠다. 눈이 따갑고 어깨가 결리며 등이 욱신거리는 것도 모두 나이 탓이겠지. 적어도 평소에 운동이 부족했던 이유는 아니리라.

  온가족이 하릴없이 길바닥에서 시간을 내다버릴 이유는 없었기에, 아내와 딸아이는 다음날 학교를 마친 후 저녁 비행기를 타고 내려올 계획이었다. 생각보다 훨씬 큰 배에다 차를 실은 후 터미널에서 서피스를 꺼내 연재글의 예고편을 썼다. 제주도 보름 살기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숙소에 컴퓨터가 없다는 점이었다. 다행히도 내게는 몇 년 전에 업무용이라는 핑계를 대어 가며 구입했던 서피스가 있었다. 몹시 유감스럽게도 게임을 즐길 만한 성능은 못 되지만 그래도 글을 쓰는 데는 무리가 없다.

  배를 타고 가는데 다시 두 시간 반이 소요되었다. 고속 선박인 블루나래를 타면 한 시간 반도 안 걸린다는데, 내가 탄 배는 하필 완행인 실버클라우드였다. 대신에 배가 큰 덕택인지 흔들림이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여서 뱃멀미는 없었다. 바다 한복판에서는 휴대전화가 터지지 않는다는 당연한 사실을 새삼스럽게 체험하며 시간을 보내다 보니 어느덧 배는 항구에 도달했다. 마침내 제주도였다.

  세차게 퍼부어지는 소독약의 세례를 뚫고 부두를 빠져나간 후 내비의 안내에 따라 숙소로 향했다. 제주도 북동쪽 비자림 인근에 위치한 숙소로 가는 길은 으슥한 삼나무로 둘러싸인 도로였다. 밝은 낮에 보았더라면 또 느낌이 달랐을지 모르지만, 해질녘에 지나가는 삼나무 길은 금방이라도 귀신이 튀어나와 고개를 휘저을 것 마냥 을씨년스럽고 으스스했다. 나는 어깨를 움츠리고 목을 구부정하게 구부린 채 운전대를 잡았다

  마침내 숙소에 당도했을 때는 이미 해가 저문 저녁 여덟시였다. 아침 여덟 시에 출발했으니 꼬박 열두 시간 걸려 도착한 셈이었다. 일단 현관문을 연 후에 자동차까지 너덧 번을 왕복해 가며 가방 다섯 개와 박스 둘, 그리고 대형 캐리어 하나를 집 안으로 끌어들였다. 나 혼자만의 여행이라면 모든 짐을 죄다 합쳐도 가방 하나에 충분히 들어가련만, 아내가 싼 짐은 마치 세간살이의 절반을 짊어지고 온 것만 같았다. 그러나 투덜거릴 수는 없었다. 투덜거리다가 날더러 짐을 싸라고 하면 큰일이니까. 아내가 스스로 맡아서 하는 일에는 간섭하는 대신 그저 고개를 끄덕이며 가만히 지켜보는 게 정답이라는 진리를 나는 결혼하고도 오륙 년이 지난 후에야 간신히 깨달았다.  

  선내 편의점에서 미리 사둔 컵라면으로 저녁을 대신한 후 숙소 안을 둘러보았다. 1층은 거실과 부엌과 화장실. 2층에는 침실 셋과 화장실. 3층은 아이들이 좋아할 법한 다락방. 삼인가족이 묵기에는 지나칠 정도로 큰 집이다.

  하지만 이건 아내가 의도한 바였다. 처음 ‘제주도 보름 살기’라는 말을 들었을 때 내가 상상했던 고즈넉한 전원생활과는 달리, 아내는 친구와 직장동료와 가족들과 기타 등등 여러 사람들을 잔뜩 초대하여 떠들썩하게 먹고 마시고 노는 삶을 꿈꾸었던 모양이었다. 그렇기에 다른 사람들도 묵을 수 있도록 방이 여럿 딸린 큰 집을 구했다고 했다. 오겠다는 사람이 많지 않았던 탓에 결국 그 시도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그래도 대략 사오일 가량은 다른 사람들이 한 지붕 아래에 같이 있게 될 예정이다. 그 정도면 됐지 뭐. 나는 그렇게 납득하며 거실로 돌아와 책상 앞에 앉았다.

  밤 열시 반. 가만히 앉아 있으니 사방이 고즈넉한데 멀리서 풀벌레 소리만이 어렴풋이 들려온다. 집은 도로변에 인접해 있지만 늦은 시간에는 차가 한 대도 다니지 않는다. 서울에서는 불을 죄다 끄고 커튼을 쳐도 그 틈새로 어떻게 해서든 빛과 소음이 비집고 들어오는데, 제주도 비자림 인근에 위치한 이곳은 너무나도 고요하다. 제주도에서의 첫날밤이 이렇게 느지막이 저물어 가고 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23 22:45
수정 아이콘
즐거운 경험 하고 오시겠네요 부럽습니다
19/05/24 10:35
수정 아이콘
(와이프 오기 전에 뭐할까 생각하는 콘)
19/05/23 22:47
수정 아이콘
오.. 제주도 '한달 살기' 말로만 많이 듣다가 작년에 지인분이 하셔서 후기 들었는데
1~2주 딱 좋고, 3~4주 너무 힘들었다 하던데
보름살기면 완벽하네요 흐흐흐
19/05/24 10:32
수정 아이콘
저는 첫날에 이미 충분히 힘들었습니다. 11시간 자고 일어났네요.
괄하이드
19/05/23 23:57
수정 아이콘
크크 이미 모든 일정을 마치고 돌아온 후에 편집해서 쓰는 글이 아니라 라이브로 펼쳐지는 글이라 더 흥미진진하네요. 과연 어떤 미래가 기다리고있을지...!

마침 저도 제주도 가족여행이 오늘부터 시작된지라, 방금 제주에 도착해 숙소 침대에 누워 낯선 천장을 바라보며 댓글을 씁니다. 방금 밖에 나가봤더니 별도 진짜 잘 보이네요. 제주 보름살기에 부디 행복만 가득하시길 기원드립니다.
19/05/24 10:33
수정 아이콘
별 보러 나갔는데 벌레들이 몸에 들러붙어서 질색팔색 들어왔습니다. 오늘 다시 시도해 볼까 해요.
19/05/24 00:03
수정 아이콘
한달 살기가 요즘 웰빙 여행 트랜드인가 봅니다.
여행카페 여기저기서 많이 들리네요.

일주일 휴가 꽉 채우려고 분단위로 여행 계획 짜서 다니는 입장에서는 그저 부럽습니다 흐흐.
19/05/24 10:34
수정 아이콘
분단위로 짜면 힘들지 않으신가요? 보통 빡센 일정은 20대 이하나 혹은 50대 이상이 선호하시던데...
19/05/24 13:50
수정 아이콘
마음만은 20...
drunken.D
19/05/24 02:34
수정 아이콘
우도봉에서 일출을 보고 수월봉에서 낙조를 보고..
저도 일주일만 제주도에서 살아봤으면 좋겠어요.

앞으로 펼쳐질 스펙타클한 제주도 일기 기대합니다.
19/05/24 10:34
수정 아이콘
일출을 보기에는 너무 게으르고 낙조를 보자니 밤운전이 무섭습니다?
비싼치킨
19/05/24 09:20
수정 아이콘
너무 평화로워보여서 재미가 없네요
얼른 시련이 찾아오길 바랍니다
19/05/24 10:31
수정 아이콘
음. 내일은 제주도 해안가에 침투한 간첩을 격투 끝에 잡아서 포상금을 받도록 해보겠습니다.
ComeAgain
19/05/24 10:34
수정 아이콘
제주도에서 xx일 살기 라는 걸 들으면,
당연히 제주시민들처럼 아파트에서 살아야 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장도 마트 가서 보고... 크크
19/05/24 10:35
수정 아이콘
장은 당연히 마트 가서 봐야죠. 하나로마트 위치 알아놨습니다.
19/05/24 10:55
수정 아이콘
아이들은 어떻게 하셨나요?
연재분 계속 잘 읽겠습니다
19/05/24 13:52
수정 아이콘
데려갑니다. 주말과 재량휴업 등등을 껴서 8일간 체험학습 신청서를 냈어요. 이제 아이가 등교한 집에서 여유롭게 지내는 삶은 잠시나마 굿바이...ㅠㅜ
유쾌한보살
19/05/24 14:32
수정 아이콘
뭔가..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일어날 것 같은 느낌입니다.
기대되는군요.
19/05/24 19:13
수정 아이콘
제가 보고 싶은 건 살아보기가 아니라 살아남기..아 아닙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426 [일반] (스포) 엑스맨의 시리즈의 피날레로 보기에 너무 아쉬웠던 피닉스 [32] 삭제됨7556 19/06/08 7556 1
81425 [일반] 고전영화 감상문 [12] chldkrdmlwodkd6092 19/06/08 6092 2
81424 [일반] 검증이 필요한 현 정부의 역사관. [389] HVN19470 19/06/08 19470 71
81423 [일반] 구글 스태디아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 [110] 아케이드12369 19/06/07 12369 2
81422 [일반] 건보공단 "경찰대 성평등 교육에 불만 제기한 직원 조치하겠다" [218] AKbizs18359 19/06/07 18359 47
81421 [일반] [이것은 정모글] 번개글은 뜬금없이 올려야 제맛 (in 부산) : 최종 공지글 [7] 은하관제6047 19/06/07 6047 0
81420 [일반] 6차원에서 온 기생충 리뷰 [14] 삭제됨6855 19/06/07 6855 4
81419 [일반] 美 국방부, 대만을 ‘국가’로 지칭…‘하나의 중국’ 원칙 또 흔들었다 [124] 카루오스19726 19/06/07 19726 7
81418 [일반] 문재인 대통령의 현충일 추념사 김원봉 언급 논란 [621] 아유29475 19/06/07 29475 51
81417 [일반] [스포일러] 기생충 보고 와서 쓰는 생각들 [27] 새님10726 19/06/07 10726 16
81416 [일반] <라스트 킹덤> 영국의 탄생 신화 [15] 일각여삼추11758 19/06/07 11758 1
81415 [일반] 지나치게 과도한 한국의 부동산 규제 [136] LunaseA19965 19/06/06 19965 24
81414 [일반] 시오니스트 세속 극우 VS 초정통파 종교 극우 [35] 나디아 연대기8314 19/06/06 8314 5
81413 [일반] 스윙스가 트랩바 데드리프트를 해야하는 이유 [33] 카롱카롱18430 19/06/06 18430 3
81412 [일반] [리뷰] 기생충(2019) - 생환은 관객의 몫이다 (스포있음) [13] Eternity10663 19/06/06 10663 37
81410 [일반] [연재] 제주도 보름 살기 - 열다섯째 날, 마지막 [21] 글곰5625 19/06/06 5625 17
81409 [일반] 돈 값 [6] 시간5235 19/06/06 5235 9
81408 [일반] 美中무역전쟁, 美반도체 산업에도 직격탄..과연 중국이 이길수있을까요? [117] 나른13589 19/06/06 13589 3
81406 [일반] 문재인이 사실상 순국유가족 농락하네요. [578] 차오루39708 19/06/06 39708 116
81405 [일반] 우리나라 군복무기간 변동사 [25] style10218 19/06/06 10218 3
81404 [일반] 앞으로 중소 제약 업계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 같습니다. [35] goEngland12078 19/06/06 12078 3
81403 [일반] [연재] 제주도 보름 살기 - 열네째 날, 별 헤는 밤 [11] 글곰5278 19/06/06 5278 16
81402 [일반] 그 사이 만든 비즈들 [18] 及時雨16481 19/06/06 16481 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